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의 목적은 발터 벤야민의 역사 개념을 바탕으로 김재엽 <알리바이 연대기> 의 역사 재현 방식에 천착하고, 그것의 현실 참여적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김재엽의 작품 세계를 이해함에 있어 연극의 사회성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2013년 이후 김재엽은 몇 편의 에세이를 통해 드라마 중심의 연극으로부터 벗어나 보다 현실적이고 직설적인 연극을 통해 현실에 작용하고 싶다고 언급한다. 그리고 그는그 시작점에 있는 작품이 바로 <알리바이 연대기>라 주장한다. 본고는 <알리바이 연대기>의 어떤 미적 자질이 역사 재현과 현실 참여 사이의 상관관계를 마련할 수 있는지, 또 역사 재현을 통한 현실 참여가 어떤 의의를 가질 수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김재엽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대한민국의 현대사를 재현한다. 먼저, 그는 선별과나열을 통해 대한민국의 거시사를 폭력의 역사로 재구성한다. 서사극적 극작 및 연출은 관객이 역사적 사건들과 인물의 행동으로부터 비판적 거리를 둘 지반을 마련한다.

다음으로, 김재엽은 파편화와 단편화를 통해 미시사적 사건들을 지금시간에 위치시킨다. 지금시간 속에서 창발된 관객의 기억들은 변형과 창조에 의해서 구성된 유일무이한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현실구성력을 지닌 경험이 된다.

이러한 역사 재현을 통해 김재엽은 정치인과 소시민에게 죄를 묻는다. 이는 법과 도덕 너머의 책임을 마련하고자 하는 정치·윤리적 태도에 입각한다. 텍스트 층위에서 등장인물들의 죄의식은 회한으로 끝맺음되고 만다. 하지만 관객과의 상호작용속에서 창발된 기억들은 ‘지금, 여기’에서 책임과 판단을 요구하는 사건으로 자리 잡게 된다. 관객들은 자신에게 요구되는 정치·윤리적 책임에 답함으로써 시민의식에 다다를 기회를 부여잡게 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보성전문학교 연극부와 프로연극 = Boseong College Drama Club and proletarian theatre : focusing on the performance of <Pincher Martin O.D.> of Boseong College Drama Club : 보전 연극부 제1회 공연 <삼등수병 마틴>을 중심으로 이상우 p. 9-49
차범석의 새마을희곡 연구 = Study on Cha Beom Seok's Saemaul play 이주영 p. 50-71
차범석의 새마을 연극 <활화산>과 조백령의 천리마 연극 <붉은 선동원>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Cha Beom-seok's <Active Volcano> and Jo Baek-ryeong's <Red Agitator> 최상민 p. 72-99
김재엽 <알리바이 연대기>의 역사 재현 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of history representation in Kim Jae-yup's Chronicle of Alibis 박상준 p. 100-143
연극 <아란의 욕조>의 장애재현 연구 = A study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the <Aran's Bathtub> : focusing on physicality and semiotics : 육체성과 기호성을 중심으로 이우람 p. 144-174
고통 속에서 삶을 영도한 세계-내-존재로서 오이디푸스의 행위 = Oedipus as a being-in-the-world's actions in leading a life amid suffering 이예은 p. 175-211
욘 포세 작품에 나타나는 윤회적 특징 = Reincarnation features in the works of Jon Fosse : focusing on the work Winter : <겨울>을 중심으로 차병호 p. 212-247
스펙터클화된 버바팀 연극 = A study on the verbatim theatre with spectacle : how verbatim as a theatrical methodology can be applied : 버바팀의 새로운 응용방식에 관한 소고 남지수 p. 248-274
세계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융합창작 교육 연구 = A study on convergence art education utilizing universe storytelling : based on immersive physical theater <Mooniverse> : 융합창작극 <무니버스>를 중심으로 김명진 p. 275-309
한국 연극계의 수행성연구 메타비평 = The methodological problem of performance research in Korea : focusing on the description of performance. 3, 기술(記述) 방식에 대한 간 학제적 방법론 제안 김정숙 p. 310-334
<콘크리트 유토피아>에 나타난 포스트 아포칼립스 이후 등장인물 변화 양상에 따른 공동체 형성과 해체 과정 고찰 =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composition of community according to character changes after the post apocalypse in <Concrete Utopia> 조규찬 p. 335-361
게임화하는 플랫폼, 장르화하는 드라마 = A platform that gamifies, a drama that genres : focusing on Netflix original Korean series :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시리즈를 중심으로 송치혁 p. 362-387
초기 웹드라마 서사구조의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web drama 강건해 p. 388-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