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인식 조사를 통한 친환경농업의 정책적 시사점 도출 연구 =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policy implication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hrough the survey on awareness of farmers
|
엄혜선, 신예은, 신은서, 한석준, 정명철, 안경진
|
p. 1-11
|
|
|
|
국토외곽 먼섬 지역 거주민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 분석 및 활용방안 = Analysis of policy priorities and utilization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islands on periphery of the territory
|
김용진, 안기수, 이성희, 김종서, 김남희
|
p. 13-25
|
|
|
|
농촌문화체험의 공동체의식이 지역애착과 지역사회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ense of community on in rural cultural experience on regional attachment and community satisfaction
|
이호경, 최현주, 최선희, 장동헌
|
p. 27-36
|
|
|
|
페놀로지를 통한 세계중요농업유산 제주밭담의 문화경관 가치 읽기 = Reading the cultural landscape value of Jeju's Batdam, a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site, through phenology : focused on 'Yeongdeung Halmang Batdam' in Gwiduk 1-ri : 귀덕1리 ‘영등할망밭담’을 중심으로
|
정다애, 김도은, 서준원, 손용훈, 조경진
|
p. 37-52
|
|
|
|
농촌지역 인구규모에 따른 생활서비스 시설 입지 특성 분석 연구 = Analyzing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based on rural population size : a focus on Japan's study on service facility closure and maintenance thresholds : 일본 국토교통성의 생활서비스 유지·폐업선 도출 연구를 중심으로
|
유준완, 김상범, 김수연
|
p. 53-60
|
|
|
|
과수 생산의 규모의 경제 분석 = An analysis of economies of scale in fruit production
|
김세혁, 임청룡, 김태균
|
p. 61-72
|
|
|
|
농촌공간의 동질지역 분류를 위한 공간자기상관 분석 연구 = The study on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for classifying homogeneous areas in rural spaces : focusing on population structure changes in Sangju-si : 상주시 인구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
유준완, 최진아, 김수연
|
p. 73-84
|
|
|
|
중심 지점 근접도 및 건물 밀도 분석을 통한 농촌 중심 권역의 공간적 분포 형태 분석 =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rural central zones through proximity to central points and building density analysis
|
이성윤, 이상현, 배승종, 안필균
|
p. 85-95
|
|
|
|
APEX-Paddy 모델을 이용한 논벼의 녹색 및 청색 물발자국 분석 = Analysis of rice water footprint based on consumption and return flow using the APEX-Paddy model
|
김동중, 이상현, 김예찬, 임경규, 허영재, 윤푸른
|
p. 97-109
|
|
|
|
신도시농 문화 확산을 위한 캠퍼스 옥상 수경재배 실증실험 = An empirical study on the spread of new urban farming culture through hydroponics on campus rooftops
|
손용훈, 전창후, 조경진, 장성연, 김도은, 손광렬, 신재욱, 조창건
|
p. 111-125
|
|
|
|
농촌 마을 유형에 따른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추진 전략 우선순위 분석 = Priority analysis of rural space restructuring and regeneration strategies based on rural villages types
|
정주홍, 주향, 윤형창, 고아라, 배승종, 오윤경
|
p. 127-137
|
|
|
|
스마트농업이 농가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mart farming on farm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first generation smart farms : 1세대 스마트팜을 중심으로
|
강혜정
|
p. 139-146
|
|
|
|
농촌지역 삶의 질과 거주성을 고려한 취약성 진단방법 개발 및 시범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vulnerability diagnostic indicators for rural areas : a case study of Jinan, Jeollabuk-do, considering quality of life and livability : 전라북도 진안을 대상으로
|
강수정, 박유진, 김린, 이상우, 김상범, 이정아
|
p. 147-163
|
|
|
|
AHP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농촌중심지의 정주계층 구분 방안 = Efficient classification of settlement hierarchy in rural centers using the AHP method : 경상남도 고성군·하동군을 중심으로
|
김근호, 최영완, 김영주
|
p. 165-175
|
|
|
|
농장주의 치유농업 연계 사회서비스 제공 의향 수준과 영향 요인 = Farmers' wiillingness to provide social services based on agro-healing activities and its predictors
|
김정은, 정덕진, 김은혜, 류진석
|
p. 177-185
|
|
|
|
농촌경관 데이터를 활용한 경관농업지구 설정 기초 연구 = A basic study on appointing landscape agricultural districts using spatial data
|
최진아, 유준완, 김수연, 도지윤, 김상범
|
p. 187-195
|
|
|
|
농촌공간정비사업 대상지 우선순위 평가방법 = Evaluation methodology for selecting target sites of rural spatial improvement projects
|
주향, 정주홍, 조은정, 배승종, 오윤경
|
p. 197-207
|
|
|
|
농촌지역 커뮤니티시설의 실내공기질 실태분석 연구 = An analysis of indoor air quality in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areas
|
김용균, 김상범
|
p. 209-217
|
|
|
|
VR기술을 활용한 가상치유농장 시스템 개발 및 사용성 분석 = Development and usability analysis of agro-healing virtual reality therapy system
|
배승종, 김수진, 구희동, 진병각, 신유진, 조예슬, 김대식
|
p. 219-227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