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적 장치(mechanical devices)를 활용한 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팔과 손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intervention using mechanical devices on improving arm and hand function in stroke survivors :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
조영석, 배원진
|
p. 25-35
|
|
|
|
심장 및 폐 수술 환자의 수술 전 재활 효과 = Effect of preoperative rehabilitation in cardiac and lung surgery patients : literature review : 문헌 고찰
|
박희용
|
p. 1-11
|
|
|
|
TECAR 치료가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의 머리척추각, 머리회전각, 압력통증역치, 근육두께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ECAR therapy on craniovertebral angle, cranial rotation angle, pressure pain threshold, and muscle thickness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김윤환, 최동준, 차영주
|
p. 37-48
|
|
|
|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30-second Chair Stand Test의 신뢰도와 반응률 및 수렴타당도 = The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30-second chair stand tes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안승헌, 이준민, 이동엽
|
p. 13-23
|
|
|
|
파킨슨병 환자 대상 운동 중재 적용 시, 운동성 증상과 삶의 질 개선에 대한 메타분석 =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on motor symptom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Parkinson’s disease :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 PubMed 중심으로
|
이준, 김희수, 김기종
|
p. 61-74
|
|
|
|
국내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된 ICT 기반 인지 중재연구의 통합적 문헌고찰 = An integrative review of ICT-based cognitive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Korea
|
서유진, 한은경
|
p. 49-60
|
|
|
|
5세, 6세 아동 및 성인이 산출한 말소리의 정확성 및 시간적 특성 = Accuracy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peech sounds produced by 5- and 6-year-old children and adults
|
강은영
|
p. 75-90
|
|
|
|
노년기 직전 중년여성의 근감소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체측정치 및 임상 관련 위험요소 연구 = Anthropometric and clinical risk factors for sarcopenia in pre-senescence middle-aged women
|
황종석, 박순지
|
p. 181-188
|
|
|
|
U대학의 학생 성장 핵심역량 진단 도구 개발 사례 = Development case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for student growth at U university
|
이명희, 김영숙, 박정언
|
p. 91-106
|
|
|
|
고위 무릎뼈를 가진 남성의 넙다리네갈래근의 근활성도와 균형 능력 분석 = Analysis of muscle activity of quadriceps femoris and balance ability in the male with patella alta
|
박수경, 박시은
|
p. 117-129
|
|
|
|
물건 들기 시 지지면과 무릎 자세에 따른 자세균형 비교 = Comparison of postural balance based on support surfaces and knee positions when lifting objects
|
김승진, 한진태
|
p. 107-116
|
|
|
|
다감각 디지털 인지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multi-sensory digital cognitive training program
|
이호승, 정재훈, 심재희
|
p. 303-314
|
|
|
|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 문제 및 걷기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mental health issues, and walking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 조절된 매개 모형
|
김소현, 문병현, 조성현
|
p. 335-347
|
|
|
|
간호대학생의 지식, 공감력, 태도가 노인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empathy, and attitudes on their behavior toward the aged
|
이유미
|
p. 131-145
|
|
|
|
Immediate effects of hamstring exercises using a reformer, sling, and foam roller on knee joint angles and MyotonPRO measurements in healthy adults in their 20s
|
Han-Kyu Park, Byoung-Ha Hwang
|
p. 147-158
|
|
|
|
(The) effects of a traditional music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ego-integrity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
Ryewon Ma
|
p. 241-251
|
|
|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on arm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acute stroke
|
원정희
|
p. 169-179
|
|
|
|
움직임이 감소된 넓적다리두갈래근의 근육 두께와 근막 가동성에 대한 연부조직가동술의 즉각적인 효과 = Immediate effects of soft tissue mobilization on muscle thickness and fascial mobility of the biceps femoris with reduced mobility
|
박근태, 한진태
|
p. 159-167
|
|
|
|
물리치료사의 업무 관련성 다리부종과 통증에 대한 림프마사지의 효과 = Effect of manual lymphatic drainage (MLD) on work-related leg edema and pain in physical therapists
|
강민지, 한진태
|
p. 189-196
|
|
|
|
인지-운동 엑서 게임을 이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gnitive-motor exergame dual-task training on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
양대중, 이형석
|
p. 197-206
|
|
|
|
간호사의 잡크레프팅과 직무착근도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job crafting and job embeddedness on the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
류은진
|
p. 207-216
|
|
|
|
4주 서킷 트레이닝이 근감소증 중년성인의 체력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4-week circuit training on physical strength and growth hormone in middle-aged adults with sarcopenia
|
신재숙, 김원경
|
p. 327-334
|
|
|
|
복근 강화 운동이 전방 머리 자세를 가진 성인의 목뼈 장애 지수, 머리-척추각도, 머리-회전각도, 긴목근 및 목동맥 두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bdominal-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neck disability index, craniovertebral angle, cranial rotation angle, longus colli, carotid artery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윤삼원, 차영주, 신지원
|
p. 273-281
|
|
|
|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learning flow in nursing students
|
신희건
|
p. 315-326
|
|
|
|
노인 대사질환자의 해수입욕과 순환운동 복합처치가 악력과 노인신체기능검사(SPPB) 및 대사질환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 Combined treatment of seawater bathing and circulation exercise for elderly people with metabolic diseases grip strength and geriatric physical function test (SPPB) and impact on metabolic disease-related variables
|
김현준, 신재숙, 김충곤, 송욱
|
p. 263-272
|
|
|
|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가동술과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및 정적 스트레칭이 발등굽힘 각도와 장딴지근 근긴장도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비교 = Comparison of the immediate effects of IASTM,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static stretching on dorsiflexion angle and gastrocnemius muscle tone
|
김충유, 김인섭, 강신성
|
p. 217-224
|
|
|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극복력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on professional self-concept in nursing students
|
서지영, 김보미, 진현정
|
p. 225-239
|
|
|
|
간호대학생의 자기연민, 돌봄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 Correlations among self‑compassion, caring 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임현희
|
p. 283-292
|
|
|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치위생학 전공 수업 개발 사례 및 운영 효과 분석 = Analysis of class development cases and operational effects in dental hygiene major subjects applying blended learning : focusing on introduction to dental hygiene subject : 치위생학개론 과목을 중심으로
|
심현애, 이영수, 임아랑
|
p. 349-364
|
|
|
|
뇌졸중 환자들의 손의 파악력과 기민성 검사의 검사-재검사 재현성과 최저 실제 차이 = Test-retest reproducibility and smallest real difference of hand grip stren[g]th and dexterity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
박창식
|
p. 253-261
|
|
|
|
말하기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분석 = Analysis of risk factors on affecting speaking problems : focusing 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22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정석희, 윤태형
|
p. 293-30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