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비교와 분석에 의한 『자비도량참법집해(慈悲道場懺法集解)』 이본 조사 = A study on a newly discovered print of Jabidoryangchambeopjiphae (慈悲道場懺法集解) through image comparison and analysis : discovery of metal-type print prior to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s woodblock print : 청주 고인쇄박물관 소장 보물 목판본에 선행하는 금속활자본의 발견
|
유우식
|
p. 358-370
|
|
|
|
제작기법에 따른 현대 유기(鍮器)의 금속학적 특성 분석 = The metallurgical characteristics of modern brassware by manufacturing techniques
|
석유란, 배고운
|
p. 371-382
|
|
|
|
박물관 실내 온습도 현황과 새로운 기후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 Study on Korean museum’s indoor climate and need for the new climate guideline
|
김서진, 류호철, Bart Ankersmit, Marc H.L. Stappers, 곽병문, 김태희
|
p. 383-397
|
|
|
|
천연 원료광물 종류에 따른 적색 안료 특성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d pigm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natural raw materials
|
강영석, 문성우, 김명남, 황가현, 홍진영, 이선명
|
p. 398-408
|
|
|
|
초음파를 활용한 목조건축부재 열화 진단 연구 = Study on the diagnosis of deteriorated wooden architectural members using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
조정훈, 김인애, 김수철
|
p. 409-422
|
|
|
|
창덕궁 인정전 내부 평방 및 창방 부재 단청에 사용된 채색 재료 분석 = Analysis of painting materials used in Dancheong of Pyeongbang and Changbang inside Injeongjeon Hall at Changdeokgung Palace
|
이선명, 황가현, 문성우, 유지아
|
p. 423-438
|
|
|
|
서해중부해역 출수 닻돌과 목재 공반유물 연구 = Characterization of stone anchors with wooden objects found in the West Middle Sea of South Korea
|
유대영, 김택준, 이현지, 이광희
|
p. 439-452
|
|
|
|
조선시대 쌍자총통의 구조와 재료적 특성 = The structural and material properties of Ssangja Chongtong gun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Ssangja Chongtong gun, treasure owned by Seokdang Museum of Dong-A University :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 보물 쌍자총통을 중심으로
|
김미현, 박영환, 이재성
|
p. 453-465
|
|
|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 벽체의 목재 바탕 구조 및 재료적 특성 = Structural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wall framework for the mural painting at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in Yeongju
|
정혜영, 박수진, 문혜영, 김설희, 한경순
|
p. 466-478
|
|
|
|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출토품의 분석을 통한 제련실험 생성물의 재현성 평가 = Evaluation of bloomery process experiment product reproducibi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Chilgeum-dong iron making site in Chungju
|
홍주현, 김수경
|
p. 479-492
|
|
|
|
Fiber 레이저를 활용한 페인팅 조각작품 도장층 제거 적용성 연구 = Application of Fiber laser for removing the coating layer from painted sculptures
|
이상훈, 범대건, 송송이, 정광용
|
p. 493-510
|
|
|
|
건축문화유산의 전통 표면 마감제인 명유 재현과 내후성 평가 기초연구 = A foundational study on restore and evaluation of decay resistance of Myeong Yu(-oil), traditional coating agent for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
김건화, 이태종, 한경순
|
p. 511-524
|
|
|
|
제주 오등동 유적 출토 금동다층소탑의 재질과 도금 특성 분석 =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gilding technique of gilt-bronze miniature pagoda excavated from Odeung-dong site, Jeju
|
이재성, 김미현
|
p. 525-534
|
|
|
|
부여 북촌리 출토 동물뼈의 고DNA 분석을 통해 확인한 비특이적 산물의 새로운 해석 = New interpretations of nonspecific products : a case study of animal bone ancient DNA analysis from Bukchon-ri, Buyeo
|
김수연, 조은민, 강소영
|
p. 535-543
|
|
|
|
탄화목 현대미술 작품의 보존을 위한 강화처리 연구 = Experimental study of consolidating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carbonized wood in contemporary artworks
|
조상윤, 안하은, 권희홍
|
p. 544-556
|
|
|
|
함안 말이산 8호분 출토 갑주의 제작 특성 연구 = Study on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armor excavated from Tomb No.8 of the ancient Tumuli in Marisan, Haman
|
한우림, 박영아, 임지영
|
p. 557-575
|
|
|
|
회화문화유산에 사용된 안료의 적외선 촬영 시 노출에 따른 이미징 분석 연구 = Study on infrared imaging of pigments used in painting cultural heritage by exposure
|
문혜영, 정혜영
|
p. 576-591
|
|
|
|
고려 후기 경전 원지 특성 분석 및 보강지 제조 = Characteriz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manufacture of reinforced paper
|
정희원, 송정원, 양민정, 유지아, 윤은영
|
p. 592-600
|
|
|
|
인공열화에 따른 도면의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y of drawings by accelerated aging : focusing on tracing paper and cloth paper : 트레이싱지와 크로스지를 중심으로
|
문기훈, 김윤지, 이상현
|
p. 601-608
|
|
|
|
공주 공산성 출토 백제 토기와 기와의 재료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해석 = Interpretation of firing tempera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Baekje potteries and roof tiles from Gongsanseong Fortress in Gongju, Republic of Korea
|
신혜원, 박준형, 이찬희
|
p. 609-621
|
|
|
|
홍성 고산사 소조아미타불좌상의 내부 구조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lay Amitabha Buddha at Gosansa Temple in Hongseong
|
최정은, 정지연, 김지원, 이지영
|
p. 622-633
|
|
|
|
휴대용 분석법을 활용한 청동 조형물의 부식 특성 및 보존상태 진단 = Diagnosis of corrosion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on status of bronze sculptures using portable analysis methods
|
권희홍, 신정아, 김이연
|
p. 634-644
|
|
|
|
경북지역 보존유적 현황조사를 통한 보존과학적 고찰 = Preservation science considerations based on a survey of conserved heritage sites in Gyeongbuk region
|
위광철
|
p. 645-656
|
|
|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 벽체층의 제작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the wall layers of the mural painting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Yeongju
|
정혜영, 김설희, 문혜영, 한경순
|
p. 657-670
|
|
|
|
탄화목 현대미술 작품의 조사분석 및 보존처리 = Conservation processing of carbonized wooden contemporary artworks : focusing on Lee Bae’s “Issu De Feu” : 이배 “불로부터”를 중심으로
|
조상윤, 권희홍
|
p. 671-684
|
|
|
|
대전 도안대로 무연고묘 출토 복식 직물의 비파괴 분석 = A non-destructive analysis of excavated fabric artifacts from an unclaimed tomb at the Daejeon Doan-daero construction site
|
이황조, 유현수, 한원식, 손명수, 위광철
|
p. 685-697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