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지털 사회의 구술문예 연구 = A study on oral literature & verbal arts in a digital society : <컬투쇼레전드사연> 관련 콘텐츠를 중심으로 조현설 p. 7-27
온라인 공간에서 나타나는 ‘구전설화’ 용어의 새로운 향유 연구 = A study on new modes of consumption of “gujeonseolhwa” (oral folktale) as expression in online spaces : focusing on fan activities in community websites : 커뮤니티 사이트의 팬 활동을 중심으로 김준희 p. 29-69
괴기에서 웃음으로 = From grotesque to goofy : the case of transmission of the urban legend “Red Mask” and its meaning : 도시 전설 <빨간 마스크>의 변용 사례와 그 의미 박성혜 p. 71-96
‘나폴리탄 괴담’ 장르의 형성과 그 성격 = The formation and dynamics of the “napolitan stories” genre 박광은 p. 97-151
인터넷상의 단군신화 다시 쓰기 = Rewriting the Dangun myth on the internet : focusing on “garlic memes” : ‘마늘 밈’을 중심으로 권은초 p. 153-179
4대 달라이 라마 욘땐 갸초 (yon tan rgya mtsho, 1589-1617)에 대한 티베트인들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Tibetans towards the 4th Dalai Lama Yonten Gyatso (yon tan rgya mtsho, 1589-1617) 최소영 p. 183-207
삶과 죽음의 교착(交錯) = The entanglement of life and death : theme and genre in Euripides’ Alcestis : 에우리피데스의 『알케스티스』에서 테마와 장르 최미 p. 209-243
근대 전환기 지방 유림의 한시에 나타난 이산 체험과 가족애의 일면 = An aspect of the diaspora experience and family love in the poetry of traditional intellectuals in the local region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 고암(鼓巖) 황병중(黃炳中)을 중심으로 한길로 p. 245-270
식민지 조선의 디자인 담론 = Design discourse in colonial Korea : theories and critiques of “commercial art,” 1920s-1930s : 1920-30년대 ‘상업미술’ 이론과 비평 전용근 p. 271-310
토마스 만의 피렌체 = Florenz bei Thomas Mann : Thomas Manns Reise nach Florenz als Schnittpunkt ‘Geist und Leben’ und die Aufnahme der Renaissancekultur : ‘정신과 삶’의 교차점으로서 토마스 만의 피렌체 여행과 르네상스 문화 수용 김효진 p. 311-344
비디오게임 연구의 지형도 = A topography of videogame studies : towards possibility of critical videogame studies : 비판적 비디오게임 연구의 가능성을 위하여 고민선 p. 345-382
메가아시아 관점에서 다문화공간 재사유하기 = Rethinking multicultural space from a mega-Asian perspective : using Gimhae city’s foreigner street as an example : 김해시 외국인거리를 사례로 정현주, 고일홍, 심우진, 김정섭 p. 383-424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시작과 전개 과정 = The origin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조민재 p. 425-452
니체 해석의 세 가지 방향 = Three ways of interpreting Nietzsche : postmodern leftist reading, Heideggerian reading, and virtue ethics reading : 포스트모던적 좌파의 해석, 하이데거의 해석, 덕 윤리로 보는 해석 박찬국 p. 453-481
회복과 불안의 스타일로서 미니멀리즘 = Minimalism as a style of reparation and anxiety 김정하 p. 483-509
가상현실은 공감 기계인가? = Is virtual reality an empathy machine? 이다민 p. 511-543
<내게 빛나는 모든 것>의 관객 참여와 의미 생성 = Audience participation and meaning-making in Every Brilliant Thing : based on blending theory : 혼성 이론을 토대로 장영지 p. 545-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