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담자들의 대인 외상 경험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on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s of counselors and counselor self-efficacy : the medi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rofessional identity : 외상 후 성장과 전문직 정체성의 매개효과 우소원, 장유진 p. 1221-1245
중급상담자의 실제관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intermediate counselors' real relationships 이영미, 하정희 p. 1247-1280
상담사 자기 효능감 변화에 기여하는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changes in counselor self-efficacy through supervision experience 정소담, 김창대 p. 1281-1309
한국판 완벽주의-탁월주의 척도(SCOPE)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of perfectionism-excellencism (K-SCOPE) 신용우, 김민희 p. 1311-1335
사별한 성인의 애착불안과 지속비애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으로 조절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moderated by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rolonged grief among bereaved adults 장효정, 유성경 p. 1337-1358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사후반추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post-event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최지일, 남숙경 p. 1359-1376
애착 안정성 점화가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ttachment security priming on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factors : the moderating effect of attachment avoidance : 회피 애착 수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최원정, 김현식 p. 1377-1400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와 이중 매개효과 =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xperiential avoidance among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on and dual mediation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김규태, 김서현, 김영근 p. 1401-1420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지연행동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ysfunctional procrastination : focusing on metacognitive beliefs about procrastination : 지연행동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메타인지신념을 중심으로 이하영, 신희천 p. 1421-1438
고졸 니트(NEET) 청년의 ‘쉼’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taking a break' among high school graduate NEETs 백윤영, 홍지선 p. 1439-1469
심리상담 관련 전문인력 자격취득 기준의 방향성 = Proposed criteria for acquiring qualification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professionals : a comparison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qualification systems : 해외 법제화 사례와 국내 자격 제도 비교 손보영, 임지숙, 백상은 p. 1471-1498
생물심리사회이론에 기반한 자해의 위험요인 연구 = A study on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elf-harm based on the adolescent's perceptions from the biopsychosocial approach : 청소년 관점을 중심으로 양모현, 이보라, 이동훈, 이화정 p. 1499-1526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정체성 협상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Cultural identity negotiation proces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 a grounded theory approach 박동재, 이동귀 p. 1527-1561
화상상담 만족 및 불만족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 The concept map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factors in video counseling : a comparison of early adult client and counselor perceptions : 초기 청년층 내담자와 상담자의 관점 비교 이세란, 허청라, 한은진, 이기학 p. 1563-1589
청년 은둔형 외톨이의 비대면 행동활성화 상담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behavioral activation counseling for young adult hikikomori 나기회, 권해수 p. 1591-1612
상담자의 비대면 상담 및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활용 연구 = Ethical practices of non-face-to-face counseling and digital media among counselors : a focus on members of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 (사)한국상담심리학회원을 대상으로 강수정, 박성현, 이지은 p. 1613-1644
한국판 남성우울 위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The Korean male depression risk scale (K-MDR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이슬기, 유성경 p. 1645-1673
20대 청년의 또래 자살사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young adults' experiences of peer suicide bereavement in their 20s 신수정, 임수연, 김민영, 유영권 p. 1675-1707
코로나-19 이전, 도중 및 이후 청소년과 초기성인의 자해 행동 추이 = Changes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elf-injury behavior before, during, and after COVID-19 : a text-mining approach : 텍스트마이닝 접근 김서영, 정의정, 엄태윤, 이동귀 p. 1709-1734
미디어와 주변인을 통해 접한 자해 경험이 청소년 자해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edia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xposure to self-injury on self-injury and suicide behaviors 이보라, 김성연, 이동훈 p. 1735-1757
중도지체장애인의 낙인 경험과 대처에 대한 질적연구 = The experience of stigma and coping among people with intermediate physical disabilities : a qualitative study on acquired disabilities from traffic accidents : 교통사고 장애인을 중심으로 김미숙, 서수균 p. 1759-1802
국내 상담 수퍼비전 연구 동향 = Trends in counseling supervision research in Korea : a keyword network analysis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김가을, 김소연, 이성애, 남보라, 최재훈, 양은주, 이종은 p. 1803-1831
심리상담 관련 법 부재에 따른 비전문적·비윤리적 상담 실태 확인을 위한 언론 기사 토픽 모델링 분석 = Topic modeling analysis of news articles to identify unprofessional and unethical counseling practices due to the absence of laws related to psychological counseling 김은빈, 이지현, 유성경 p. 1833-1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