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작품이 오르고, '미래'의 로봇이 지휘봉을 잡았다 : 드레스덴 심포니 '로봇 교향곡'
|
글: 박찬미
|
p. 20
|
|
|
|
잔인한 바다에 던져진 고독 : 로마 오페라 '피터 그라임스'
|
글: 이실비아
|
p. 22
|
|
|
|
키릴 게르슈타인의 새로운 도전장 : 부소니 서거 100주년 기념 공연
|
글: 박마린
|
p. 24
|
|
|
|
전통을 이어가고, 새 바람을 일으킬 지휘자, 사이먼 래틀 [인터뷰]
|
[인터뷰이]: 사이먼 래틀 ; 글: 허서현
|
p. 52-57
|
|
|
|
방송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세계의 방송교향악단
|
글: 류태형
|
p. 58-60
|
|
|
|
BRSO 제2바이올린 악장 역임한 바이올리니스트 이지혜 [인터뷰]
|
[인터뷰이]: 이지혜 ; 글: 허서현
|
p. 61
|
|
|
|
악단의 안팎살림을 돌보는 대표 니콜라스 폰트 [인터뷰]
|
[인터뷰이]: 니콜라스 폰트 ; 글: 박선민
|
p. 62-64
|
|
|
|
'투란도트'의 마법에 빠지는 순간 : 지휘자·테너 호세 쿠라
|
글: 홍예원
|
p. 68-69
|
|
|
|
이렇게 다양한 고음악이! : 바이올리니스트 스와르테 & 하프시코디스트 테일러·알퍼만
|
글: 이의정
|
p. 72-74
|
|
|
|
그녀가 '좋아요'를 받는 이유 : 플루티스트 최나경 [인터뷰]
|
[인터뷰이]: 최나경 ; 글: 양경원
|
p. 76-77
|
|
|
|
젊은 예술가들의 초상 : 대전그랜드페스티벌 예술감독 장한나
|
글: 홍예원
|
p. 80-82
|
|
|
|
음악으로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 : DMZ오픈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임미정[인터뷰]
|
[인터뷰이]: 임미정 ; 글: 김강민
|
p. 84-85
|
|
|
|
변화한 나를 마주하는 시간 : 바이올리니스트 이지윤 [인터뷰]
|
[인터뷰이]: 이지윤 ; 글: 이의정
|
p. 86-88
|
|
|
|
'처음'이라는 두려움이 없는 이들 : 대구시향 음악감독·상임지휘자 백진현 [인터뷰]
|
[인터뷰이]: 백진현 ; 글: 이의정
|
p. 92-93
|
|
|
|
자유로운 발상으로 음악의 경계를 허물다 : 피아니스트 스미노 하야토 [인터뷰]
|
[인터뷰이]: 스미노 하야토 ; 글: 김강민
|
p. 96-97
|
|
|
|
우승의 영광 안고, 새 관객 속으로 : 피아니스트 일리야 슈무클러 [인터뷰]
|
[인터뷰이]: 일리야 슈무클러 ; 글: 송현민
|
p. 100-101
|
|
|
|
'한국'과 '베토벤'의 인연을 쌓아가는 사람 : 바이올리니스트 제임스 에네스
|
글: 이의정
|
p. 102-103
|
|
|
|
시각을 넓히는 교육자 : 서울중앙음악학원 원장 이선이 [인터뷰]
|
[인터뷰이]: 이선이 ; 글: 이의정
|
p. 104-106
|
|
|
|
화가·연출가 아힘 프라이어를 만나다. 2, 장르의 연결자이자 통합자
|
글·사진: 래이리
|
p. 110-112
|
|
|
|
마법사 에마르 : 피에르 로랑 에마르 피아노 독주회
|
글: 송주호
|
p. 116
|
|
|
|
젊은 세대에 다가가는 피아노의 미장센 : 알렉상드르 캉토로프 피아노 독주회
|
글: 류태형
|
p. 117
|
|
|
|
모차르트를 향한 새로운 시선으로 : 피아니스트 조재혁
|
글: 홍예원
|
p. 119
|
|
|
|
'초연'이라는 새로운 가능성 : 제21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 '광란의 오를란도'
|
글: 송현민
|
p. 120
|
|
|
|
놀이를 통해 발견한 양심과 그 무게 : 서울시극단 '트랩'
|
글: 배선애
|
p. 122
|
|
|
|
순수예술과 과학의 조화
|
글: 최재훈
|
p. 132-133
|
|
|
|
연극 '타인의 삶' 각색·연출을 맡은 배우 손상규
|
글: 허서현
|
p. 134-135
|
|
|
|
뮤지컬 영화 '위키드'
|
글: 이의정
|
p. 136-137
|
|
|
|
예술을 소재로 한 영화
|
월간 객석
|
p. 138-146
|
|
|
|
축제 속 오점과 슬럼프 : 프랑크푸르트 오페라 '헤라클레스'
|
글: 오주영
|
p. 148-149
|
|
|
|
도쿄에서 펼쳐진 음악적 향연 : 도쿄문화회관 & 신국립극장 & 산토리홀
|
글: 박제성
|
p. 150-151
|
|
|
|
24세 상임지휘자의 강렬한 첫 인사 : 타르모 펠토코스키/툴루즈 카피톨 오케스트라 : France
|
글: 전윤혜
|
p. 152-153
|
|
|
|
물 위에 펼쳐진 시적인 비극 : 국립창극단 '리어' : United Kingdom
|
글: 정재은
|
p. 154-155
|
|
|
|
혁신을 향한 감각과 열정의 조화 : 잘츠부르크 주립극장 '랭스로의 여행' : Austria
|
글: 김운하
|
p. 156-157
|
|
|
|
풍자의 경계에서 표류하는 시대 : 파리 오페라 '강도들'
|
글: 배윤미
|
p. 158-159
|
|
|
|
훌륭한 지휘자의 아들 : Mariss Jansons, Paavo Järvi, Vladimir Jurowski, Carlos Kleiber, Thomas Sanderling
|
글: 노먼 레브레히트 ; 번역: evener
|
p. 160-162
|
|
|
|
음악의 즐거움을 나누는 무대 : 더원심포니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 조현우 [인터뷰]
|
[인터뷰이]: 조현우 ; 글: 홍예원
|
p. 172
|
|
|
|
빛나는 슈베르트의 예술성을 음반에 담다 : 피아니스트 탁영아 [인터뷰]
|
[인터뷰이]: 탁영아 ; 글: 허서현
|
p. 174
|
|
|
|
도니체티의 인생역전을 도운 여인 : 앤 불린
|
글: 오주영
|
p. 178-179
|
|
|
|
시대연주의 내로남불 : 고음악의 해석과 재현을 둘러싼 논쟁
|
글: 홍승찬
|
p. 182-18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