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3

연구진=0,4,1

서문=ⅰ,5,2

요약=ⅲ,7,4

목차=ⅶ,11,4

표목차=xi,15,2

그림목차=xii,16,1

I. 서론=1,17,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17,2

2. 연구의 체계 및 방법=2,18,2

II. 지역산업연관모형=4,20,1

1. 지역산업연관모형의 특성=4,20,2

2. 단일지역모형(Single-Region Model)=5,21,1

1) 전국계수(National Coefficients)를 이용한 모형=5,21,3

2) 지역계수(Regional Coefficients) 추정모형=7,23,3

3) 단일지역모형의 거래표 형식=10,26,3

3. 다지역모형(Many-Region Model)=12,28,2

1) IRIO모형=13,29,6

2) MRIO모형=18,34,7

3) 균형지역모형(Balanced Regional Model)=24,40,3

III. 지역투입 및 교역계수의 추정기법=27,43,1

1. 지역투입 및 교역계수 추계의 중요성과 접근방법=27,43,1

1) 관련지역계수=27,43,1

2) 지역투입계수의 추정=28,44,1

2. 지역투입구조의 직접조사방법(Survey Techniques)=29,45,1

1) 조사에 의한 표작성 방법=29,45,1

2) 조정의 문제(Reconciliation Techniques)=29,45,4

3) 조사방법의 한계와 전망=32,48,2

3. 지역기술 및 투입계수 추정의 비조사방법(Non-Survey Techniques)=33,49,1

1) 접근의 기본원리와 유형=33,49,2

2) 가중치(Regional Weights)접근법=35,51,2

3) LQ접근법(Location Quotient Approach)=36,52,4

4) 공급-수요(Supply-Demand Pools:SDP) 접근법=39,55,2

5) 지역구입계수(Regional Purchase Coefficients:RPC)접근법=41,57,2

6) RAS 접근법=42,58,1

7) 비조사방법의 평가=42,58,2

4. 지역투입계수 추정의 혼합접근법(Hybrid Approaches)=43,59,1

1) 혼합접근방법의 대두와 특성=43,59,2

2) 부분조사(Partial Survey)방법들=44,60,2

3) 다단계 혼합접근법=45,61,5

5. 지역교역계수의 추정기법=49,65,1

1) IRIO모형과 MRIO모형=49,65,1

2) LQ모형의 적용=49,65,2

3) 중력(Gravity)모형의 적용=50,66,2

6. 기타 접근방법=51,67,1

IV. 지역산업연관모형의 개발=52,68,1

1. 모형 및 추정기법의 비교·평가=52,68,1

1) 비교·평가방법=52,68,1

2) 비교·평가=53,69,5

2. 모형선정을 위한 지역통계와 조사의 여건=57,73,1

1) 모형선정과 지역통계의 관계=57,73,2

2) 지역통계 및 조사의 실태=58,74,3

3. KRIHS지역산업연관모형의 개발=60,76,1

1) 모형개발의 방향과 특성=60,76,2

2) KRIO모형(KRIHS Regional Input-Output Model)=62,78,4

3) KMRIO모형(KRIHS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65,81,4

4) 향후 모형의 개선방향=68,84,2

V. '90 수도권-기타권 지역간 지역간 산업연관표의 작성:KMRIO모형의 적용=70,86,1

1. 모형작성의 체계=70,86,1

2. Phase I:지역기술계수표의 작성=71,87,1

1) Step 1:전국표의 입수 및 조정=71,87,3

2) Step 2:부문별 지역산출액 추계=74,90,6

3) Step 3:1차 지역기술계수의 유도(가중치방법의 적용)=80,96,4

4) Step 4:2차 지역기술계수의 유도(가공도효과의 반영)=83,99,5

5) Step 5:지역부가가치 추계=87,103,3

3. Phase II:지역간 투입계수 유도=90,106,1

1) Step 6:부문별 지역교역계수 추계=90,106,3

2) Step 7:지역최종수요의 추계=93,109,6

3) Step 8:지역간 투입계수 추정=98,114,2

4. Phase III:지역간 거래표 및 계수표 작성=99,115,1

1) Step 9:지역간 거래표 작성=99,115,1

2) Step 10:계수표 작성=99,115,36

VI. 건설활동의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135,151,1

1. 파급효과 분석방법=135,151,2

2. 건설투자 파급효과 분석 결과=136,152,1

1) 분석 자료=136,152,2

2) 수도권 건설투자의 파급효과=137,153,3

3) 기타권 건설투자의 파급효과=140,156,2

VII. 연구의 성과와 향후과제=142,158,2

참고문헌=144,160,11

ABSTRACT=155,171,1

판권지=156,172,1

표목차

(표II-1) L지역의 경쟁형 지역거래표=10,26,1

(표II-2) L지역의 비경쟁형 지역거래표=11,27,1

(표II-3) 두지역 거래표 행렬의 구조=14,30,1

(표II-4) i상품의 지역간 교역표=19,35,1

(표III-1) 비조사기법의 비교평가 방법=43,59,1

(표IV-1) 단일지역모형의 기법간 비교=54,70,1

(표IV-2) 다지역모형의 기법간 비교=55,71,1

(표IV-3) 모형간 분석의 범위와 가정의 비교=56,72,1

(표IV-4) 주요 지역경제통계=59,75,2

(표IV-5) KRIHS 지역 I-O모형의 핵심내용=61,77,1

(표V-1) 부문분류=73,89,1

(표V-2) 통계작성유형별 부문별 전국총산출액 추계결과의 비교=78,94,1

(표V-3) 권역별·부문별 총산출액의 비교=79,95,1

(표V-4) 가중치조정방법 결과 부문별 중간투입율 비교=81,97,1

(표V-5) 가중치방법 적용결과 식료품부문 기술계수의 비교=82,98,1

(표V-6) 광공업부문의 중간투입율 비율=84,100,1

(표V-7) 1, 2차 조정결과 부문별 중간투입율 비교=85,101,1

(표V-8) 1, 2차 조정결과 식료품부문의 기술계수 비교=86,102,1

(표V-9) 광공업부문의 지역대 전국의 피용자보수/부가가치의 비율=88,104,1

(표V-10) 피용자보수투입율의 추계결과 비교=89,105,1

(표V-11) 수도권·기타권의 교역계수=92,108,1

(표V-12) 추정값과 전국표값의 중간수요 및 최종수요의 오차=94,110,1

(표V-13) 수도권-기타권 지역간 거래표=100,116,11

(표V-14) 수도권-기타권 지역간 투입계수표=111,127,8

(표V-15) 역행렬계수표((I-CA)superscript-1형)=119,135,8

(표V-16) 역행렬계수표((I-CA)superscript-1C형)=127,143,8

(표VI-1) 1990년 수도권과 기타권의 건설투자액=137,153,1

(표VI-2) 수도권 건설투자의 파급효과=138,154,1

(표VI-3) 수도권 건설투자의 부문별 간접생산유발효과=138,154,1

(표VI-4) 기타권 건설투자의 파급효과=140,156,1

(표VI-5) 기타권 건설투자의 부문별 간접생산유발효과=141,157,1

그림목차

(그림V-1) KMRIO모형의 플로우=70,86,1

(그림VI-1) 수도권 건설투자의 간접생산유발효과=139,155,1

(그림VI-2) 기타권 건설투자의 간접생산유발효과=141,157,1

이용현황보기

建設活動의 地域經濟波及效果分析 : 地域産業聯關分析. 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585685 338.45624 ㄱ428ㄱ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585686 338.45624 ㄱ428ㄱ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