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려후기 부석사 소장 3본 『화엄경』 고려경판의 조성 의의 = The making of the three-translation version of the Avatamsaka Sutra in the Buseoksa Temple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and its significance 박용진 p. 7-50
조선시대 안동부 물계서원의 건립과 운영 =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Mulgye Seowon in Andong, Joseon Dynasty 이근호 p. 51-83
조선후기 서산지역 경주김씨의 서원 건립 활동 = Seowon building activities of Gyeongju Kim in Seosan, late Joseon Dynasty 이병훈 p. 85-119
조선후기 별제(別提)의 관로와 위상 = The official path and status of Byeoljae(別提) in the late Joseon Dynasty 나영훈 p. 121-160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퇴계 문하 입문과 도산서원 종향 = Wolcheon Jo Mok's discipleship under Toegye and ancestral rite at Dosan Seowon 박소희 p. 161-196
17세기 영남 선비가 추구한 규범적 여성상 = Image of the normative women pursued by Yongnam Sunbi's during 17th century : 『선비증정부인장씨행실기(先妣贈貞夫人張氏行實記)』를 중심으로 김미영 p. 197-232
「신립 장군 패사(敗死)」 전설의 시혜담(施惠談) 성격과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benevolence tale nature of the Legend of General ShinRip's Death 홍현성 p. 233-264
영조대 정국(政局)과 구언(求言)의 시행 = Practice of Gu-un(求言) and operation of political situations in rein of King Youngjo(英祖) 하서정 p. 265-297
항해(沆瀣) 홍길주(洪吉周)(1786~1841)의 공공(公共) 인식과 교육 구상 = The concept of 'Gong(公, public)' and the idea of education in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Confucian intellectuals, Hanghae Hong Gil-ju : 『숙수념(孰遂念)』을 중심으로 송수진, 김상현 p. 299-327
1792년 만인소 운동에 드러난 퇴계학의 영향 = The influence of Toegye studies in the Maninso movement of 1792 이상호 p. 329-366
『정재집』의 참여 각수와 간행 경비 = Participanting engraver and publication expenses of 『Jeong Jae-jip』 우진웅 p. 367-396
1900년 안동 신석리 봉수산 산송 전말과 그 특징 = A study of the lawsuit Andong Sinseok-ri Bongsu Mountain in the year 1900 김인호 p. 397-437
일제강점기 경북 예천군의 의료체계와 유학자의 질병 대응 = The medical system of Yecheon-gun, Gyeongsangbuk-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responses of Confucian scholars to illnesses : focused on the 『Sotaek Diary』(1913-1949) : 『소택일기』(1913~1949)를 중심으로 손경희 p. 439-476
용악(龍岳) 혜견(慧堅)의 생애·법맥과 관련 유물 검토 = The life and dharma lineage of Yongak(龍岳) Hyegyeon(慧堅) and the investigation of related relics 김방울 p. 477-516
한국학 연구의 현황과 미래 과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Korean studies : regarding 'independent openness' : ‘주체적 개방성’과 관련하여 정우락 p. 517-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