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 관점에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재탐색 = Rethinking gene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gh school and higher education curriculum articulation 홍성연 p. 11-30
고교-대학 간 전공계열 교차 진학의 노동시장 성과 측정 연구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ross-enrollment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s 이승렬, 최강식, 이보경 p. 31-50
국내 대학 교양교육 체계에서 인공지능(AI) 교육 특징과 과제 =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of AI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domestic universities : with emphasis on the linkage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university in the digital transition era : 디지털 전환기 초·중등교육과정과 대학 교양교육과정 간 연계를 중심으로 송선영 p. 51-63
대학 교양교육과정 융·복합 준거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convergence standards 최화숙, 박지회 p. 65-84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 Current status of the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 (undeclared major system) a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남진숙 p. 85-97
미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양교육의 혁신 방안 = Innovation plan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future convergence talent 안미영 p. 99-109
변화하는 시대와 자유교육의 이념 = The ideas of liberal education in changing times 박병철 p. 113-123
대학생 학습자의 인문학적 사고의 확장 및 심화를 위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 탐색 = Studying an integrated reading-writing education method to deepen the humanities thinking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questioning in the form of problem discovery’ to foster the activeness and creativity of thinking : 사고의 능동성과 창의성 함양을 위한 ‘문제 발견식 질문하기’ 방안을 중심으로 신윤희 p. 125-140
공익 광고를 활용한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 모형 연구 = A study on a college writing course model utilizing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박소영 p. 141-158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 인식 기반 AI 피드백의 효용성 연구 =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student perception-based AI feedback in college writing classes 정유남 p. 159-173
실천적 인성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과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subject for character education focused on experiential learning : a case of ‘Creative Community Problem-Solving’ course at A university : A대학의 ‘지역문제의 창의적 해결’ 교과목 사례 추승엽, 곽미선 p. 175-194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한 고전소설의 재창조 = Re-creation of a classic novel through transmedia storytelling : cross-cultural learning focusing on Tess of the d'Urbervilles : 『더버빌가의 테스』를 중점으로 교차문화학습 이광순 p. 195-211
균형교양 영역 교과 ‘대학생의 성장을 위한 책과 영상 큐레이션’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a balanced liberal arts subject, ‘Book and Video Curation for the Growth of College Students’ 전종희 p. 213-230
팀기반학습의 수업활동,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학습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 =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on learn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engagement and problem-solving skills : <지혜와자비명작세미나>를 중심으로 고은선, 장미란 p. 231-244
대학생의 교양교육 인식 및 요구 분석 =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liberal arts curriculum perception and needs : C대학을 중심으로 김경언, 이상기 p. 245-260
교양 교육과정의 역할과 운영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 Analysis of learners' perceptions on the role and operation of liberal arts curriculum : focusing on D university : D 대학을 중심으로 채윤정, 현순안 p. 261-276
사이버대학 교수학습환경에서 교양교육 만족도가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general education satisfaction on core competencies in the cyber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김윤정, 이기원 p. 277-290
교수전담형 학사지도에 대한 교수자의 경험 연구 = Professors’ academic advising experience in faculty-only model 박알뜨리, 이정인 p. 291-308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전망 = Trends and prospects of language education research using generative AI : focusing on topic modeling and keyword analysis : 토픽 모델링과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차준우 p. 309-321
Student perceptions of ChatGPT in mandatory EFL writing classes at a Korean university = 한국 대학의 필수 영어 작문 수업에서 ChatGPT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사례 연구 : a case study Andrew Richards, Stuart Jones p. 323-343
대학 교양영어에서 강의식 수업과 독서저널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비교 분석 = Students' perceptions of lecture-style classes and reading journal activities in college general English 박태숙 p. 345-365
보드게임 설계 및 개발 과정 참여 경험에서 학업 저성취 대학생이 지각한 학습 역량 향상 정도 = The perceived improvement in learning competencies of low-achieving college students through participation in a board gam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장현정, 이성아, 엄우용 p. 367-383
기준음고 432Hz의 음악인문학적 의의 = The music humanities significance of the standard pitch 432Hz 전선구 p. 385-394
아론 코플란드(A. Copland)의 이론을 활용한 대학 교양음악교육 학습자의 음악적 전이 제고 방안 연구 = A study on how to cultivate musical transitions using A. Copland’s theory of students of liberal arts music education at university 이보림 p. 395-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