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약성가와 의학 도설을 중심으로 중세 한국의 의학 지식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동반 성장한 문학과 시각 자료의 존재 양상을 종합하여 살펴보고 그 가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고려 시대의 〈향약구급방〉과 〈연라자도〉를 필두로 향약과 도교의 양생술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는 가운데 조선 후기까지 역사적인 추이에 따라 어떤 주요 작품이 탄생했고 어떤 발전상을 보였는지 정리한 후 그 의미를 분석했다. 결과: 고려 시대의 문제의식을 이어받아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온 조선의 의학은 의서를 꾸준히 출간하면서도 전기에는 지방 의학에 관심을 기울이는 가운데 이문건의 〈묵재일기〉가 선을 보였으며, 후기에는 〈동의보감〉이라는 상징적인 의서로 집대성되었다. 그리고 〈제중신편〉 이후 약성가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의학을 교육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냈다. 그리고 〈수궁가〉를 비롯한 판소리와 탈춤 등에서도 의학 사설이 등장하여 관련 지식이 백성들에게까지 전파된 교육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인체도의 발전상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한국 중세 의학은 중국 한의학과 우리의 향약을 동시에 염두에 두면서 철학, 과학, 문학, 미술을 망라하며 종합적 발전을 꾀했으며 그 결과는 대중의 교육에 이르기까지 두루 미치게 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다양성의 시대 (한)국어교육 = The era of divers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 students : 학생 염은열 p. 7-40

학교 밖 국어교육을 통해 본 학습자 다양성 = Exploring learner diversity through extracurricular Korean language education : 고교 전환학년 교육기관 오디세이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서명희 p. 41-70

디지털 글쓰기 과정의 유형화 = Classifying types of digital writing processes : applying Bayesian network-based profiling analysis : 베이지안 망 기반 유형 분석 적용 김혜연 p. 71-110

사고도구어 기반 독서지수 개발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eading index based on academic vocabulary : possibilities and prospects : 가능성과 전망 신명선, 이기연, 나상수, 인정남, 차경미 p. 111-152

미국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P)의 읽기 평가 동향 연구 = Reading assessment trend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NAEP) in the United States 김성엽, 김주환 p. 153-184

국외 자국어 교육과정에 구현된 미디어 문해력 교육 탐색 = Explor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mplemented in foreign native language curricular : focusing on the curricular of Ontario, Canada, and Australia : 캐나다 온타리오주와 호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연지 p. 185-232

선어말 어미 {-시-}의 사용 영역 확대에 관한 문법교육 방향 탐색 = Exploring directions for grammar education regarding the expanded use of the pre-final ending {-si-} 박혜진 p. 233-275

초등 국어 교과서와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텍스트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 A study o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he literary texts included in them : focusing on the 2015 elementary 5th and 6th grade Korean language textbooks : 2015 초등 5, 6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어영준 p. 277-316

반론을 고려한 글이 항상 더 좋은 글인가? = Is it always better to write an argument that considers counterarguments? : relationship between argumentative schemes used in arguments and counterarguments and text score : 기본 논증, 반론 논증에 사용된 논증 도식과 글 점수의 관계 장성민 p. 317-341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성 판단 능력 연구 = Grammaticality judgment competence of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임우열, 계은진, 이선진, 김영주 p. 343-375

재미 한국어 계승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주요 오류 연구 = A study on major errors in the writing of Korean heritage learners in the United States 김영일, 조성대 p. 377-431

약성가(藥性歌)와 도설(圖說)을 통해 본 중세 의학지식의 보급과 교육적 의의 = The dissemination of medieval medical knowledge and it's educational meaning in YakSeongGa and pictures 권정은 p. 433-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