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Performance)의 전체상(Larger truth)을 제시하다 = Performer Sung Neung Kyung has expanded the genre of hybrid performance : 퍼포머 성능경
|
글: 안재영
|
p. 22-33
|
|
|
|
상상력의 해방을 통한 숙성된 심경산수 : Kim Hyoungki
|
글: 이경모
|
p. 34-39
|
|
|
|
김영궁의 정서가 나무라는 어떤 물질 속에서 자라나 그 모습을 밖으로 드러냈다
|
글: 안재영
|
p. 40-43
|
|
|
|
감정의 변화를 보듬어 화폭에 뿌려놓은 검은빛 : 임하연
|
글: 임종호
|
p. 44-47
|
|
|
|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테크놀로지아트의 전개
|
글: 이경모
|
p. 50-53
|
|
|
|
뉴미디어 아트와 인공지능의 예술 창작 : 인간과 기계의 평평한 존재론
|
글·사진: 김연희
|
p. 54-59
|
|
|
|
뉴미디어 아트와 테크놀로지의 변증법 : 테제와 안티테제의 '공진화'
|
글·사진: 김허경
|
p. 60-65
|
|
|
|
아니카 이(Anicka Yi)가 이룬 아더랜드(Otherlands)
|
글: 이봉식
|
p. 66-69
|
|
|
|
제니퍼 스타인캠프(Jennifer Steinkamp)의 몰입
|
글: 한하나
|
p. 70-73
|
|
|
|
천경자의 삶과 예술을 통해 본 격동기 여성미술의 단면 : 《격변의 시대, 여성 삶 예술 - 천경자 탄생 100주년 기념》
|
글·사진: 정선화
|
p. 74-80
|
|
|
|
예술의 터전으로 승화시킨 삶의 흔적 : 정관모 김혜원 미술관 Museum C&K [인터뷰]
|
[인터뷰이]: 김혜원, 정진아 ; 글: 임종호
|
p. 82-85
|
|
|
|
화가 박진흥, 그는 누구인가! : 《광기(光記) : 드리워지다 Archive of the Light: Cast》
|
글: Artworld 편집부
|
p. 86-89
|
|
|
|
식민주의와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산물 : 인류세 : 광주 비엔날레 파빌리온
|
글·사진: 조소영
|
p. 90-93
|
|
|
|
색채로 빚어낸 예술의 서사시, 다나카 잇손(田中一村)
|
글: 정선화
|
p. 96-99
|
|
|
|
프리즈 런던 2024 : '도시 공간'의 예술적 재구성
|
글: 김용훈
|
p. 100-103
|
|
|
|
디마 스루지(Dima Srouji)의 팔레스타인과 그리스의 관계를 투영하는 유리 작업
|
글: 안재영
|
p. 104-107
|
|
|
|
《호흡-별자리(To Breathe - Constellation)》, 《흐르는 대로의 세상(Le Monde Comm Il Va)》의 김수자, 카르트 블랑쉬(Carte blanche)
|
글: 정소연
|
p. 108-111
|
|
|
|
국립근대미술관을 건립해야 한다 : 한국근대미술60년전과 예술원회원전
|
글·사진: 김달진
|
p. 112-116
|
|
|
|
리비 루게(Liby Lougue, Burkina Faso, 1987~ )
|
글: 정해광
|
p. 117-122
|
|
|
|
자연의 순환과 생명의 본질 : 이배, 김규, 김수희
|
글: 정선화
|
p. 124-127
|
|
|
|
바다와 인간 존재의 상관관계 : 《로마 현대미술주간 오지윤 특별 초대전》
|
글: 이봉식
|
p. 130-131
|
|
|
|
'하늘-바다-바람-어느 화가'의 해의반박(解衣槃礡) 이야기 : 《덮치고 파고들고 물러서서 - 김용주 展》
|
글: 최정주
|
p. 132-133
|
|
|
|
《Nostalgia - 이승수 展》
|
글: 박서영
|
p. 134
|
|
|
|
《몽간(夢間) - 김미란 초대전》
|
글: 이경모
|
p. 135
|
|
|
|
<파킹> 암 투병 후 신앙의 붓 들어 : 《박병근 개인전 - '빛이 있으라'》
|
글: 김민경
|
p. 136
|
|
|
|
무수한 발자국을 연결하듯 달항아리 안에 새겨넣는 인생길 《최영욱 展》
|
글: 임종호
|
p. 137
|
|
|
|
아카데미즘: 전통과 혁신의 변증법
|
글: 김민경
|
p. 138
|
|
|
|
매일 꾸는 자신의 꿈을 소재로 작업하고 있는 정수진 개인전《해몽》
|
글: 정선화
|
p. 139
|
|
|
|
《이것에 대하여》 그의 전시는 말하고 있다 : 김주원 큐레이터 [인터뷰]
|
[인터뷰이]: 김주원 ; 글: Artworld 편집부
|
p. 142-145
|
|
|
|
인간의 이기심과 탐욕에 울리는 경종 : 그래픽 노블 작가 백영욱
|
글: 임종호
|
p. 147-148
|
|
|
|
기묘하고 매력적인 초현실 세계로의 초대 : 《히구치 유코(ヒグチユウコ) 특별전『비밀의 숲』》
|
글: 정선화
|
p. 149-150
|
|
|
|
최종태, 구도(求道)에서 유희삼매(遊戲三昧)에 이르기까지
|
글·사진: 임종호
|
p. 151-155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