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 세계 조직 AI 도입 75%… 일상·업무 필수 기술로 안착" : 2025년 주목해야 할 AI 트렌드 공개
|
안휘
|
p. 78
|
|
|
|
에스넷 "'시스코·델·엔비디아' AI 역량 통합, AI 시장 접수한다"
|
강석오
|
p. 83
|
|
|
|
국내외 보안 기업, 글로벌 보안 평가서 우수한 성적 거둬
|
김선애
|
p. 85
|
|
|
|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 기술로 '생성형 경제' 선도
|
강석오
|
p. 87
|
|
|
|
AWS "더 쉽고 전문적인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구축 지원"
|
안휘
|
p. 89
|
|
|
|
"北, 2024년 가상자산 도난 자금 61% 달하는 13.4억 달러 탈취"
|
김선애
|
p. 90-91
|
|
|
|
모바일폰 게임 체인저 '생성형 AI' : 차세대 생성형 AI 스마트폰
|
강지해
|
p. 95-97
|
|
|
|
"안전하고 편리한 인증 기술로 인류를 이롭게 한다" :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이사 [인터뷰]
|
[인터뷰이]: 이순형 ; 글: 김선애 ; 사진: 김구용
|
p. 104-105
|
|
|
|
"검증된 실력으로 전 세계 오펜시브 보안 시장 리딩" : 이성권 엔키화이트햇 대표이사 [인터뷰]
|
[인터뷰이]: 이성권 ; 글: 김선애 ; 사진: 김구용
|
p. 106-107
|
|
|
|
"SaaS 이용 기업, 모놀리 엔클레이브 필수" : 성기운 모놀리 대표이사 [인터뷰]
|
[인터뷰이]: 성기운 ; 글: 김선애 ; 사진: 김구용
|
p. 108-109
|
|
|
|
"양질의 데이터셋 기반 보안 특화 AI, 글로벌 진출 나서" : 김기홍 샌즈랩 대표이사 [인터뷰]
|
김기홍 [인터뷰이] ; 김선애 [취재]
|
p. 110-111
|
|
|
|
주목할 사이버 보안 트렌드 'AI·ZTA·공급망'
|
강인철
|
p. 112-113
|
|
|
|
글로벌 SIEM 대체하는 '큐티', 개선된 망분리 환경도 효과적으로 보호 : 쿼리시스템즈
|
글: 김선애 ; 사진: 김구용
|
p. 114-117
|
|
|
|
디지털 혁신 성공 비법, '시큐리티 네이티브' :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서비스와 함께하는 디지털 혁신
|
김선애
|
p. 118-122
|
|
|
|
AI 시대 초고속 네트워크 기술 경쟁 점화 : 인피니밴드 vs. 울트라 이더넷
|
강석오
|
p. 124
|
|
|
|
현실 가능성 높아진 양자 위협… 암호 민첩성 확보해야 : 양자 보안
|
김선애
|
p. 125
|
|
|
|
IT 인프라·운영 환경 혁신 견인차 '옵저버빌리티'
|
강석오
|
p. 126
|
|
|
|
사회공학기법 결합 딥페이크, 방어 어려운 공격 만들 것 : 딥페이크와 탐지 기술
|
김선애
|
p. 127
|
|
|
|
데이터센터 열 관리 해법으로 '액침 냉각' 부상 :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 혁신
|
강석오
|
p. 128
|
|
|
|
지피지기 백전불태… 'CTI'로 보안 리스크 완화한다 :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
|
김선애
|
p. 129
|
|
|
|
엔터프라이즈 무선 혁신 견인차 '와이파이 7' 개봉박두
|
강석오
|
p. 130
|
|
|
|
엔드투엔드 통합 가능한 XDR로 보안 복잡성 제거
|
김선애
|
p. 131
|
|
|
|
"IT 기술 적극 활용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다져야" : 주목되는 기술 인프라 트렌드
|
강석오
|
p. 132
|
|
|
|
권한있는 내외부 사용자로 인한 사고 대응 방안 마련해야 : 내부자 및 제3자 리스크 완화
|
김선애
|
p. 133
|
|
|
|
생성형 AI 시대 성장 동력 'AI 반도체·HBM' : 반도체 패권 경쟁 불꽃
|
강석오
|
p. 134
|
|
|
|
맞춤형 전문 AI 솔루션 시대 도래
|
강석오
|
p. 135
|
|
|
|
2025년, 진정한 AI 비서 등장한다 : 다양한 AI 활용 사례
|
안휘
|
p. 136-139
|
|
|
|
왕국의 황금열쇠 '계정·자격증명', 제로 트러스트 원칙으로 설계해야
|
김선애
|
p. 140-143
|
|
|
|
"AI·제로 트러스트 결합으로 SASE 진화 가속" : 제7회 SASE & SD-WAN 인사이트 2024
|
Network times
|
p. 144-152
|
|
|
|
"AI 플랫폼 75%, 신뢰·위험·보안관리 기능 추가할 것" : AI 보안
|
김선애
|
p. 154-157
|
|
|
|
클라우드 네트워킹 고도화 견인차로 'MCNS' 부상
|
강석오
|
p. 158-161
|
|
|
|
실제 현장 도입 가능한 제로 트러스트 참조 모델 필요 : 제로 트러스트 전략
|
김선애
|
p. 162-165
|
|
|
|
디지털 전환 뒷받침하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네트워킹 확산
|
강석오
|
p. 166-169
|
|
|
|
공격자 침입 가능성 낮추는 ASM… CTI 영역으로 확장
|
김선애
|
p. 170-173
|
|
|
|
WAN 인프라 혁신 견인… SASE로 확대 재편 예고 : SD-WAN
|
강석오
|
p. 174-177
|
|
|
|
OT, 디지털 혁신 가속화하지만 보안은 '주저'
|
김선애
|
p. 178-181
|
|
|
|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형 네트워크' 부상 : NaaS(Network as a Service)
|
강석오
|
p. 182-185
|
|
|
|
"호그와트 비밀의 문, 제로 트러스트 원칙 '앱게이트'로 구현한다"
|
Network times
|
p. 190-192
|
|
|
|
인터넷 무해화 기능 제공 RBI로 다양한 근무 환경 보호 : 제로 트러스트 관점 웹 보안
|
김광태
|
p. 194-19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