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정오표=0,1,1
표제지=0,2,1
제출문=0,3,1
요약문=1,4,6
SUMMARY=7,10,4
CONTENTS=11,14,6
목차=17,20,6
표목차=23,26,2
그림목차=24,27,3
제1장 서론=27,30,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27,30,2
제2절 연구의 목적=28,31,2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29,32,1
1. 연구범위=29,32,2
2. 연구방법=30,33,5
3. 시범지구조사=34,37,2
4. 연구진=36,39,1
제4절 중간평가 보완요구에 대한 조치=37,40,2
제2장 지하수 함양 분석=39,42,1
제1절 서론=39,42,2
제2절 지표수와 지하수 함양의 관계=40,43,1
1. 물의 순환과정과 지하수 함양=40,43,9
2. 수문곡선=48,51,3
3. 물 수지와 지하수 함양=50,53,3
4. 지하수 함양의 유형=53,56,2
가. 자연함양=54,57,2
나. 하천수의 함양=55,58,2
다. 인공함양=56,59,4
제3절 가뭄과 지하수의 관계=60,63,1
1. 가뭄빈도=60,63,2
2. 가뭄과 지하수위 강하=61,64,3
제4절 지하수 함양 평가방법 연구=64,67,1
1. 지하수함양량 추정방법=64,67,1
가. 물 수지분석에 의한 지하수함양량 이론=64,67,3
나. 지하수 자연함양율 산정 방법=66,69,7
2. 지하수위 강하곡선 해석에의한 지하수함양 평가 방법=72,75,8
제3장 지하댐의 개념과 시공사례=80,83,1
제1절 지하댐의 이해=80,83,1
1. 지하댐의 개념=80,83,4
2. 지하댐의 종류=84,87,1
가. 사용목적에 따른 구분=84,87,1
나. 저류형태에 따른 구분=85,88,1
다. 물막이벽 시공법에 따른 구분=85,88,2
제2절 국내 지하댐 시공 사례=86,89,1
1. 이안지하댐 시험사업=86,89,1
가. 지하댐 조사 개요=86,89,4
나. 지하수 이용가능량 분석=89,92,1
다. 지하댐 시험사업 준공 개요=89,92,3
라. 지하 물막이벽 시공내역=91,94,2
마. 방사상 집수정 시공내역=92,95,2
바. 사후평가조사=93,96,3
2. 기타지구 사례=95,98,1
가. 지하 물막이벽 시공지구=95,98,4
나. 방사상집수정 시공지구=98,101,2
제3절 외국의 지하댐 시공사례=100,103,1
1. 개요=100,103,1
2. 인도 및 아프리카 지역 사례=100,103,1
가. 인도 남부 지역=100,103,3
나. 에티오피아=102,105,2
3. 일본의 사례=103,106,2
가. 가바지마(樺島) 지하댐=104,107,4
나. 미야코지마(宮古島) 지하댐=107,110,5
4. 중국의 사례=112,115,1
가. 후빙(富平) 지하댐 개요=112,115,1
나. 후빙(富平) 지하댐 건설에 관한 기술검토=113,116,4
제4장 기존시설에 대한 분석=117,120,1
제1절 이용현황 분석=117,120,1
1. 지하댐 및 방사상지수정 이용현황 조사=117,120,9
2. 가뭄때의 시설 가동율 분석=126,129,2
3. 물막이벽 시공지구의 이용현황 분석=128,131,3
제2절 기존시설 설계 내용 분석=130,133,1
1. 지하댐 저류량과 이용가능량 산정내용=130,133,4
2. 물막이벽 설계 내용=133,136,5
3. 방사상집수정 설계 내용=138,141,1
가. 우물통 설계=138,141,2
나. 채수가능량 산정=139,142,1
다. 수평찬공 설계=139,142,5
라. 사이펀식 방사상집수정=143,146,3
제5장 물리탐사 자료에 의한 대수층해석 모델 개발=146,149,1
제1절 서론=146,149,3
제2절 이론적 배경=148,151,1
1. 지전기적 매개변수와 등가의 문제=148,151,6
2. 대수층의 전기적 특성과 수리적 특성의 관계=153,156,4
3.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전기비저항 모델링=156,159,4
제3절 수직 전기탐사 자료의 해석=159,162,1
1. 수직탐사 해석 전산 프로그램=159,162,3
2. 가남지구 수직 전기탐사 자료해석=161,164,8
제4절 가남지구 대수층의 전기적 특성과 수리적 특성 사이의 관계=169,172,6
제5절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2차원 전기비저항 모델링=174,177,1
1. 전극의 접지심도가 다를 때의 영향=175,178,1
2. 강우가 표토의 최상부를 적셨을 때의 영향=175,178,2
3. 전극 주위에 비저항 이상체가 존재할 때의 영향=176,179,2
4. 비저항탐사 모델링의 결론=177,180,4
제6장 소유역 지하수문분석 모델 개발=181,184,1
제1절 서론=181,184,4
제2절 Subdam의 문자형 전처리기=184,187,24
제3절 반복계산 방법의 개선=207,210,7
제4절 지하댐 구조물 경계조건의 표현=213,216,1
제5절 실제 이용가능량의 산정=213,216,4
제6절 Modflow를 이용한 지하댐 유역의 지하수문분석=217,220,6
제7장 시범지구 조사=223,226,1
제1절 조사 개요=223,226,1
1. 목적=223,226,1
2. 시범조사지구의 선정=223,226,3
3. 조사내용=225,228,3
제2절 지하수 조사=227,230,1
1. 조사방법=227,230,3
2. 지구별 조사결과=230,233,1
가. 가남지구=230,233,3
나. 대산지구=232,235,2
다. 낙안지구=234,237,2
라. 어모지구=235,238,2
마. 농소지구=236,239,2
제3절 지하수 수문조사=237,240,1
1. 조사내용=237,240,1
가. 조사목적=237,240,2
나. 조사방법 및 조사내용=239,242,6
2. 지구별 조사결과=244,247,1
가. 가남지구=244,247,7
나. 대산지구=251,254,8
다. 어모(중왕)지구=259,262,2
3. 조사결과 종합분석=260,263,3
제4절 지하수문분석 모델링=263,266,1
1. 시범지구의 위치와 수리지질 개요=263,266,3
2. 수문정보=266,269,1
3. 모델링 영역과 입력자료=267,270,1
4. 시뮬레이션 결과:Modflow 시뮬레이션 결과와의 비교=267,270,11
제8장 지하댐 조사 설계 요령=278,281,1
제1절 지하댐 조사설계 과정=278,281,1
1. 조사 설계의 순서=278,281,3
2. 지하수 조사항목과 규모=280,283,2
3. 조사설계의 단계별 유의사항=282,285,1
가. 지구선정 단계=282,285,1
나. 조사 예비단계=282,285,2
다. 조사 실시단계=283,286,1
라. 조사결과 평가단계=283,286,1
마. 설계 단계=283,286,2
제2절 조사 요령=284,287,1
1. 지하댐 예정비구 선정조사 요령=284,287,5
2. 지하수조사 과정별 조사요령=288,291,1
가. 지형조사=288,291,1
나. 지표지질조사=289,292,2
다. 물리탐사=290,293,5
라. 시추조사=295,298,2
마. 대수층 조사=296,299,6
바. 지하수위관측조사=301,304,3
3. 기상ㆍ수문 조사=303,306,1
가. 일반사항=303,306,1
나. 기상조사=304,307,1
다. 수문조사=304,307,4
4. 지하수 부존 평가=307,310,1
가. 지역단위 부존량 평가=307,310,3
나. 지하수 모델링 분석=309,312,2
다. 안정채수량 분석=310,313,2
제3절 계획 설계 요령=311,314,1
1. 지하댐의 설계의 요소=311,314,3
2. 지하댐 저류량과 이용량 산정요령=313,316,4
3. 취수공 설계=316,319,1
가. 방사상 집수정 계획 설계 절차=316,319,2
나. 계획 취수량 결정=318,321,2
다. 방사상 집수정의 실용적인 설계방안=319,322,3
라. 사이편 집수정의 설계=321,324,4
4. 지하 물막이벽의 설계=324,327,5
제9장 결론 및 연구성과 활용계획=329,332,1
제1절 결론=329,332,1
1. 소유역 지하수함양과 대수층 평가방법 연구=329,332,6
2. 지하댐 시공사례와 기존시설에 대한 분석=334,337,4
3. 물리탐사 자료에 의한 대수층 해석 모델=337,340,2
4. 소유역 지하수문 분석 모델 개발=338,341,2
제2절 연구성과 활용계획=340,343,1
1. 소유역 지하댐 조사ㆍ설계의 적용=340,343,2
2. 연구성과 실용화 보급계획=341,344,4
참고문헌=345,348,10
부록=355,358,2
Ⅰ. 소유역 지하수문분석 모델 설명서=357,360,2
제1장 소유역 지하수문 분석모델 개발=359,362,1
1. 배경 이론=359,362,1
1.1. 평면 2차원 포화대 지하수 유동 지배식=359,362,3
1.2. 초기 및 경계조건=361,364,4
1.3. 유한차분법=364,367,14
2. 모델 Subdam=377,380,1
2.1. 개요=377,380,2
2.2. 모델의 구성=378,381,1
2.3. 계산 수행 과정=378,381,3
2.4. 입력 자료=380,383,1
2.5. 출력 자료=380,383,1
2.6. 예제 시뮬레이션:Modflow 시뮬레이션 결과와의 비교=380,383,3
3. 프로그램 Storage=382,385,10
제2장 모델ㆍ프로그램 사용 설명서=386,395,1
1. 개요=386,395,1
2. 필요 시스템과 프로그램의 설치=387,396,1
3. Subdam=388,397,1
3.1. 계산 수행 순서도=388,397,1
3.2. 입력자료=389,398,1
3.3. 정류상태(Steady-State) 문제의 출력화면=390,399,2
3.4. 정류상태 문제의 출력파일=392,401,2
3.5. 부정류상태(Transient) 문제의 출력화면=394,403,2
3.6. 부정류상태 문제의 출력파일=396,405,4
4. Storage=400,409,1
4.1. 계산 수행 순서도=400,409,1
4.2. 입력자료=400,409,1
4.3. 출력화면=400,409,2
4.4. 출력파일=401,410,2
Ⅱ. 전기탐사자료 해석 P/G 사용설명서=403,412,2
전기탐사 자료의 해석=405,414,1
1. ESII=406,415,1
1-1. 사용 목적=406,415,1
1-2. 입력 화일=406,415,5
1-3. 사용 방법=410,419,3
1-4. 출력 화일=412,421,3
2. ZOH_INV=415,424,1
2-1. 사용 목적=415,424,1
2-2. 입력 화일=415,424,2
2-3. 사용 방법=416,425,1
2-4. 출력 화일=416,425,2
3. ESIIGRIM=418,427,1
3-1. 사용 목적=418,427,1
3-2. 입력 화일=418,427,1
3-3. 사용 방법=418,427,2
3-4. 출력 화일=419,428,1
4. ZOH_GRIM=419,428,1
4-1. 사용 목적=419,428,1
4-2. 입력 화일=419,428,2
4-3. 사용 방법=420,429,1
4-4. 출력 화일=420,429,2
영문목차
errata=0,1,1
title page=0,2,8
SUMMARY=7,10,4
CONTENTS=11,14,16
Chapter 1. Introduction=27,30,1
Sec. 1. Background and Needs=27,30,2
Sec. 2. Objectives=28,31,2
Sec. 3. Scope and Methodology=29,32,1
3-1. Scope of Researches=29,32,2
3-2. Methodology of the Researches=30,33,5
3-3. Investigation in the Case Study Areas=34,37,2
3-4. Researchers=36,39,1
Sec. 4. Final Arrangement for the Comments on Intermediate Report=37,40,2
Chapter 2. Groundwater Recharge Analysis=39,42,1
Sec. 1. Introduction=39,42,2
Sec. 2.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Recharge=40,43,1
2-1. The Hydrologic Cycle and Groundwater Recharge=40,43,9
2-2. Hydrographs=48,51,3
2-3. Water Budget and Groundwater Recharge=50,53,3
2-4. Type of Groundwater Recharge=53,56,7
Sec. 3. Relationship between Drought and Groundwater=60,63,1
3-1. Drought Year Frequency=60,63,2
3-2. Drought Affection to Groundwater Level=61,64,3
Sec. 4. Groundwater Recharge Assessment=64,67,1
4-1. Methods for Estimating Recharge Ratio=64,67,9
4-2. Recharge Assessment by Analysing Groundwater Level Depression Curve Due to Basin Drainage=72,75,8
Chapter 3. Groundwater Dams=80,83,1
Sec. 1. Comprehension on the Groundwater Dams=80,83,1
1-1. Concepts of Groundwater Dams=80,83,4
1-2. Classification of Groundwater Dams=84,87,3
Sec. 2. Groundwater Dam Development in Korea=86,89,1
2-1. Ian Pilot Project of Groundwater Dam=86,89,10
2-2. Other Establishments=95,98,5
Sec. 3. Groundwater Dams in Foreign Countries=100,103,1
3-1. An Outline of Groundwater Dams in the World=100,103,1
3-2. India and Africa=100,103,4
3-3. Japan=103,106,9
3-4. China=112,115,5
Chapter 4. Assessment on the Existing Groudwater Dams=117,120,1
Sec. 1. Inquiries in Utilization of Existing Establishments=117,120,1
1-1. Utilization Analysis of Existing Groundwater Dams and Collector Wells=117,120,9
1-2. The Rate of Operation of Establishments during Drought Season=126,129,2
1-3. Utilization Analysis in the Areas with Cut off Walls=128,131,3
Sec. 2. Analysis on the Design Creteria of Existing Establishments=130,133,1
2-1. Design of Storage Amount and Its Use=130,133,4
2-2. Cut off Wall Design=133,136,5
2-3. Collector Well Design=138,141,8
Chapter 5. Studies on Aguifer Analysis Model by Geophysical Prospecting=146,149,1
Sec. 1. Introduction=146,149,3
Sec. 2. Theoretical Background=148,151,1
2-1. Geoelectrical Parameters and Equivalence Problem=148,151,6
2-2.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ical and Hydrogeological Properties of Aguifers=153,156,4
2-3. Electrical Resistivity Modeling by Finite-difference Methods=156,159,4
Sec. 3. Analysis of Electrical Profiling Data=159,162,1
3-1. Computer Program for Analysing of Profiling Data=159,162,3
3-2. Analysis of Profiling Data in Kanam Area=161,164,8
Sec. 4.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ical and the Hydrogeological Properties of Aquifers in Kanam Area=169,172,6
Sec. 5. Two Dimensional Modeling of Electrical Resistivities by Finite-difference Methods=174,177,1
5-1. Effects of Different Depth of Electrods=175,178,1
5-2. Effects of Different Moisture of Top Soil=175,178,2
5-3. Effects of Electrical Anomalies around the Electrods=176,179,2
5-4. Conclusion of Resistivity Modeling=177,180,4
Chapter 6. Model Development of Ground Water Flow in a Small Basin=181,184,1
Sec. 1. Introduction=181,184,4
Sec. 2. Text Preprocessor of Subdam=184,187,24
Sec. 3. Improvement of Iteration Methods=207,210,7
Sec. 4. Boundary Condition Near the Dam Site=213,216,1
Sec. 5. Estimation of Usable Amount of Water=213,216,4
Sec. 6. Geohydrological Amalysis in Ground Water Dam Basin Using Modflow=217,220,6
Chapter 7. Investigation in the Case Study Areas=223,226,1
Sec. 1. Outline of Investigations=223,226,1
1-1. Objectives=223,226,1
1-2. Section of the Case Study Areas=223,226,3
1-3. Investigation Contents=225,228,3
Sec. 2. Groundwater Investigation=227,230,1
2-1. Methodology=227,230,3
2-2. Investigation Results for Each Areas=230,233,8
Sec. 3. Hyrological Investigation=237,240,1
3-1. Investigation Objectives and Contents=237,240,8
3-2. Investigation Results for Each Aseas=244,247,17
3-3. Synthetic Analysis on the Investigation Results=260,263,18
Chapter 8. The Essentials in the Investigation and Design for Ground Water Dam Development=278,281,1
Sec. 1. Investigation and Design Procedure=278,281,1
1-1. The Order in Investigation and Design Procedure=278,281,3
1-2. Investigation Items and Scope in the Ground Water Investigation=280,283,2
1-3. Matters to be Attended in the Step of Investigation and Design=282,285,3
Sec. 2. The Essentials in the Investigation Step=284,287,1
2-1. Site Selection=284,287,5
2-2. Ground Water Investigation=288,291,16
2-3. Meterological and Hydrological Investigation=303,306,5
2-4. Ground Water Resource Evaluation=307,310,5
Sec. 3. The Essentials in Planning and Designing Step=311,314,1
3-1. Design Factors of Groundwater Dams=311,314,3
3-2. Estimation of Storage and Usage Amount=313,316,4
3-3. Design of Pumping Station=316,319,9
3-4. Design of Cut Off Wall=324,327,5
Chapter 9. Conclus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329,332,1
Sec. 1. Conclusions of Researches=329,332,11
Sec. 2. Practical Application of Researches=340,343,5
REFERENCES=345,348,10
APPENDICES=355,358,2
Ⅰ. Description on the Groundwater Flow Model and Programs=357,360,52
Ⅱ. Manuals for the Programs of Electrical Profiling Data Analysis=403,412,19
그림2-1. 지하수의 순환과 함양=42,45,1
그림2-2. 수문곡선의 구성요소=49,52,1
그림2-3. 수문곡선 분리법(N-day법)=49,52,1
그림2-4. 어모지구 자연수위 변화도(1974.5.1.-12.22.)=78,81,1
그림2-5. 어모지구 지하수위 강하와 시간 관계도=79,82,1
그림3-1. 지하댐의 설치 모형도=81,84,1
그림3-2. 지하댐의 종류=82,85,1
그림3-3. 이안 지하댐 시험사업 위치도=87,90,1
그림3-4. 모래저장댐=101,104,1
그림3-5. 지하댐 이용 분포=101,104,1
그림3-6. 가바지마 지하댐 물수지 분석('77.8~'78.11)=107,110,1
그림3-7. 미나후크 지하댐 단면도=111,114,1
그림3-8. 후빙 지하댐 위치도=111,114,1
그림4-1. 이안 지하댐 유역 Cell 분활도=131,134,1
그림4-2. 사이펀 집수정 모형도=145,148,1
그림5-1. 지전기적 매개변수를 설명하는 주상지층=150,153,1
그림5-2. 등가원리의 설명도=150,153,1
그림5-3. 등가문제의 예시도=155,158,1
그림5-4. 대수층 구성입도별 비산출율=155,158,1
그림5-5. 가남지역의 지질도 및 탐사위치도=164,167,1
그림5-6. 측선 1, 2, 3, 4의 2차원 비저항 가상 단면도=165,168,1
그림5-7. 측선 5, 6, 7, 8의 2차원 비저항 가상 단면도=166,169,1
그림5-8. 측선 9, 10, 11, 12의 2차원 비저항 가상 단면도=167,170,1
그림5-9. 측선 13, 14, 15, 16의 2차원 비저항 가상 단면도=168,171,1
그림5-10. Longitudinal Unit Conductance와 Transeverse Unit Resistance가 수직탐사자료에 미치는 영향=171,174,1
그림5-11. 가남지역 대수층의 전기적, 수리적 특성 사이의 관계식=172,175,1
그림5-12.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지표에서의 전위값과 이론적인 전위값 비교(146 ohm-m의 반무한공간, 표면에서 2000 A의 정전류)=178,181,1
그림5-13. 모델링 자료의 비교에 기본이 되는 이상적인 1차원 4층 모델=178,181,1
그림5-14. 전극의 접지심도가 Schlumberger 배열의 수직탐사에 미치는 영향(실선:전류원이 지표 하 10 cm, 점:전류원이 지표 하 20 cm)=179,182,1
그림5-15. 강우가 Schlumberger 배열의 수직탐사에 미치는 영향(실선 강우가 없을 때, 점 강우가 있을 때)=179,182,1
그림5-16. 전극 주위의 비저항 이상체가 Schlumberger 배열의 수직탐사에 미치는 영향=180,183,1
그림6-1. 전처리기 Predam의 복잡한 경계조건 및 모델링 영역의 표현=194,197,1
그림6-2. 전처리기 Predam, 본 프로그램 Subdam, 저류량 변동 계산 프로그램 Storage를 이용한 소유역 지하수문분석 모델링 수행 과정=207,210,1
그림6-3. 선 반복 계산 SOR법을 이용한 수치 계산법=212,215,1
그림6-4. 경기도 가남지구-4계절의 지하수 함양이 다른 부정류 상태 유효저류량 변동 모델링=216,219,1
그림6-5. Modflow를 이용한 소유역 지하수문분석 모델링=217,220,1
그림6-6. ModelCad를 이용하여 구성한 Modflow 계산용 격자망=220,223,1
그림6-7. Modflow를 이용한 지하댐이 설치되지 않은 소유역에서의 정류상태 모델링 결과=221,224,1
그림6-8. Modflow를 이용한 지하댐이 설치된 소유역에서의 정류상태 모델링 결과=222,225,1
그림7-1. 가남지구 지하수문조사 위치도=240,243,1
그림7-2. 대산지구 지하수문조사 위치도=241,244,1
그림7-3. 수위계 내부구조=243,246,1
그림7-4. 자동수위기록 예(K 하천 수위변화)=243,246,1
그림7-5. 가남지구 하천수위 변동곡선(양화천)=246,249,1
그림7-6. 가남지구 하천 기저유출(경과시간 대 유량변화)=247,250,1
그림7-7. 가남지구 지하수위 변동곡선(K₁)=248,251,1
그림7-8. 가남지구 무강우기간 지하수위강하 추정곡선=249,252,1
그림7-9. 가남지구 무강우기간 지하수위강하 경과기간 대(1-S/Sm)=253,256,1
그림7-10. 대산지구 하천수위 변동곡선(옥율천)=254,257,1
그림7-11. 대산지구 지하수위 변동 곡선(N₁)=255,258,1
그림7-12. 대산지구 무강우기간 지하수위강하 추정곡선=256,259,1
그림7-13. 대산지구 무강우기간 지하수위강하:경과기간 대(1-S/Sm)=257,260,1
그림7-14. 시범지구(가남) 모델링 영역 위치도=264,267,1
그림7-15. 가남지구-봄, 정류상태의 지하수 함양이 있고 물막이벽이 없을때=270,273,1
그림7-16. 가남지구-봄, 정류상태의 지하수 함양이 있고 물막이벽이 있을때=271,274,1
그림7-17. 가남지구-여름, 정류상태의 지하수 함양이 있고 물막이벽이 없을때=272,275,1
그림7-18. 가남지구-여름, 정류상태의 지하수 함양이 있고 물막이벽이 있을때=273,276,1
그림7-19. 가남지구-가을, 정류상태의 지하수 함양이 있고 물막이벽이 없을때=274,277,1
그림7-20. 가남지구-가을, 정류상태의 지하수 함양이 있고 물막이벽이 있을때=275,278,1
그림7-21. 가남지구-겨울, 정류상태의 지하수 함양이 있고 물막이벽이 없을때=276,279,1
그림7-22. 가남지구-겨울, 정류상태의 지하수 함양이 있고 물막이벽이 있을때=277,280,1
그림8-1. 관계개선사업 조사설계 흐름도(농지개량사업 계획설계 기준, 관계편, p20. 노림부 1983)=279,282,1
그림8-2. 하천 유출단면도 예=306,309,1
그림8-3. 방사상집수정 계획 설계 절차=317,320,1
jpg
유속계 및 기록계(M1 & Z4)=343,346,1
리샬식 자기수위계=343,346,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0703085 | 631.28 ㄴ293ㅅ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