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연행록사전 편찬 및 DB 구축 사업’의 성과와 활용 방안 = A performance and utilization of ‘Yeonhangrok Dictionary (燕行錄事典) compilation and DB construction project’ 감준희, 신익철 p. 11-48
농악의 문화적 특성으로 본 『한국농악용어사전』 편찬의 한계와 대안 =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ong-ak and various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f compilation of the Korean Nongak Dictionary 허정주 p. 49-73
『한국문화 국영문 사전』의 구성과 주제 범주에 관한 이론적 재고찰 = A theoretical re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matic categories of Korean-English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박소영, 정은선, 고정희 p. 75-102
『한국 근대 간행물 영문 사전』의 이용자 특징과 편찬 전략 = User characteristics and compilation strategy of the Encyclopedia of Modern Korean Publications 장경식, 방혜숙, 도원영 p. 103-128
신라 諡號制의 기원과 中古期 王名 이해 = The establish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Shihō system in 5th-6th century Silla 박초롱 p. 131-156
고려전기 『顯密圓通成佛心要』의 간행과 유통 =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XianMiYuanTong ChengFoXinYao (顯密圓通成佛心要) in the early Goryeo Dynasty : regarding the Goryeo record of XianMiYuanTong ChengFoXinYao (顯密圓通成佛心要) held by Toji Kanjiin (東寺 觀智院) : 東寺 觀智院 소장 『현밀원통성불심요』의 고려 識語를 중심으로 박용진 p. 157-179
고려 후기 상장군직의 활용 = The utilization of the Sangjanggun position in the late Goryeo : focusing on the cases awarded to successful candidites[실은 candidates] for the state examination : 급제자에게 수여된 사례를 중심으로 안주영 p. 181-218
정조 대 전경문신(專經文臣) 제도의 운영과 특징 = Jeongyung-Moonshin (專經文臣) policy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이연진 p. 219-236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행복한 향촌 생활의 구상 = The conception of a happy rural life in Imwon Gyeongjeji (林園經濟志) : focusing on Yegyuji, Iunji, and Hyangryeji : 『예규지』⋅『이운지』⋅『향례지』를 중심으로 박종천 p. 237-281
<이춘풍전> 이본으로서의 <진시효열녹>과 그 가치 = The value of “JinshiHyoYeolNok” as a variant of “Leechunpungjeon” 이지수 p. 283-313
식민지 조선의 자동차 보급 추이와 시장 변화 = Trend of automobile penetration and market shifts during the Japanese rule 이명학 p. 315-344
191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불교 동향 = The trends of Japanese Buddhism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1910s : focusing on the data from Japan's Chūgai Nippō : 일본 『중외일보』 자료를 중심으로 제점숙 p. 345-371
게일의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한국민족사』, 1927)에 수록된 한국 한시의 특성 =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ansi (Korean poetry written in Chinese) featured in James S. Gale’s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강혜정 p. 373-396
식민지 말기(末期) 이기영 소설의 한 내면 = A part of inscape of Lee Ki-young's fictions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junctions between Reservoir(1943) and previous fictions : 「貯水池(저수지)」(1943)와 선행소설들과의 접합 지점을 중심으로 최강미 p. 397-432
윤석중의 동요시형 연구 = A study on Yun Seok-Joong's style of children's song :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and song : 말과 노래의 특성을 중심으로 강영미 p. 433-470
‘마을’의 문명론적 접근과 체계에 대한 시론 =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civilizational perspective and system of the 'village' 김태우 p. 471-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