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hatGPT를 활용한 "지역 특화분야 직업교육 프로그램" 도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in regional specialized fields"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GPT 이용환 p. 1-9
UTAUT 모형 기반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기술을 활용한 무형문화유산 전시 연구 = A study on the exhib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sing human-computer interaction technology based on the UTAUT model : focusing on 'Weifang Kites' : ‘웨이팡 연’을 중심으로 진중혜, 김영빈 p. 10-19
브랜드 캐릭터의 아이덴티티 전략 연구 = A study on brand character's identity strategy : focusing on university characters : 대학교 캐릭터를 중심으로 이원범 p. 20-32
공공디자인으로서 순천시 벽화가이드라인 수립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uncheon City mural guidelines as a public design 유선웅 p. 33-44
재난⋅재해를 대비한 신체적약자의 체험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experience spaces for the physically weak in preparation for disasters and catastrophes 이진숙, 진은미, 허경은 p. 45-53
펫 사료의 패키지디자인에서 나타난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 연구 = A study on brand identification strategy in the package design of pet food : focusing on online market for pet food brands in Korea and China : 한국과 중국의 펫 사료 Online 시장을 중심으로 우저윈, 이원범 p. 54-68
여서체(女書體)의 사회문화적 가치 고찰 및 시각디자인 적용 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value and application of visual design of 'Yeoseo-style' 강우적, 김은정 p. 69-81
실재의 해체를 주제로 한 뉴미디어아트 작품 = A study of new media artworks on the dissolution of reality : focused on author's work <Boundary> : 본인 작품 '경계' 중심으로 근일낙, 김형기 p. 82-90
뉴미디어아트와 탕카의 융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ssible integration of new media art and Thangka 왕운룡, 김형기 p. 91-98
상황인지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의 수용자 반응 연구 = A study on the user response to situation-aware digital signage advertising 김민석 p. 99-107
유튜브 썸네일 디자인 요소의 효과 = The effect of design elements in YouTube thumbnails 서송이 p. 108-115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만화애니메이션 및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의 AI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generative AI utilization experience on changes in AI percep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mics, animation, and design 윤정윤, 감성원 p. 116-123
친환경 화장품 발명 디자인 작품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invention design works of eco-friendly cosmetics 박채원 p. 124-133
4세대 K-pop 여성 아이돌의 비주얼 브랜딩 전략 요소로 활용된 타이포그래픽 디자인 분석 = An analysis of typographic design as a strategic element in the visual branding of fourth-generation K-pop female idols 조안나 p. 134-143
미래 모빌리티의 휴먼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human interface design for the future of mobility : focusing on earth and space mobility cases : 지구와 우주 모빌리티 사례 중심으로 유지훈, 박종빈 p. 144-158
루이비통과 쿠사마 야요이 협업에 나타난 조형 특성 =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Louis Vuitton and Yayoi Kusama : focusing on the bag : 가방을 중심으로 최무석 p. 159-167
한국문화의 융합 기질과 야누스적 사고의 맥락적 유사성을 적용한 디자인교육 사례 = A case study on design education applying contextual similarity between the convergence temperament of Korean culture and Janusian thinking 이상훈 p. 168-174
버내큘러 디자인이 반영된 에디토리얼 일러스트레이션과 플랫폼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ditorial illustration and platform applications incorporating vernacular design 김현지 p. 175-185
병원침대 디자인의 현황 파악을 위한 소셜네트워크 키워드 분석 = Social network keyword analys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hospital bed design 서유지, 이상영 p. 186-194
국내 디스플레이 폰트 연구를 통한 폰트 디자인 = Font design through the research of domestic display fonts trends : focusing on the digital font 'Duri' : 디지털 폰트 ‘두리체’를 중심으로 문하나, 조안나 p. 195-202
2023년 칼데콧 상 메달 수상도서「Hot Dog」(핫 도그)의 교육적 함의 =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2023 Caldecott Award medal winner「Hot Dog」(Hot Dog) 윤혜원 p. 203-212
중국 시장 단백질 파우더 패키지 디자인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protein powder packaging design in the Chinese market 심천, 박종빈 p. 213-221
주얼리 디자인을 위한 이미지 생성 AI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적용 = Application of prompt engineering in AI image generator for jewelry design 강혜림 p. 222-232
피난약자를 위한 안전체험 공간 조성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safety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pace of the vulnerable : for the vulnerable, helpers and experts : 피난약자, 조력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허경은, 진은미, 이진숙 p. 233-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