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四声通解》研究现状考察 =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status of "Saseongtonghae" 李吉琼, 丁治民 p. 29-51
河南栾川方言语气词初探 = The study of modal particles in Henan Luanchuan dialect 陈辰, 吴有晶 p. 181-201
뜻에 따라 음이 구분되는 多音字의 규칙적 '예외' 한국한자음 고찰 = Systematic 'exceptions' in the Sino-Korean pronunciations of polyphonic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ir meaning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1999) ▽표시 한자음을 중심으로 申祐先 p. 53-75
近义词“方法”和“办法”辨析及韩国学习者习得情况考察 = Analysis of "方法" and "办法" and investigation of Korean students' acquisition 刘苗苗 p. 291-312
汉语“这”“那”类指示代词的跨语际研究 = A translingual study of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Zhe" and "Na" : acquisition errors of English, Korean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 以英语、韩语、日语母语者习得偏误为例 李耔菡 p. 333-360
통시적 관점에서 바라본 ‘훔치다’류 동사들의 역사적 小考와 본질적 속성 = A diachronic study of the historical evolution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verbs of 'Steal' 한승 p. 155-179
基于语料库的现代汉语“X+穿”构式研究 = A corpus-based study of the 'X+Chuan' construction in modern Chinese 劉柳 p. 77-105
浅析汉语类词缀的起源 = An analysis of the origins of Chinese quasi-affixes : focusing on the "X-人" : 以“X人”族词为中心 崔香兰, 朴兴洙, 金梅 p. 133-154
‘세수(洗手)’의 의미 변천에 관한 통시적 연구 = A diachronic study on the semantic evolution of '세수(洗手)' : an analysis of lexical transition and symbolism in Chinese and Korean : 중국어와 한국어에서의 어휘 전이와 상징성 분석 邊多恩 p. 107-132
전치사 '在'에 나타난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 분석 = An error analysis of Korean learners use of the modern Chinese preposition '在' 신미경 p. 361-383
문두 다중논항 구문의 수용성 제고에 관한 정보구조적 고찰 = A study on enhancing the acceptability of sentence-initial multiple argument constructions from perspective of information structure 박정구, 강병규, 박민준, 유수경 p. 203-243
담화표지 ‘不是我说你’의 기능 연구 = A study on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Bushiwoshuoni' : focusing on the speaker's discourse strategies : 화자의 담화전략을 중심으로 이나현 p. 313-331
「有+NP+VP」 구문 고찰 = The study of the '有+ NP + VP' construction 김미성 p. 245-264
한자분화의 분석방법에 대하여 = Analysis methods for the differentiation of Chinese characters : using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伯' as an example : ‘伯’의 분화과정의 분석을 예로 신세리 p. 265-290
『四聲通解』 文吻問勿韻에 인용된 『蒙古韻略』과 『蒙古字韻』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Meng-Gu-Yun-Lü" cited in the" Sa-Seong-tong-Hae" and the "Meng-Gu-Zi-Yun" in the British museum : focused on "wén(文)wěn(吻)wèn(問)wù(勿)" rhyme 곡효운 p.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