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등]
제출문
요약문
SUMMARY
서론
칼라
목차
제I부 석유근원암 평가 25
제1장 유기물 추출 27
제1절 유기물 추출 방법 27
제2절 Kerogenatron 29
2-1. 원리 29
2-2. 처리방법 29
제3절 기존케로젠 분리기와 Kerogenatron에 의해 분리된 시료의 비교 32
3-1. 정량적 결과 32
3-2. 정성적 결과 33
3-3. 결론 37
제2장 유기탄소의 함량측정 38
제1절 분석결과 38
제3장 유기물의 타이프 41
제1절 케로젠의 현미경 관찰 41
1-1. 시료준비 41
제2절 케로젠의 원소분석 45
2-1. 기기의 특성 45
2-2. ATX사 분석값과 비교 46
2-3. 결론 49
제3절 케로젠의 원소분석 결과 51
제4장 석유생성 잠재력 54
제1절 S2 분석 결과 해석 54
제2절 수소지수 해석 55
제5장 유기물의 열적 성숙도 57
제1절 Rock-Eval 열분석에 의한 T.max 결과 57
제2절 비트리나이트 반사도 측정 59
제6장 비투멘의 분석 61
제1절 유기물추출과 조성결정 61
제2절 포화탄화수소의 가스크로마토그라피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of C15+ Alkanes) 64
[제3절 포화탄화수소의 가스크로마토그라피 - 매스 스펙트로메트리 (Gas Chromatograpy - Mass Spectrometry)] 72
제II부 저류층 평가 79
제1장 저류사암의 상분석 81
제1절 암색 및 암형 81
1-1. 암색 81
1-2. 암형 84
제2절 사체의 기하 90
2-1. 조사방법 91
2-2. 퇴적환경별 사체의 기하 96
제3절 암석 조직 98
3-1. 사암 입자 크기와 분급 98
3-2. 입자의 형태 100
3-3. 사입자의 석리 100
제4절 퇴적 구조 104
4-1. 층리표면상 구조 104
4-2. 내부 구조 116
4-3. 저면 구조 130
제5절 고수류 분석 133
5-1. 고수류 측정 133
5-2. 고수류 측정용 퇴적구조 135
5-3. 결과 제시 및 벡터 평균 계산 138
5-4. 고수류 모형(pattern)의 해석 140
제2장 저류사암의 암석 분석 145
제1절 현미 암석학적 기재 145
1-1. 사암의 조직 145
1-2. 사암의 성분 152
1-3. 공극률 및 투수율 158
1-4. 속성 작용 162
제2절 X선 회절 분석 173
2-1. 점토 광물의 일반적 특성 174
2-2. 시료처리 및 광물감정 178
2-3. 점토광물의 정량분석 181
2-4. 속성작용에 따른 점토광물의 변화 186
2-5. 점토광물연구의 응용 190
제3절 주사전자현미경 감정 196
3-1. 작동시 유의사항 196
3-2. 사암내 입자간 관계 201
3-3. 사암내 조직과 공극 205
3-4. 점토광물의 특징 207
3-5. 결론 210
제4절 전자 현미 분석 220
4-1. 시료 준비 220
4-2. 분석 원리 222
4-3. 분석 보정 224
4-4. 연구 결과 및 토론 225
제3장 저류 단열의 지질 분석 227
제1절 단열 저류층 평가 227
1-1. 정의 227
1-2. 단열계의 기원 및 분류 228
1-3. 단열의 형태 230
1-4. 단열 저류층 특성 231
1-5. 평가의 기본적 유형 234
제2절 단열에 대한 자료의 취득과 해석 237
2-1. 취득 및 기재 방법 237
2-2. 자료의 제시 242
제III부 석유자원평가 워크스테이션 245
제1장 개요 247
제2장 실제 열분해온도 보정 249
제1절 S2피크 정점에서의 열분해온도 250
제3장 활성화에너지 계산 시스템 (OPTKIN1) 254
제1절 필요한 열분해자료 254
제2절 계산원리 256
2-1. 반응속도이론 256
2-2. 수학적 최적화 (mathematical optimization) 258
제4장 탄화수소 생성량 계산 시스템 (MATOIL) 263
제1절 매몰과정 재구성 263
제2절 열경력 (Thermal History) 265
제3절 퇴적물 내에서의 열전달 266
제4절 탄화수소 생성 267
제5절 생성된 탄화수소량 270
[결론] 277
[title page etc.]
SUMMARY
Introduction
Contents
Part I. Petroleum Source Rock Characterization 25
Chapter 1. Separation of Organic Matter 27
1. Separation Method 27
2. Kerogenatron 29
2-1. Principle 29
2-2. Operation 29
3. Comparison of Results by Kerogen Isolation Apparatus and Kerogenatron 32
3-1. Quantitative Aspect 32
3-2. Qualitative Aspect 33
3-3. Conclusions 37
Chapter 2. Determination of Organic Carbon Content 38
1. Result of Analysis 38
Chapter 3. Type of Organic Matter 41
1. Kerogen Typing 41
1-1. Preparation of Slides 41
2. Elemental Analysis of Kerogen 45
2-1. Characteristics of Apparatus 45
2-2. Comparison of Analytical Results with those of ATX 46
2-3. Conclusions 49
3. Elemental Analysis Results of Kerogen 51
Chapter 4. Petroleum Genetic Potential 54
1. Interpretation of S2 54
2. Interpretation of Hydrogen Index 55
Chapter 5. Thermal Maturity of Organic Matter 57
1. T.max. of Rock-Eval Pyrolysis 57
2. Vitrinite Reflectance Measurement 59
Chapter 6. Bitumen Analysis 61
1.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61
2. Gas Chromatography of Saturated Hydrocarbons 64
3.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of Saturated Hydrocarbons 72
Part II. Reservoir Characterization 79
Chapter 1. Facies Analysis of Reservoir Sandstones 81
1. Rock Color and Rock Type 81
1-1. Rock Color 81
1-2. Rock Type 84
2. Sand Body Geometry 90
2-1. Tools of Trade 91
2-2. Geometry in Major Environment 96
3. Rock Texture 98
3-1. Size and Sorting 98
3-2. Grain Morphology 100
3-3. Grain Fabric 100
4. Sedimentary Structure 104
4-1. Structures on the Upper Bedding Surface 104
4-2. Internal Structures 116
4-3. Structures on the Lower Bedding Surface 130
5. Paleocurrent Analysis 133
5-1. Paleocurrent Measurements 133
5-2. Structures for Paleocurrent Measurement 135
5-3. Presentation of Results 138
5-4. Interpretation of the Paleocurrent Pattern 140
Chapter 2. Petrological Analysis of Reservoir Sandstones 145
1. Microscopic Petrography 145
1-1. Texture of the Sandstone 145
1-2. Composition of the Sandstone 152
1-3. Porosity and Permeability 158
1-4. Diagenesis 162
2. X-ray Diffraction Analysis 173
2-1. Characteristics of Clay Minerals 174
2-2. Sample Treatment and Identification for Clay Minerals 178
2-3. Quantification of Clay Minerals 181
2-4. Diagenesis of Clay Minerals 186
2-5. Case Study of Clay Minerals 190
3.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Petrology 196
3-1. Operation Problems 196
3-2. Grain Relationship 201
3-3. Textures and Pores 205
3-4. Clay Minerals 207
3-5. Conclusion 210
4. Electron Probe Microscopy Analysis 220
4-1. Sample Preparation 220
4-2. Principles of Analysis 222
4-3. Correction of the Data 224
4-4. Results and Discussions 225
Chapter 3. Geological Analysis of Reservoir Fractures 227
1. Evaluating Fractured Reservoirs 227
1-1. Definition 227
1-2. Origin and Classification of Fracture System 228
1-3. Fracture Morphology 230
1-4. Reservoir Properties of the Fractures 231
1-5. Basic Types of Evaluation 234
2.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237
2-1. Data Acquisition 237
2-2. Data Presentation 242
Part III. Petroleum Evaluation Workstation 245
Chapter 1. Introduction 247
Chapter 2. True Pyrolysis Temperature Calibration 249
1. Pyrolysis Temperature of the Top of S2 Peak 250
Chapter 3. Obtaining of Activation Energy Distribution 254
1. Necessary Pyrolysis Data 254
2. Principles of Calibration 256
2-1. Kinetics 256
2-2. Mathematical Optimization 258
Chapter 4. Calculation of Quantities of Generated Hydrocarbons 263
1. Backstripping 263
2. Thermal History 265
3. Heat Transfer in Sediments 266
4. Hydrocarbon Generation 267
5. Quantities of Generated Hydrocarbons 270
jpg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0521532 | 622.18282 ㄱ373ㅅ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0521533 | 622.18282 ㄱ373ㅅ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