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대학적응경로 다집단분석 = Multi-group comparison of academic adaptation pathways according to college admission criteria : focussing on D university : D 대학을 중심으로
|
김형수, 이주영
|
p. 1-15
|
|
|
|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in relation to school life adapation
|
권미영, 최보영
|
p. 17-31
|
|
|
|
상담 전공자의 질적 연구 수행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the experiences of counseling majors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
손고은, 김명찬
|
p. 33-53
|
|
|
|
국내 통합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integrated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in Korea
|
김지영
|
p. 55-71
|
|
|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놀이치료 관련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s play therap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안지수, 백서진
|
p. 73-89
|
|
|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대인관계 역량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chool life stres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김미, 김윤수
|
p. 91-105
|
|
|
|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이 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autonomy on practice of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 mediated by teacher-child interaction :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
이유진, 김경숙
|
p. 107-122
|
|
|
|
R 프로그램을 이용한 허위 정보에 관한 교육 분야 국제 연구 동향 분석 = Analyzing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misinformation in education using R programming
|
하상우
|
p. 123-142
|
|
|
|
비주얼 리터러시에 기반 한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Delphi survey study for developing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visual literacy
|
최은정
|
p. 143-159
|
|
|
|
예비 영어교사의 세계 영어에 대한 인식 =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world Englishes : focusing on a case of university A in Kyungnam : 경남지역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박은수
|
p. 161-173
|
|
|
|
대학(원)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university (graduate) students : self-compassion and distress tolerance as sequential mediators : 자기자비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
박소현, 이희경
|
p. 175-189
|
|
|
|
유아 전통미술 수업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traditional art classes for children
|
김영은, 김사랑
|
p. 191-205
|
|
|
|
IPA 분석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 교수역량(SCTC) 분석 = Analysis of learner-centered teaching competency (SCTC) using IPA : a case of D university :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김경희, 최주영
|
p. 207-220
|
|
|
|
중국인 여성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w계 이중모음의 음성학적 특성 = Phon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w-diphthongs pronounced by female Chinese learners : focusing on dynamic changes within the syllable : 음절 내부의 동적 변화를 중심으로
|
손상미
|
p. 221-232
|
|
|
|
일개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 : the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 pride : 간호 전문직 자부심의 매개효과
|
장은희
|
p. 233-244
|
|
|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학생 몰입 관련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college student immers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
문경연, 심태은
|
p. 245-257
|
|
|
|
한 교사의 소규모 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A narrative study on a teacher's experience in managing a small-scale class
|
정형수
|
p. 259-279
|
|
|
|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의 경계인으로서 삶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a life of non-tenure track full-time professor as a marginal man
|
김연
|
p. 281-305
|
|
|
|
성인의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vert and overt narciss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adults : the mediating roles of mentalization : 정신화의 매개효과
|
이지연, 정남운
|
p. 307-321
|
|
|
|
보육교사 권리 존중 및 직무번영감과 재직 의도와의 관계 =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rights and thriving at work and intent to remain employed
|
김경미, 안선희
|
p. 323-334
|
|
|
|
성인 여성의 치주질환과 불안 및 우울증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eriodontal disease and anxiety and depression in adult women : based on the 2020 KNHANES data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2차년도(2020) 자료를 중심으로
|
가경환
|
p. 335-344
|
|
|
|
대학생 공공성 척도 개발에 따른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llege students' publicness scale
|
김선형, 유수경
|
p. 345-362
|
|
|
|
독도 교육 교육봉사활동에서 수혜자인 고등학생의 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s a beneficiaries in Dokdo education connected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
강경리
|
p. 363-383
|
|
|
|
성찰적 학습일기 쓰기가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경험의 변화 = The effect of writing a reflective learning journal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changes in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
신재욱, 최지영
|
p. 385-403
|
|
|
|
고등학생이 지각한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최혜지, 김형택, 최보영
|
p. 405-416
|
|
|
|
초기 성인 여성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우울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in early adult women :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이지영, 안귀여루
|
p. 417-428
|
|
|
|
I-PACE 모델에 기반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조절 시도 경험 =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trying to limit smartphone use based on the I-PACE model
|
김소연
|
p. 429-442
|
|
|
|
대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university students :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 학업지연행동의 이중매개효과
|
권예진, 김종남
|
p. 443-463
|
|
|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감독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mothers' monitoring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chool adjust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problems : 심리적 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보금로, 장영은
|
p. 465-485
|
|
|
|
중년여성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middle-aged women
|
이경자, 최웅용
|
p. 487-503
|
|
|
|
생성 AI ChatGPT의 활용이 한국어 쓰기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using generative AI ChatGP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writing proficiency in Korean :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욱아경, 유훈식
|
p. 505-520
|
|
|
|
저소득층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low-income 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solation : 사회적고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신민영, 유병철
|
p. 521-536
|
|
|
|
자원봉사 활동 참여가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upon ego integrity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
신경숙, 변상해
|
p. 537-549
|
|
|
|
온라인 NCS 피부미용실습 수업에서 교육환경과 능력단위인지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bility unit recogni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NCS skincare practice class :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presence :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
|
문윤희, 김민경, 리순화
|
p. 551-564
|
|
|
|
기독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가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spiritual well-being in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
김신우, 최봉도
|
p. 565-581
|
|
|
|
대학 신입생 대상 학습전략 하위요인에 의한 학업성취 예측 및 군집 분석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cluster analysis by sub-factors of learning strategies for college freshmen
|
박연정, 강현주
|
p. 583-602
|
|
|
|
대학생의 보건의식과 보건교육 요구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health awareness and health education needs among university students
|
이시영
|
p. 603-623
|
|
|
|
일본 초⋅중 통합학교의 특성과 성과 분석 =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integrated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Japan
|
김현욱, 이한솔, 김진오, 권동택
|
p. 625-639
|
|
|
|
Jigsaw, TGT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과 활용방안 탐색 = Exploring awareness of Jigsaw and TGT and ways to utilize them : a case study from 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D 교육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
서미옥
|
p. 641-655
|
|
|
|
교사용 유아 사회적 유능성 척도(SCS-KPC)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al competence scale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
이채호
|
p. 657-667
|
|
|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 교수창의성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ensitivity, teaching creativity,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
서은채, 장상옥
|
p. 669-689
|
|
|
|
가족체계이론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양육불안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family system theory-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nxiety of mothers with school-age children
|
박성희, 하문선
|
p. 691-708
|
|
|
|
간호대학생의 자기공감, 전문직관, 죽음에 대한 인식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elf-compass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 of death on attitudes to death of nursing students
|
임정혜, 김미정
|
p. 709-722
|
|
|
|
특수교육 분야의 자문화기술지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trends in autoethnography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
이지연, 홍재영
|
p. 723-737
|
|
|
|
학습지원 과목 수강이 반복적 학사경고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 study support course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concep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on repeated academic probation
|
원주연, 성귀복
|
p. 739-757
|
|
|
|
자살 위기개입 상담사들의 실천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counselors' practical experiences in suicide crisis intervention
|
박경자, 김명찬
|
p. 759-775
|
|
|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유아음악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내용지식과 음악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based on PBL on the music teaching content knowledge and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신애선
|
p. 777-795
|
|
|
|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우울, 스마트폰 중독의 종단적 관계 =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perceived parenting,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early adolescents
|
노은미, 김도연
|
p. 797-810
|
|
|
|
초등학생 대상 창의성 및 AI 가치인식 향상을 위한 AI 융합 그림책 창작 수업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I convergence picture book creation class program to improve creativity and AI value recogni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하수경, 김승현
|
p. 811-838
|
|
|
|
담임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을 통해 중재반응모형 2단계에 적용한 직접교수가 초등학교 6학년 수학 학습 부진 학생의 비와 비율 영역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direct instruction applied to tier 2 RtI through the cooperation of homeroom teacher and special teacher on the rate and ratio achievement of mathematics underachieving students in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
송요한
|
p. 839-853
|
|
|
|
플립러닝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만족도가 학습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self-efficacy in simulation education linked to flipped learning
|
백경화, 조정화, 조미옥
|
p. 855-865
|
|
|
|
간호대학생의 통증관리와 수혈요법 핵심간호술 수행 평가 = Evaluation of nursing students' core nursing skills in pain management and transfusion therapy
|
박혜자, 김선기, 유지혜, 이수영
|
p. 867-880
|
|
|
|
한국 간호대학생의 일본병원 임상실습 경험에 관한 포커스그룹 연구 = Practicum experiences in a Japanese hospital : a focus group study of Korean nursing students
|
문현정, 차선경, 안수연
|
p. 881-893
|
|
|
|
농업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farm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n life satisfaction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self-efficacy and digital self-reliance : 디지털 효능감과 디지털 자립의 이중매개효과
|
최현정, 이찬
|
p. 895-907
|
|
|
|
학습성찰일지와 발표에 나타난 학습자 행위주체성 탐색 = Exploring student agency in learning reflection journals and presentations
|
박은경, 윤진영, 김정, 김지현
|
p. 909-922
|
|
|
|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와 수업이해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classroom lesson understanding
|
박희진, 장영수
|
p. 923-936
|
|
|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에서 도덕적 정체감과 피해자 정의민감성의 이중매개효과 =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moral identity and victim justice sensitivity in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 parent's attachment on cyberbullying
|
장창곡, 이지연
|
p. 937-951
|
|
|
|
(The) impact of music subject preference on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of science gifted students = 음악 과목 선호도가 과학 영재학생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 음악-과학 GI-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music-science GI-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
Jiseon Hwang, Jongwoo Jung
|
p. 953-966
|
|
|
|
청소년기의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과 성인기 사회불안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in adolescence and social anxiety in adulthood :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비난의 이중매개효과
|
이서경, 이영호
|
p. 967-979
|
|
|
|
상호문화역량 증진 실천에 참여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 =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intercultural competence enhancement practices
|
최정아, 안혜정
|
p. 981-1001
|
|
|
|
교육전담간호사가 주도하는 신규간호사를 위한 지지적 임상현장교육 적용 및 효과 = Application and effect of supportive clinical field education for new nurses led by educational nurses
|
송휘영, 김현영
|
p. 1003-1017
|
|
|
|
기혼 중년기 여성의 말기암 노모와의 사별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탐구 = An autobiographical exploration of a married middle-aged woman's experience of losing her terminally ill mother : focusing on life and death, experiences before the loss for three months : 생(生)과 사(死), 3개월간 사별 전 경험을 중심으로
|
조경희
|
p. 1019-1035
|
|
|
|
청소년의 차별 경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adolescents' discrimination experience : focusing on domestic literature :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김아리, 양준석
|
p. 1037-1048
|
|
|
|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A review of a university course evaluation research in Korea : focusing on the instructor variable (1994-2024) : 교수자 변인 중심으로 (1994-2024)
|
고명희, 은선민
|
p. 1049-1075
|
|
|
|
대학생 전공만족도, 전공몰입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arri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ajor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민현구, 박영근
|
p. 1077-109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