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빗방울 모양에 대한 초등학생의 대안개념 분석 =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of the raindrop shapes 여상인 p. 1-9
과학마술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magic 여상인 p. 11-18
초등 예비 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 조사 = Explor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cience inquiry teaching efficacy 박지훈 p. 19-27
식물 기르기 기반 논변 생성 활동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식물 기르기와 과학 주제 글쓰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 =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 of plant-raising activities and writing science topics through arguement generation activities classes based on growing plant 김지숙, 최선영 p. 29-38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적용한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의 효과와 의미 =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김동석, 오필석, 권난주 p. 39-49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의 교목 실태 조사 = A survey of school trees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강민아, 신영준 p. 51-64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program linked to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민경란, 박재근 p. 65-73
과학 학습 공동체로서의 과학관 역할 리뷰 = Review of roles of science center as science learning community 신명경, 권경필 p. 75-84
생체모방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및 개선 방안 탐색 = Exploring the practice and improvement of biomimetic education programs 김경완, 이재황, 권경필 p. 85-98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조사학습 분석 = Analysis of investigation inquiry using smart devic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양서현, 임희준 p. 99-106
초등학생의 학교 과학 수업과 방과 후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비교 =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science classes and after-school science classes 박윤희, 권경필, 신명경 p. 107-117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와 우리 생활' 단원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limate Change and Our Life' unit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이규호 p. 119-132
TRIZ에 기반한 부력 교육 = Buoyancy education based on TRIZ 홍석인 p. 133-141
실과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송현순 p. 143-152
무한 과정 설명에 초점을 둔 초등예비교사의 원의 넓이 교수-학습 자료 개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f the area of a circle by focusing on the infinite processes 권석일 p. 153-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