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공지능의 한계와 기술적, 예술적 사유의 다양성, 잠재성 = The limi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diversity and potential of technological, artistic thought : focusing on Stiegler’s concept of de-automatization : 스티글러의 탈자동화 개념을 중심으로 박성우 p. 1-19
인공지능기반 예술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구 =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AI-based artistic activities : focusing on academic discourse analysis : 학술적 담론 분석 중심으로 박남정 p. 21-46
팬데믹 이후 웰빙과 웰다잉에 대한 인식 변화와 심미적 경험과의 관계성 탐구 = Exploring the changing perception of well-being and well-dying in the post-pandemic era and its relationship to aesthetic experiences 정옥희 p. 47-70
상호문화교육의 설계와 전망 = A design and prospect of intercultur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우리나라 대학생의 상호문화역량을 중심으로 배영주 p. 71-93
2020년 이후 출간된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의 소재와 주제 분석 = Analysis of materials and themes of Korean picture books published after 2020 : implications for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 유아문학교육에 주는 함의 변윤희 p. 95-114
작곡교육이 자기조절학습 및 연주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omposition education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performance : a generative AI based approach : 생성형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유총총 p. 115-142
우리나라와 미국 미술 교과서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U.S.A. art textbooks : focusing on 3rd and 4th grade :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김해경 p. 179-204
조형예술·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의 공감, 실무, 창의 역량 강화를 위한 SDGs 기반의 수업 연구 = Enhancing empathy, practical, and creative skills in visual arts and design students through SDGs : focused on the SDGs: Social Innovation Lab course at K university of art & design : K예술대학교 <SDGs: 사회혁신랩>을 중심으로 최정은 p. 205-228
리듬분석적 시각으로 본 영도지역의 해양문화도시 발전 가능성 탐구 = A study on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marine cultural city in Yeongdo area from rhythm analysis perspective 박세연 p. 229-251
농촌지역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욕구 = Arts and culture education needs of elderly in rural areas : focusing on McClusky's theory of adult learning needs : 맥클러스키의 노인 학습욕구이론을 중심으로 이지설 p. 253-280
예술교육가의 개념 변화와 정책과 현장에서의 추동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ual change of art educators and the driving relationship between field and policy 안지언, 이하늘 p. 311-334
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나타난 지역문화콘텐츠 활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use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 2023 focusing on the theme-oriented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project in Gyeonggi-do : 2023 경기지역 주제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이신영 p. 281-309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능동적 감상 지도방안 = Active liste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reflecting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 focused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장레베카, 김다윤, 최폴린, 현지훈, 노경원, 이현수 p. 143-177
Neuropsychological wellness model development with virtual reality, music and arts considering digital literacy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 퇴행성 뇌질환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고려한 가상현실과 예술활동의 신경심리학적 웰니스 모델개발 : MEC-VR Model & SORC Model 중심으로 Eunyoung Han, Jinse Park p. 335-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