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IGCC, 금융위에 2026년 ESG 공시 의무화 요구 이승균 p. 12-13
삼림벌채 규정 'EUDR' 도입… 국내 기업 어려움 가중 지현영 p. 14-15
전환 크레디트, 에너지 시장 변화 이끌까 구현화 p. 16-17
중위권 기업, ESG 등급 '약진'… 최하위 등급은 오히려 증가 이미경 p. 18-19
플라스틱 재활용 '갑론을박'… 현실적 해법은 이미경 p. 24-25
플라스틱 규제 더 세진다… 2040년까지 100% 회수 장현숙 p. 26-27
논란의 플라스틱 재활용, 진실 vs 거짓 이승균 p. 28-29
저조한 플라스틱 재활용, 국내외 해결 묘책은 이승희 p. 30-33
"플라스틱 재활용은 순환경제로 풀어야" [인터뷰] 장용철 [인터뷰이] ; 이승균 [취재] p. 34-36
공급망 지속가능성 확보 위해 알아야 할 8가지 사실 류종기 p. 38-43
한국 기후 위기 대응, 재정 현안부터 풀어야 최기원 p. 44-47
효성, 수소 밸류체인 구축 선도… 탄소중립 앞당긴다 : 효성중공업 이미경 p. 48-51
풍력발전 지연에 친환경에너지 전환 '급제동' [글]: 윌 마티스, 조시 사울 ; 번역: 이미경 p. 54-55
녹색 전환에 소비자 부담 가중… EU, 속도 조절 나서나 [글]: 에와 크루코프스카 ; 번역: 이승균 p. 56-57
글로벌 은행, 생물다양성 금융상품에 주목 [글]: 나타샤 화이트 ; 번역: 구현화 p. 58-59
日 편의점업계, 자연자본 정보공개… 시작은 '커피'부터 [글]: 다카기 구니코 ; 번역: 김병일 p. 60-61
IR 역할, '홍보'에서 '밸류업'으로 확장 중 [글]: 한자와 사토시 ; 번역: 김병일 p. 62-63
美 대선, 녹색 전환 정책 향방 가른다 [글]: 아사노 이타루 ; 번역: 김병일 p. 64-65
탄소배출권, 이상고온에 주춤… 악재 딛고 반등할까 박재원 p. 68-69
유일로보틱스, 위험 업무 대체 로봇으로 주목 고윤상 p. 70-71
美 대선에 ESG 불확실성 증폭… 방어적 ETF 급부상 이정빈 p. 72-73
JB금융, 총주주환원율 50% 제시… 밸류업 지수 편입 기대 '솔솔' 이미경 p. 74-75
SMR에 몰리는 '돈'… 투자수익률 기대 커질까 김준섭 p. 78
"아시아로 탄소포집 플랜트 확장… 포집 비용 감소 실현" : 크리스 웨이 클라임웍스 아시아태평양 대표 [인터뷰] 크리스 웨이 [인터뷰이] ; 구현화 [취재] p. 80-83
"한·독 교역 규모 339억 달러, 투자 환경 개선 이슈 중요" : 박현남 주한독일상공회의소 회장 [인터뷰] 박현남 [인터뷰이] ; 이미경 [취재] p. 84-86
"글로벌 'ESG 가교' 될 것… 지속가능한 금융 솔루션 제공" : 엄경식 한국씨티은행 ESG협의회 공동의장 [인터뷰] 엄경식 [인터뷰이] ; 이미경 [취재] p. 88-91
투자 판단의 근거되는 DEI 공시 전략은 송수영 p. 92-93
홍콩, 기후 공시 의무 도입… 지속가능금융 허브 노린다 구현화 p. 98-99
홍콩 싱크탱크 "아시아 탈탄소 위해선 금융의 녹색화가 중요" 구현화 p. 100-101
지구 생명다양성 '빨간불'… 야생동물 개체군 73% 급감 이승균 p. 102-103
국내 기업, 밸류업 전략 '열공'… 해외 모범 사례 등 공유 구현화 p. 104-105
"국내 기업, 여성 임원 내부 육성 정책 필요" : 세계여성이사협회 한국지부, 특별 세미나 열어 구현화 p. 106-107
LG이노텍, '중희토류 제로'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 선봬 이미경 p. 108-109
"철강사, 고로 폐쇄 결단 등 전환 선언해야" 강혜빈 p. 112-114
ESG 공시, 기업조직의 경계 설정은 김태한 p. 116-117
글로벌 투자자가 한국에 ESG 공시 요구한 배경은 신지윤 p. 118-119
中, 대규모 부양책에도 '더 깊은 수렁' 우려 나온 이유 한상춘 p. 120-121
"기후 금융, 공급 확대… 기업 돕는 상생 펼칠 것" : KB국민은행 ESG상생금융부 이승균 p. 122-123
"ESG 평가 대응 위해 정확한 공시·검증은 필수" 남정민 p. 124
ESG 공시 의무화, 더 늦출 수 없다 권세원 p.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