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이주자의 언어 통합 | 최종렬 | p. 6-11 | ||
재외동포 학부모, 한국어 교육에 물음을 던지다 | 한하림 | p. 12-16 | ||
'끊다'와 '파다' | 김선철 | p. 17-20 | ||
방송에서 은유적 표현 사용의 문제 : '극단적 선택'과 '몹쓸짓' | 박건식 | p. 21-23 | ||
한글이 왜 한국인들의 자긍심의 뿌리일까? | 이창봉 | p. 24-27 | ||
지역방언과 표준어는 반대말이 아니다 | 이재섭 | p. 28-32 | ||
인문학과 인류의 공존, 서로의 해답이 되어 마주 서다 | 김숙정 | p. 33-34 | ||
역삼각형 기사가 만능은 아니지만… | 김성희 | p. 36-38 | ||
'구멍'에 웃고 울다 | 노경아 | p. 39-40 | ||
생성형 AI의 글쓰기 | 김희원 | p. 41-43 | ||
혐오의 시대에 언론이 저항하는 법 | 박민영 | p. 44-48 | ||
저널리즘 언어 읽기. 24 | 이경우 | p. 49-52 | ||
역사갈등은 어떻게 서사화되는가, 광주민주화운동과 6월 항쟁 | 강부원 | p. 53-57 | ||
읽고 쓰기, 인간의 언어 공부 : 신동엽의 「내 마음 끝까지」(1967)에서 배운 것 | 이대성 | p. 58-62 | ||
프로젝트 관리자에서 문화 기록자로 : 인도네시아 바틱 장인들과의 만남 | 윤현민 | p. 63-69 | ||
모두의 셸터, 공생을 위한 감각 | 김민선 | p. 70-75 | ||
경계선 지능의 이해 : 최진오 [인터뷰] | [인터뷰이]: 최진오 ; 기획·진행: 오새내 | p. 76-86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