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인간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를 포용하는 제주의 돌 : 김남숙 《바다를 품은 돌》 | 글: 김진아 | p. 20-23 | ||
間_사이 ; '잇다' - '있다' : 조은미 《間 사이 잇다 Interactive Space》 | 글: 최연수 | p. 24-27 | ||
경이로운 세계 : 이아련 《경이로운 세계 Hoppy Marvels》 | 글: J. Lohmann Gallery | p. 28-31 | ||
변화하는 구름, 빛의 시간 : 조희연 《하늘, 빛, 그림자》 | 정리: 월간 도예 편집부 | p. 32-33 | ||
'도자기 너머 사람을 보다' : 《사기장(沙器匠), 흙을 빚어 삶을 이롭게》 | 글: 최유미 | p. 34-37 | ||
도예계를 휩쓴 일곱 가지 물결 | 글: 차윤하 | p. 40-41 | ||
2025 도예 지속가능성과 디지털이 이끄는 변화의 물결 | 글: 차윤하 | p. 42-43 | ||
유럽 도자예술의 최신 동향 : 전통과 실험 사이, 유럽 도예의 현주소 | 글: 차윤하 | p. 44-47 | ||
변화하는 문화예술 정책 | 글: 차윤하 | p. 48-49 | ||
물질에 스며든 빛, 시뮬라크르를 보는 눈 : 이인화 | 글: 홍지수 | p. 58-65 | ||
천년을 이어온 여주 도자에 불어넣는 명장의 혼 : 최병덕 | 글: 이민희 | p. 66-71 | ||
일상 속에 매일같이 쓰이는 공예 : 2024 공예트렌드페어 | 글·사진: 차영우 | p. 72-77 | ||
여주시, 신제품 개발과 디자인 지원사업으로 도자산업 생태계 활성화 | 글: 박미선 | p. 78-81 | ||
여주시, 천년의 도자기 역사와 쌀의 만남 - 창의적 혁신을 선도하다 : 이충우 여주시장 [인터뷰] | 이충우 [인터뷰이] ; 월간 도예 [취재] | p. 82-85 | ||
세밑, 다시 상기하는 '흙의 시간' | 글: 홍지수 | p. 100-101 | ||
백자 청화 장미넝쿨무늬 작은 항아리 | 글: 김대환 | p. 102-103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