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연구진
서문
표목차
그림목차
목차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18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19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19
2. 연구방법 20
제2장 지방재정계획제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 22
제1절 지방재정계획제도의 기능 22
1. 지방재정계획제도의 도입배경 및 성공요건 22
2. 지방재정계획제도의 기능 25
3. 관련계획과의 관계 27
4. 지방재정계획의 기대효과 및 제약성 29
제2절 계획수립의 기본방침 및 운용 32
1. 계획수립의 기본방침 32
2. 계획의 운용 33
3. 문제점 34
제3절 계획수립절차 35
1. 계획수립체제 및 절차 35
2. 문제점 40
제4절 계획내용 40
1. 계획수립 범위 40
2. 재정수입계획 41
3. 재정지출계획 44
4. 문제점 47
제3장 지방재정 실태분석 49
제1절 지방재정현황분석 49
1. 국가재정과 지방재정 49
2. 지방재정규모의 추이 59
가. 총재정규모 추이 59
나. 지방자치단체별 재정규모 추이 64
다. 전북재정의 비중 68
라. 전북 재정부담 현황 78
제2절 세입구조분석 79
1. 자주재원과 의존재원 79
2. 일반재원과 특정재원 83
3. 세입과목별 구조 86
가. 지방세 91
나. 세외수입 98
제3절 세출구조분석 104
1. 기능별 세출구조 104
2. 성질별 세출구조 109
3. 경제성질별 세출구조 112
제4장 지방재정계획수립의 준비사항 117
제1절 계획기준 및 기본지표의 설정 117
1. 정책목표의 명시 117
2. 계획기준의 설정 117
3. 기본지표의 설정 124
제2절 재정계획수립기법의 개발 125
1. 기본수립기법 125
2. 재정계획의 수립모형 127
가. 재정수입계획모형 127
나. 재정지출계획모형 132
3. 재정규모의 예측방법 133
가. 개설 133
나. 계량모델방식 135
다. 과거추세연장방식 145
라. 적상방식 149
마. 지방재정규모의 결정 151
제5장 지방재정수입·지출계획 153
제1절 재정수입계획 153
1. 일반재원의 추계 155
가. 지방세 예측 155
나. 세외수입 예측 161
다. 지방교부세 예측 166
2. 특정재원의 추계 173
3. 지방재정수입의 예측총괄 179
제2절 재정지출계획 (재원배분계획) 182
1. 경상부문계획 ( 경상부문세출의 추계 ) 184
가. 인건비 예측 184
나. 사무비 예측 191
다. 일반경상비 예측 192
라. 사회복리비 예측 198
마. 기타경비의 예측 200
2. 투자부문계획 ( 투자부문세출의 추계 ) 202
가. 투자부문계획의 전제 202
나. 투자재원배분계획의 수립 208
제6장 지방재정계획과 재원대책 218
제1절 부족재원의 추계 218
1. 투자비의 예측 218
가. 계량모델방식 219
나. 과거추세연장방식 221
다. 적상방식 223
2. 과부족액의 산정 ( 추정 ) 224
3. 수입과 지출의 조정 225
가. 잉여재원이 발생한 경우 225
나. 재원부족이 발생한 경우 225
제2절 부족재원대책 227
1. 재정수입의 증대 227
가. 지방세 227
나. 세외수입 230
다. 지방교부세 233
라. 국고보조금 235
2. 재정지출의 효율화 236
가. 감축관리 237
나. 영기준예산 238
다. 투자심사분석 240
[도 1-1] 지방재정계획의 수립과정 21
[도 2-1] 시·도의 지방재정계획 수립절차 36
[도 2-2] 재정계획 수립절차 37
[도 2-3] 서울특별시의 재정계획수립 절차 38
[도 2-4] 서울특별시의 작업추진체계 39
[도 3-1] GNP. 국가재정 및 지방재정의 신장률 51
[도 3-2] GNP 및 조세신장 추이 56
[도 3-3] 지방재정자립도 연도별 대비 ( 일반회계기준 ) 57
[도 3-4] 지방재정규모 신장추이 60
[도 3-5] 전북재정규모 신장추이 62
[도 3-6] 자치단체별 재정규모 신장률 비교 66
[도 3-7] 시·도별 재정규모 비교 70
[도 3-8] 자주재원과 의존재원 신장률추이 비교 ( 전국 ) 81
[도 3-9] 자주재원과 의존재원 신장률추이 비교 ( 전북 ) 82
[도 3-10] 일반재원과 특정재원 신장률추이 비교 ( 전국 ) 84
[도 3-11] 일반재원과 특정재원 신장률추이 비교 ( 전북 ) 86
[도 3-12] 재원별 신장률 추이 비교 ( 전국 ) 88
[도 3-13] 재원별 신장률 추이 비교 ( 전북 ) 91
[도 4-1] 부문계획별 예측가중치의 적용 126
[도 4-2] 지방재정규모추계의 방법과 과정 127
[도 4-3] 추측치와 관측치간의 상관관계 140
[도 4-4] 지방재정규모의 예측 152
[도 5-1]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회계재원의 구조 154
[도 5-2] 지방재정수입 예측규모의 신장률 추이 180
[도 5-3] 전북재정수입 예측규모의 신장률 추이 180
[도 5-4] 상수도부문의 정책목표 설정 20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0435838 | 352.1 ㅎ155ㅈ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