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22 개정 연극영화 교육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2022 revised film curriculum : 영화 교과를 중심으로 이아람찬 p. 1-14
상호교차성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드라마 <파친코> = The drama Pachinko from an intersectional feminist perspective : the impact of intersecting oppressions on character development : 교차적 억압이 캐릭터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최정인 p. 15-30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arts high school curricula : focusing on the curriculum for theater and film education : 연극·영화과를 중심으로 이대영, 오수빈 p. 31-51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 <괴물>의 서사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 strategies in film <Monster> : focused on information control : 정보 제어 관점으로 송예진 p. 53-68
무대 운동 이미지의 표현과 의미 상관성 = Intermedial expression of sensorimotor image and mechanism of theatre stage : based on the notion of cognitive embodiment and image schema : 이미지 도식과 체현 인지 개념을 바탕으로 백영주 p. 69-85
학생 중심 예술 영화제 활성화 방안 = Strategies for revitalizing student-centered art film festivals 김경배 p. 87-103
미디어 아트영상제작을 바탕으로 한 예술영상제작 교육의 환경 연구 = Based on the media art video production, a study on the environment of art film production education 진승현 p. 105-120
제주특별자치도의 가정·학교·지역사회 연계로 늘봄 교실 = Classrooms for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centered on the ethics of care "Happiness and Education" by Nel Noddings : 보살핌의 윤리 ‘넬 나딩스(Nel Noddings)의 「행복과 교육」’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예술교육 안지언 p. 121-145
Action Learning 기반 음악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팀효능감과 수업만족도가 대인관계능력 및 문제해결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 A study of the effect of team effectiveness and class satisfaction on interpersonal skills and problem-solving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in an action learning-based music liberal arts classes 한수정 p. 147-179
교사의 문화예술교육 연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eacher training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윤지영 p. 181-195
한·중 실용음악 입시생 고등학교 3학년의 음악 이론 학습 성취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usic theory learning achievements of high school seniors applying for practical music entrance exams in Korea and China 남천홍, 이철희 p. 197-210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재정 현황과 정책 개선 방안 고찰 = A review of educational finance status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arts education 손승혁 p. 211-231
AI 음악 생성기 수노(Suno)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ducational value of AI music generator Suno 양종모 p. 233-254
예술고등학교 현황 조사 및 운영 방향 제안 = Current status and operational direction proposals for arts high schools : insights from education administrators, arts education researchers, and artists : 예술고 교육 행정 및 관리자, 예술 교육 연구자, 예술가의 경험으로부터 안지연, 김지현, 정옥희 p. 255-275
2022 개정 통합 교과용 도서로 살펴본 초등 저학년 국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early-grade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 2022 revised integrated textbooks 김아현 p. 277-299
무용학과 대학생의 창의적 마인드셋, 창의적 자기신념 및 동기의 프로파일 분석 = Analyzing profiles of creative mindset, creative self-beliefs, and motivation in university dance students 장보경 p. 301-322
개념 기반 탐구학습으로서의 음악 창작 교수·학습 방안 제안 = A study on instructional and learning strategies for music creation based on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 정윤정 p. 323-345
자가 수업컨설팅을 통한 연기교수법 연구 = Research on acting teaching methods through self-lesson consulting : based on 'basic acting Ⅰ' from Kyonggi University : 경기대학교 ‘기초연기1’ 수업을 중심으로 김혜주 p. 347-366
인간과 생성형 인공지능의 협업 =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generative AI : guiding V-log production in high school music classes : 고등학교 음악 수업에서 브이로그 제작 지도 정영선, 권혜근, 문현경 p. 367-381
실험영화의 프레임 연구 = A study of the frame in experimental film 장민용 p. 383-392
페미니즘 지리학 관점에서 본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공간 분석 = Spatial analysis of the film <Kim Ji-young, Born 1982>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geography 윤장호 p. 393-409
시네포엠을 활용한 영화치료 연구 = A study on cinema therapy using cine-poem 송낙원 p. 411-427
아녜스 바르다의 영화와 일상적 실천 = Everyday practice in Agnès Varda's film focusing on Daguerréotypes : 영화 <다게레오타입들>을 중심으로 김동윤 p. 429-444
아역, 청소년 배우의 자아정체성 유실과 혼란 현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eclosure and diffusion of self-identity in child and adolescent actors : a grounded theory approach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양소영, 김현희 p. 445-467
대학 연극 공연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저작권제도 개선 방안 = Copyright improvement strategies for educational use in college theater productions : application of fair use doctrine : 공정이용법리의 적용 이영미 p. 469-482
디지털시대의 미디어 무용의 창작 제작을 위한 과제와 대응 = A study on the challenges and responses for the creative production of media dance in the digital age 이인숙 p. 483-501
국내 창작 뮤지컬의 ESG 가치 실현 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ESG values in Korean original musical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musical <Laura the Polar Bear> : 뮤지컬 <북극곰 로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채하, 조준희 p. 503-526
음악의 향유와 회복탄력성 = The music enjoyment and resilie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atharsis : 마음챙김의 매개효과와 카타르시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요완, 이승현 p. 527-543
태극권 융복합 예술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에 관한 고찰 = Reflections on the cultural content value of taekwondo fusion art : focusing on taekwondo fusion performance : 태극권 융복합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유비, 진승현 p. 545-561
비올라 스폴린의 연극게임이 지닌 효용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iola Spolin's theater games 함현경 p. 563-578
Suno AI와 Udio AI로 만든 음악 작품 분석 = Analysis of music works created with Suno AI and Udio AI 박은비, 김민지 p. 579-596
음악과 보편성의 파동 = The wave of universality in music : understanding the music market through trading analysis : 트레이딩 분석법을 활용한 음악시장의 이해 천주성 p. 597-618
(The) process of festivalization througsssh[i.e. through] the formation and production of regional culture = 지역 문화의 형성과 생산을 통한 축제화 과정 : 강릉커피축제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Gangneung Coffee Festivalss[i.e. Festivals] Yoon, hakro, Park, jongick p. 619-644
뮤지엄 관람객의 상호작용을 진작하는 사회적 사물과 질문의 중요성 = Significance for social objects and questions to encourage visitor interaction in museum exhibition 이혜진 p. 645-659
가야금산조 ‘중중모리’에 나타나는 시김새 분석 = Analysis of Sigimsae of Gayageum Sanjo 'Jungjungmori' : focusing on Gayageum Sanjo of 7 schools : 7개 유파 가야금산조를 중심으로 장원희 p. 661-683
대학에서 예술분야 전공교육과정 인증모형 개발 연구 = Research on development of accreditation model for arts major curriculum in university 김혜경, 홍수진 p. 685-703
교사와 학생의 정서적 유대감 증진을 위한 창의 예술치유 프로그램 개발 요구 = The need for developing creative arts therapy programs to enhance emotional bond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김정혜, 태진미 p. 705-729
음악 창작교육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in teaching and learning for creating music in Korea 신혜경 p. 731-750
구성주의 학습 환경 설계모형(CLEs)기반 인공지능(AI) 작곡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창작 수업 개발 =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AI) composition program-based creative music instructional program grounded in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CLEs) design model 한수현, 한경훈 p. 751-770
한국의 미술정책 중장기 계획 동향 분석과 과제 = Trends and future task for Korea's long-term art policy : a PESTLE analysis : PESTLE 분석을 바탕으로 김혜인, 이소민 p. 771-792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프로젝트형 음악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project-based music classes using backward design 이보림, 진승현 p. 793-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