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디자인에서 서비스 모듈의 확인 방법 제안 및 세분화 연구 = A study on verification methods and segmentation of service modules in service design : focus on hotel service : 호텔 서비스를 중심으로
|
고뢰도, 조광수
|
p. 1-16
|
|
|
|
(A)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installation art in curated retail on Z-generation consumers' visit intention : taking gentle Monster's Giant exhibition as an example = 큐레이티드 리테일에서 설치 미술이 Z세대 소비자의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융합 연구 : 젠틀몬스터 자이언트 전시회를 중심으로
|
Li, Jun Xian, Kim, Tae Yong
|
p. 437-458
|
|
|
|
빅데이터 기반 생성형 AI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제공 시스템 UX 디자인 개발 연구 = Research on UX design and development of real estate information system using big data-based generative AI : focusing on the case of real estate information service 'Ojirapper' : 부동산 정보 제공 서비스 ‘오지라퍼’ 사례를 중심으로
|
김경원
|
p. 17-28
|
|
|
|
융복합적 캔버스로서의 스크린 = Screen as a convergent canvas : intertexuality comparison in painting <Self-Portraits of Others> and film <At eternity's gate> of Julian Schnabel : 줄리안 슈나벨의 회화 <타인의 자화상>과 영화 <반 고흐, 영원의 문에서>의 상호 텍스트성 비교 분석
|
이홍원
|
p. 459-472
|
|
|
|
고령 친화적 스마트 홈 시스템의 경험 모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model of age-friendly smart home system
|
장속, 종칭호, 장니와, 저우이쉬안
|
p. 473-484
|
|
|
|
의류 세탁 라벨의 문제점 분석에 기반한 RFID 스마트 융합 의류 관리 시스템 연구 = A study on RFID smart convergence laundry care system based on analysis of problems in laundry label
|
김경진, 박은실, 안가현, 최가흔, 이중섭
|
p. 29-42
|
|
|
|
체화된 인지를 바탕으로 한 박물관 몰입형 체험 공간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mmersive experience space in museums based on embodied cognition theory
|
장일군, 김지은
|
p. 485-501
|
|
|
|
XR背景下舞台艺术沉浸式体验对观演满意度的影响研究 = The effect of the immersive experience of stage art using XR technology on viewing satisfaction
|
김리현, 장재욱
|
p. 43-53
|
|
|
|
국내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분석 = A text mining-driven analysis on educa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um of cultural contents departments in Korea
|
김소영
|
p. 55-76
|
|
|
|
사용자 요구 기반 지속 가능한 포장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lements for user need based sustainable package design : focusing on skin care products : 스킨 케어 제품을 중심으로
|
전연매, 장중식
|
p. 503-515
|
|
|
|
탄재와 목재 톱밥을 활용한 친환경 고성능 복합재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co-friendly high performance composite materials using coal ash and wood sawdust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interior design : 실내디자인 적용을 중심으로
|
조건동, 장중식
|
p. 517-529
|
|
|
|
스마트워치와의 융합형 손목 보호대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wrist guard with smartwatch
|
조현진
|
p. 531-542
|
|
|
|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cross-border E-commerce = 지역 경제 통합과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 한국 TMon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플랫폼의 사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user loyalty on Korea's TMon cross-border E-commerce platform
|
Bao, Tong, Sheng Shou Yi
|
p. 543-560
|
|
|
|
대학생의 소비 유형 분석을 통한 AI 기반 가용예산 관리 앱 서비스 제안 = A proposal for an AI-driven budget management application based on an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spending behaviors
|
노유원, 송민준, 임다솔, 이중섭
|
p. 77-87
|
|
|
|
아나모픽 3D 영상이 적용된 혼합현실(MR)의 공간적 실재감 연구 = A study on spatial presence in mixed reality(MR) with anamorphic 3D video
|
노주희
|
p. 89-100
|
|
|
|
아이트래커 기반의 카페 디지털 사이니지 정보 전달 효율성을 위한 최적 노출 시간 연구 = A study on optimal exposure time for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of café digital signage based on eye-tracking
|
한은지, 박수진
|
p. 561-574
|
|
|
|
SCI(Self Character Identification)와 몰입감이 게임 가상 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관한 연구 =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SCI (self-character identification) and flow on the intentions to purchase virtual items in games
|
양일, 조동민
|
p. 283-294
|
|
|
|
ICT·디지털기술 융합 기반의 인쇄산업 발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rinting industry based on ICT and digital technology convergence : based on Gwangju and Jeonnam area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황예진, 유승옥
|
p. 575-583
|
|
|
|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이미지 생성형 AI의 감성 모방 및 융합 능력 평가 = Evaluation of emotional imitation and fusion capabilities of image-generative AI for textile design
|
황유담, 한상만
|
p. 585-596
|
|
|
|
(A) study on user surveys for global telemedicine AI design = 글로벌 원격의료 AI 디자인 사용자 설문조사에 관한 연구
|
Deng, Ai, Seo, Han Sok
|
p. 101-114
|
|
|
|
중국 허저족(赫哲族) 어피 의상의 AI 이미지 생성 적용에 관한 융합연구 = A convergenc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I image generation of fish skin from the Hezhe costume in China
|
황쥔펑, 신혜경
|
p. 597-609
|
|
|
|
(A) method for designing age-friendly packaging using the Kano-AHP-TOPSIS model = Kano-AHP-TOPSIS 모델을 활용한 고령자 친화적 포장 디자인 방법
|
Hou, Yu Xin, Choi, Kyung Ran
|
p. 611-623
|
|
|
|
건축개념의 솔리드와 보이드를 적용한 융합적 도자표현 연구 = A convergent study on ceramics applying the concept of architecture of solid and void
|
박의선, 정진원
|
p. 115-124
|
|
|
|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level on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device use level and life satisfaction : 디지털기기 사용수준과 삶의 만족의 순차적 매개 효과
|
이주연
|
p. 415-435
|
|
|
|
한국 웹툰에서 재현된 동래온천의 장소성과 스토리텔링 서사 분석 = A study on the placeness and storytelling narratives represented in Korean webtoons : focusing on <God of Bath> and <Woman's Bath Report> : <목욕의 신> <여탕보고서>를 중심으로
|
박지희, 노영희
|
p. 125-138
|
|
|
|
시선 추적기를 이용한 모바일 두뇌훈련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방법 연구 =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method of mobile brain training application using eye tracker
|
박찬송, 최인욱
|
p. 139-149
|
|
|
|
데이터와 인공지능이 만든 융합예술 = Convergence art created by data and AI : a study of Refik Anadol's works : 레픽 아나돌(Refik Anadol)의 작품 분석
|
박태성
|
p. 151-162
|
|
|
|
디자인 지식재산 교육 콘텐츠 요구분석 = Needs analysis for desig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 focusing on online learners : 온라인 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
이정우, 김광식, 박혜신, 윤수인, 김지인
|
p. 397-413
|
|
|
|
시각장애인의 색채학습을 위한 음악-색 연합 음원 콘텐츠 개발 = Development of musical excerpts for color learning based on music-color association in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
|
박혜영
|
p. 163-179
|
|
|
|
미디어아트와 문화유산 융합 전시에서의 서비스 품질 모델 연구 =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model in exhibitions convergence media art and cultural heritage : focusing on the Suwon Hwaseong media art exhibition : 수원화성 미디어아트 전시를 중심으로
|
방시화, 박근석, 설상훈
|
p. 181-193
|
|
|
|
3D 프린팅 기반 고령자 맞춤형 지팡이 손잡이 설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3D printing-based personalized wand handle for the elderly
|
이예, 장중식
|
p. 383-395
|
|
|
|
마셜 매클루언의 「미디어의 이해」에 나타난 나르시스의 의미와 차가운 미디어의 감성 확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of narcissus and the expansion of sensibility of cold media in Marshall McLuhan's 「Understanding Media」
|
변민주
|
p. 195-208
|
|
|
|
(A) study on bathroom space design for elderly people in China = 중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욕실 공간디자인에 대한 연구
|
Bian, Chun Jian, Choi, Kyung Ran
|
p. 209-223
|
|
|
|
피치퍼즈 색상이 소비자 구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he peach fuzz color on consumer purchasing preferences : an analysis of strategies for utilizing emotional colors in cosmetic package : 색조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의 감성적 색상 활용 전략 분석
|
이민영, 한상만
|
p. 371-382
|
|
|
|
Exploring the impact of unboxing complexity on consumer satisfaction in cosmetic packaging = 화장품 포장에서 언박싱 복잡성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탐구
|
Li, Li, Cho, Dong Min
|
p. 355-370
|
|
|
|
푸드트럭의 다양한 외관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 차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consumer evaluation of various appearance images of food trucks
|
손숭, 조광수
|
p. 225-237
|
|
|
|
달 탐사 로버의 구조적 특성과 디자인 시사점에 대한 고찰 = An observation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implications of the lunar exploration rover : focusing on drive systems : 구동부를 중심으로
|
유은선
|
p. 341-353
|
|
|
|
카페리선 공용공간의 색채디자인 특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design in public spaces of car ferries : focusing on the Steam Packet Company's Manxman : Steam Packet사의 ManxMan호를 중심으로
|
신선영, 이규백
|
p. 239-249
|
|
|
|
소비자 체험 후 태도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ces in attitudes after consumer experience
|
유문걸, 조광수
|
p. 323-339
|
|
|
|
(A)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mechanism of digital human acceptance in short video animation among Chinese users = 중국 사용자의 쇼트클립 애니메이션 디지털 휴먼 수용도에 대한 영향 메커니즘 융합 연구 : 사용자 수요, 기대 및 인식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needs,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
Yu, Chang, Kim, Sae Hoon
|
p. 307-322
|
|
|
|
현대 사진 전시의 관람 경험에 대한 실증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visitor experience in a contemporary photography exhibition : a case study of <Koo Bohnchang's Voyages> : ≪구본창의 항해≫ 사진전 사례연구 중심으로
|
심소나, 조예은, 장보영, 이보아
|
p. 251-266
|
|
|
|
MOBA 게임의 유저 소비 선호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r consumption preference in MOBA games : focusing on the theory of perceived value : 지각가치 이론을 중심으로
|
왕지공, 조동민
|
p. 295-305
|
|
|
|
인공지능(AI) 기반 팬 플랫폼(Fan Platform)을 활용한 대중음악 마케팅 사례 분석 및 발전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marketing cases in popular music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fan platforms and research on development directions
|
양소혜, 한경훈
|
p. 267-28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