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학교부적응 학생의 심리와 그림 특징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psychological and drawing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maladjusted students 백중열 p. 1-13
2015 개정 검정 실과교과서 농업 생명과학 영역의 체제 분석 = Analysis on contents and constitution system of units of the agriculture domain in 2015 revised licensed practical arts textbooks 정남용 p. 15-33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을 위한 방안 탐색 연구 = A study on exploring support measures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n education 이기정 p. 35-53
경주시 고려인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만족도 분석 = Daily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of Koryoin in Gyeongju-si 박순호 p. 55-75
예비 초등 교사들의 영어 수업 실연에 대한 동료 피드백 양상 = An analysis of peer feedback patterns on English teaching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박영예 p. 77-94
듀이 교변작용의 개념 탐색 = The meaning of transaction in Dewey's philosophy 최석민 p. 95-112
예비교사 수업역량 제고를 위한 모의수업 교수·학습 모델 연구 = Research on microteach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 : focusing on art sub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 미술교과 교수·학습 모델을 중심으로 이은적 p. 113-132
초등 실과 지식재산교육 학습자료 개발 =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정진현 p. 133-148
수학과 음악 통합교육을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s and music 손교용, 황대진 p. 149-168
초등학교 저학년의 듣기와 읽기 관련성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lower elementary students 박창균 p. 169-186
경북지역 중도입국 학생을 위한 다문화지원정책 연구 = A study on multicultural support policies for immigrant students in Gyeongbuk region 배상식 p. 187-205
2022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현장 적용의 과제 = Assignment for fiel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2022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김만의 p. 207-234
IB PYP 추가언어교육 사례분석 = IB PYP additional language education in Korea : implications for primary English education 김영민 p. 235-250
초등 교원 양성대학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 교육과정 분석 = Analysis on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der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김유정 p. 251-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