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간행사=1,2,2

목차=3,4,6

전국농업개관=9,10,1

I. 위치ㆍ지세ㆍ면적=9,10,1

(1) 위치=9,10,1

(2) 지세=9,10,3

(3) 면적=11,12,2

2. 기상=12,13,1

(I) 기온=12,13,3

(2) 강우=14,15,3

(3) 증발급일조=17,18,2

(4) 기상과 도작=18,19,3

(5) 기상과 전작=20,21,4

(6) 농업상의 재해=23,24,2

3. 지질급토성=24,25,1

(1) 지질=24,25,2

(2) 토성=26,27,1

(I) 답의 토성=26,27,2

(2) 전의 토성=27,28,2

4. 국토이용의 개관=28,29,1

(1) 경지면적과 그 이용도=28,29,2

(2) 열국의 토지이용상황=29,30,4

(3) 경지의 이용도별 분포=32,33,2

5. 남조선의 경지이용=34,35,4

6. 북조선의 경지급토지 이용상황=37,38,3

7. 농업인구=39,40,1

(1) 총인구와 농업인구=39,40,2

(2) 농업인구의 변천=40,41,3

(3) 자소작별 농가호수=42,43,3

(4) 전겸업별 농가호수=44,45,2

(5)경영규모별 농가호수=45,46,2

조선토지제도사=47,48,1

I. 토지지배의 제관계=47,48,1

(1) 고대조선의 토지지배형태=47,48,4

(2) 이조와 전제개혁=50,51,2

(3) 집권봉건적 토지공유제의 재편성=51,52,6

2. 농민과 농민통제=56,57,1

(1) 농민의 사회적 존재=56,57,3

(2) 권농정책=58,59,3

(3) 긴박정책=60,61,2

(4) 사민정책=61,62,2

3. 농민수탈의 제형태=62,63,1

(I) 전조=62,63,1

(2) 공물=62,63,1

(3) 부역=63,64,1

(4) 기타=63,64,1

임산=64,65,1

1. 일제하의 산림정책=64,65,1

(1) 조선산림에 대한 일제의 죄과=64,65,7

(2) 산림에 대한 일제의 수탈정책=70,71,9

2. 남조선 임상의 위기=79,80,1

(1) 미군정하의 임업정책=79,80,2

(2) 임정의 개황=80,81,2

(3) 조림사업=81,82,3

(4) 양묘사업=83,84,1

(5) 사방사업=83,84,2

(6) 야계사업=84,85,1

(7) 임산물의 이용과 목재통제=84,85,5

3. 임야구출의 방도=88,89,2

적산토지=90,91,1

1. 소위「적산토지」의 전모=90,91,3

(1) 일제의 토지점탈사=92,93,2

(2) 동척의 토지강탈=93,94,2

(3) 토지조사 사업과 토지강탈=95,96,3

(4)유일한 해결책=97,98,1

2. 신한공사의 성립과 해체=97,98,1

(1) 일제식착취방법의 계승=97,98,2

(2) 토지불하의 진상=98,99,8

(3) 불하계획실패의 필연성=105,106,3

3. 구동척소유지의 전모=108,109,5

토지개량=113,114,1

1. 일제하의 조선토지개량사업=113,114,22

2/3. 군정하의 토지개량사업=134,135,2

(1) 현행 토지개량제도의 고각화=135,136,1

(1) 토지개량사업기구=135,136,4

(2) 토지개량사업운영방법=138,139,4

(2) 군정의 자금포속과 토지개량사업의 정체=141,142,2

잠업=143,144,1

우리나라 잠업의 개관=143,144,3

8.15 이후의 남한잠업=145,146,2

잠종제조=147,148,1

제사=147,148,3

원료잠의 수급상황=149,150,3

잠사무역=151,152,1

토지개혁=152,153,1

1. 각국토지개혁의 선례=152,153,1

(1) 선진제국에 있어서의 토지개혁=152,153,4

(2) 동구라파각국의 토지개혁=155,156,4

(3) 동양제국에서의 토지개혁=159,160,4

2. 북한의 토지개혁=162,163,9

3. 남한의 토지개혁문제=171,172,1

(1) 입법의원의 토지개혁안=171,172,18

(2) 전농의 토지개혁안=189,190,3

4. 대한민국 농림부의 농지개혁안=191,192,6

농기구=197,198,1

세계각국에 있어서의 농기구의 발달과정=197,198,6

산업혁명이후의 대약진=202,203,2

"트럭터-" 와 "꼼바인"의 출현=203,204,3

A 미국=205,206,2

B 쏘련=206,207,2

C 독일=207,208,1

D 영국=207,208,2

E 이태리급 기타국=208,209,1

조선농기구의 미발달과 그 원인=208,209,8

협동조합=216,217,14

면화=230,231,1

일제하의 면화정책=230,231,1

면화생산에도 파탄의 위기래=230,231,3

일제식의 공판정책=232,233,2

누구 위한 공판인가=234,235,3

비료=237,238,1

자급비료=237,238,1

판매비료=237,238,3

비료수급계획=239,240,2

비료문제의 핵심은?=240,241,1

남조선토지개혁의 전망=241,242,1

자소작별 경지면적=241,242,1

오정이상의 토지소유=241,242,2

약오만의 오정보이상지주=242,243,2

오정보이하의 지주는 얼마?=243,244,1

농민의 토지소유?=244,245,4

토지개혁의 방법문제?=247,248,2

남조선토지개혁의 전망=248,249,3

축산=251,252,1

1. 아국축산의 개관=251,252,13

식량문제=264,265,3

비농가인구와 배급량=266,267,2

외곡의 시장화=267,268,1

식량문제해결의 옳은길=267,268,2

연초=269,270,1

1. 기원과 전래=269,270,1

2. 종류=269,270,3

3. 재배개황=272,273,1

4. 생산상황=272,273,5

농업생산=277,278,1

경작면적의 놀랠만한 감퇴=277,278,6

농업위기의 근본이유는?=282,283,2

원예=284,285,3

1. 과수=286,287,1

(1) 조선의 기후와 과수의 생육상황=286,287,2

(2) 토질 급 지형=287,288,1

(3) 재식거리=287,288,2

(4) 수형=288,289,1

(5) 전정=288,289,1

2. 채소=288,289,3

3. 원예정책=290,291,1

(1) 과실 급 채소의 계획생산=290,291,1

(2) 종묘의 자급자족=290,291,2

(3) 육종육묘의 국가시책=291,292,1

(4) 원예시험장 급 교육기관설치=291,292,1

(5) 황폐한 임야의 원예작물재배=291,292,1

(6) 원예가공의 장려=291,292,1

(7) 생산자재확보=291,292,2

(8) 원예에 관한 문화정책확립=292,293,1

(9) 화훼원예 급 조원에 관한 시책=292,293,1

(10) 불량종자에 대한 시책=292,293,1

(11) 원예생산물 해외무역=292,293,2

(12) 원예작물 검사제 확립=293,294,1

(13) 전일인소유 원예포관리문제=293,294,2

(14) 원예단체의 육성과 그 활용=294,295,2

(15) 청과물시장에 대한 개혁과 시책=295,296,14

양곡공출사=309,310,1

1. 일제지배하의 공출제도=309,310,1

(1) 공출의 야만성=309,310,2

(2) 공출제도의 무서운 해독=310,311,3

(3) 공출이 처음 시작되기까지=312,313,3

(4) 풍년기근=314,315,3

(5) 공출이전의 약탈=수출방식=316,317,4

(6) 중국침략과 공출개시=319,320,5

(7) 공출강화의 결과는 농업의 총파탄=323,324,2

2. 미군정하의 공출정책=324,325,1

(1) 일제공출제도의 답습=324,325,5

(2) 1948년 추곡수집계획의 특징=328,329,2

(3) 대한민국의 양곡매입법=329,330,1

조선농민운동사=330,331,1

1. 조선농민운동의 출발점=330,331,2

2. 계몽운동시대=331,332,5

3. 사상운동시대=335,336,3

4. 목적의식적 운동=337,338,3

5. 결전기의 농민운동=340,341,3

대한식량공사의 연혁=343,344,4

[서울곡물협회 등]=347,348,38

판권지=385,386,1

이용현황보기

農業經濟年報. 1949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457732 R 338.10951 ㄴ293ㄴ 194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이용가능
0000457733 R 338.10951 ㄴ293ㄴ 1949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