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관 진속이제설에 대한 화엄 사종법계설의 논리적 계승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gical succession of ‘the four realms of reality’ of Huayan to ‘two truths of absolute and conventional’ of Madhyamaka : denial of absolute truth and return to phenomena : 절대적 진리의 부정과 현상으로의 회귀 박수현 p. 3-30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과 티벳대장경에 등재된 경론의 서두(書頭)와 말미(末尾)의 체재(體裁) 비교 분석 =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formats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utras & treatises listed in the Taisyou Shinsyu Tripitaka and the Tibetan Tripitaka 신월숙 p. 31-60
『능가경』의 여래장·아뢰야식의 공성에 대한 이해 = Understanding of śūnyatā of athāgatagarbha·ālayavijñāna in Laṅkāvatārasūtra 양용선 p. 61-88
종파적 배경과 그 아뢰야식 사상 전개에서 살펴본 원측의 8식설과 삼성설 = The eight-consciousness theory and three natures(trisvabhāva) of Woncheuk(圓測)'s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sectarian background and its development in Ālaya-Vijñāna 강명희 p. 89-118
선(禪)과 명상 = Sen and meditation : centering on the YukjoDangyeong : 『육조단경』을 중심으로 이현배 p. 119-148
사띠(sati)의 현대적 수용법 연구 = A study on the modern reception of sati : introducing the ‘-guna’ practice : ‘-구나’ 행법의 도입 김성식 p. 149-176
초기 경전에서 발견되는 붓다의 라이프스타일 = The Buddha's lifestyle as found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문은화 p. 177-212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의 1927년 저서 『조선인의 사상과 성격(朝鮮人の思想と性格)』에 나타난 불교 관련 내용에 대한 비판적 재고 = A critical review of Buddhist-related content in Murayama Jizun's 1927 book Though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s 윤옥희, 박대용 p. 213-237
수까 자따까와 마하바라따 앵무새 에피소드의 서사구조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uka-jataka and the parrot episode of the Mahabharata 김진영 p. 239-263
극초기 우빠니샤드의 loka(세상)와 심리공간적 이원론 = Loka and psychospatial dualism in the earliest Upaniṣads : 인도철학이 현실적 위기에 무관심하게 된 기원을 찾아 박효엽 p. 265-296
위덕왕대 사찰창건 배경과 특징 =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temple founding during the reign of King Wideok 김형태 p. 299-334
신라의 제석천 신앙과 신라 왕실과의 관계 = Silla's belief in Śakkra Devānāmindra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Silla royal family 염중섭 p. 335-362
신라시대 음악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 New understanding on music culture in the Silla period : music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Sinchon performance in 689(King Shinmun-wang 9) : 689년(신문왕 9) 신촌(新村)공연의 음악적 특징과 역사적 배경 정동락 p. 363-400
조선시대 여성의 출가(出家) 양상 고찰 = A study on the aspects of women's renunciation in the Joseon Dynasty : 국가권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자상 p. 401-428
해인사·통도사의 단옷날 소금 관련 의례의 연유(緣由)와 차이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reason and difference of Dano(端午)’s salt-related rituals of Haeinsa(海印寺) and Tongdosa(通度寺) 박성호 p. 429-454
통도사용왕재 의례에 관한 고찰 = A study of TongdosaYongwang rituals 이경란 p. 455-484
도(道)정신치료의 불교적 의의 = A study on the Buddhist significance of taopsychotherapy 임형준 p. 485-512
자비명상과 미술치료를 결합한 집단프로그램 활용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 group program combining compassion meditation and art therapy : focusing on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 학교 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윤정 p. 513-536
외국인 유학생의 연등회 불교문화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분석 =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students' satisfaction and needs for the Yeon Deung Hoe Buddhist cultural experience program : focusing on the case of university D : D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종일, 전한성 p. 537-576
몸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사회적 재난에 의한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 somatic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indirect trauma caused by social disasters : focusing 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indfulness, and self-resilience : 인지적 정서조절, 마음챙김,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김안나, 강화, 류지명, 윤희조 p. 577-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