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성(性)과 물격(物格)에 관한 율곡의 사상을 인식론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북한의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남북한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율곡학을 발전시킬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였다.

먼저 북한 연구자들이 인식능력과 관련하여 성(性)에 관한 율곡의 사상을 재해석하는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유전학과 심리학 등 과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타고난 인식능력과 관련된 율곡의 사상을 경험주의 인식론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공동연구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 북한 연구자들이 인식대상과 관련하여 물격(物格)에 관한 율곡의 사상을 재해석하는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로크와 버클리 등 서양철학자들의 인식론을 소개하면서 인식대상과 관련된 율곡의 사상을 경험주의 인식론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공동연구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인식론의 관점에서 율곡의 사상을 재해석하는 북한의 선행연구에서는 주체사상에 기반한 혁명 의식을 고취하고자 하는 정치적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지만, 율곡학을 공동으로 발전시킬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으며 국내 연구자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하겠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율곡의 관점에서 본 東西分黨의 이해 = Factionalization between the east party and the west party from Yulgok's perspective 이상익 p. 5-36
성(性)과 물격(物格)에 관한 율곡의 사상을 인식론으로 재해석하는 북한의 선행연구 비판적 고찰 = Critical review on the previous studies in North Korea reinterpreting Yulgok's ideas of Seong(性) and Mulgyeok(物格) as epistemology 정연수 p. 37-62
김시습에 대한 기억과 문헌의 전승 양상 = Remembering Kim Si-seup and the aspects of literary transmission 강창규 p. 63-96
조선의 양로례와 경로정신 = Yangrorye(養老禮) and the spirit of respect for the elderly in the Joseon Dynasty 김문준 p. 97-123
사례로 본 조선시대 평민유학 = Joseon Dynasty commoners' Confucianism as seen in examples 서욱수 p. 125-151
『한국경학자료집성-역경』(12책~23책)의 구성 내용과 역학적 특징 분류 = Configuration contents of the 『The Korean Confucian Classics Data Integration: The Book of Changes』(volume 12 to 23) and the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of Yi Xue. 2. 2 이난숙 p. 153-186
제례 연구의 현황과 과제 = Present condition and task of ancestral ritual : 사상적 측면을 중심으로 서원혁 p. 187-206
미발수양론(未發修養論)의 인성교육적 의의 =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perspective of moral cultivation in the unmanifested state 윤민향 p. 207-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