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머리말 / 韓基确

목차

일러두기 9

제1장 토양생성의 특성 10

1. 토양생성의 자연지리적 특성 10

2. 주요 토양 생성과정의 특징 19

가. 원시토양의 생성과정 19

나. 염류 집적과정 19

다. 석회집적과정 20

라. 점토화 과정 20

마. 白發化 過程 21

바. 富鋸化 過程(부아루미나화 과정) 21

사. 鱉合淋容作用 22

아. 유기물 집적과정 22

자. 潛育過程 23

차. 토양의 숙화과정 23

3. 토양자원의 특징 24

참고문헌 29

제2장 토양분류 30

1. 토양분류의 발전 31

가. 중국 고대 토양분류의 성과 31

나. 농민에 의한 토양분류의 명명 32

다. 건국후의 토양분류의 발전 33

2. 토양분류에 있어 몇가지 문제 34

가. 토양의 成帶性 문제 34

나. 土壞基層 분류문제 35

3. 토양분류 35

4. 토양의 명명 37

5. 중국의 토양분류표 39

참고문헌 59

제3장 토양분포와 구분 60

1. 토양의 수평분포 60

가. 績度지대와 經度지대와의 결합 61

나. 水平分布에 대한 大地形의 영향 61

다. 토양의 成帶性과 지역성과의 관계 62

2. 토양의 수직분포 65

가. 토양 垂直分布의 일반적 규칙 65

나. 垂直地帶諸에 대한 山體高度의 영향 69

다. 垂直地帶讀에 대한 산지 사면방향의 영향 69

라. 垂直讀 構成에 대한 山體 형태의 영향 71

3. 토양의 수직 및 수평의 복합분포 72

가. 고원주변의 土邊垂直帶 系讀 72

나. 高原面上의 水平分布 73

다. 高原上의 토양 下降垂直系諸 73

라. 高原面上의 土壞垂直分布 75

4. 토양의 中地域과 徾也域의 분포 75

가. 토양의 中地域 분포 76

나. 토양 微地域 분포 80

5. 토양의 구분 83

가. 토양구역의 구분 83

나. 土壞帶의 구분 87

다. 土壞區의 구분 90

참고문헌 90

제4장 磚紅壤·赤紅壤·紅壤·黄壤과 燥紅土 92

1. 토양 생성 과정 92

가. 富아루미나화 과정 93

나. 생물 집적과정 98

다. 경작후의 변화 103

2. 碍紅壤 108

가. 기본적 性狀 108

나. 主要 亞類 112

3. 赤紅壤(Lateritic red earth) 114

4. 紅壤(Red earth) 115

가. 기본적인 性狀 116

나. 主要 亞類 119

5. 黃壤(Yellow earth) 124

가. 基本 性狀 125

나. 主要 亞類 127

6. 燥紅土 131

참고문헌 133

제5장 黄棕壤, 棕壌과 褐土 136

1. 토양 생성 과정 136

나. 親種熟化의 특징 138

2. 黃棕壤 141

가. 基本 性狀 141

나. 유형의 변이 146

3. 棕壤 154

가. 기본 성상 155

나. 개간경작후의 변화 157

4. 褐土 159

가. 기본 성상 159

나. 유형의 변이 162

다. 개간경작후의 변화 164

참고문헌 166

제6장 摟土, 黑填土와 黄綿土 167

1. 생성 과정 167

가. 黃土物質의 영향 167

나. 熟田化의 특징 170

2. 壤土 171

가. 기본성상 171

나. 주요 유형 175

3. 黑墣土(Dark loessial soils) 177

가. 기본성상 179

나. 主要 亞類 183

4. 黃綿土(Yellow cultivated loessial soils) 187

참고문헌 190

제7장 暗棕瓌, 漂灰土, 灰黑土와 灰褐土 191

1. 토양 생성조건과 생성과정 191

가. 토양 생성조건 191

나. 토양 생성과정 192

2. 暗棕壤 197

3. 漂灰土(Podzolic soils) 204

가. 腐植質 澱積 漂灰土(Humus podzolic soils) 204

4. 灰黑土 207

가. 暗灰黑土(Dark gray forest soils) 210

나. 淡灰黑土(Light gray forest soils) 211

5. 灰褐土 211

가. 淋溶 灰褐土(Luvic cinnamon soils) 212

나. 石灰性灰褐土(Calcic gray-cinnamon soils) 212

참고문헌 213

제8장 黑土, 黑鈣土와 白漿士 215

1. 토양 생성 과정 216

가. 腐植質 集積 過程 218

나. 自漿化 過程 220

다. 석회 집적 과정 222

라. 경작후의 변화 223

2. 黑土(Black soils) 224

가. 형태적 특징 225

나. 물리적 성질 226

다. 수분의 계절적 동태 230

라. 광물과 화학적 성질 232

3. 黑鈣土 234

가. 형태적 특징 235

나. 물리적 성질 236

다. 화학적 성질 237

4. 白漿士 239

가. 형태적 특징 241

나. 물리적 성질 242

다. 수분의 계절적 동태 243

라. 광물과 화학적 성질 245

참고문헌 247

제9장 栗鈣土, 棕鈣土 및 灰鈣土 249

1. 생성과정 249

가. 부식집적과정 250

나. 석회집적과정 251

2. 栗鈣土 252

가. 기본 성상 253

나. 주요 아류와 地圖變異 255

3. 棕鈣土 258

가. 기본 성상 260

나. 주요 亞類와 地圖燮異 264

4. 灰釣土 266

가. 基本 性狀 266

나. 주요 아류와 地域 變異 271

참고문헌 273

제10장 灰漠土, 灰棕漠土 및 棕漠土 274

1. 토양생성과정 275

가. 토양생성의 특징 276

나. 생성적 특성 비교 279

2. 灰漠土 280

가. 기본적 특징 281

나. 主要 亞類 288

3. 灰棕漠土 291

가. 기본 성상 292

나. 主要 亞類 295

4. 棕漠土 297

가. 기본 성상 298

나. 主要 亞類 301

참고문헌 303

제11장 潮土와 砂姜黑土 304

1. 생성특징 304

가. 모재의 영향 304

나. 지하수 활동의 영향 307

다. 경작 활동의 영향 308

2. 潮土 310

가. 기본 성상 311

나. 主要 亞類 313

3. 砂姜黑土 325

가. 기본 성상 325

나. 主要 亞類 327

다. 종합적 관리 329

참고문헌 331

제12장 綠洲土 333

1. 숙전화 과정 333

가. 灌親游泥 堆積의 영향 333

나. 관개에 의한 용탈작용 336

다. 생물적 집적작용 337

2. 綠洲灰土(Grayish Oasis soils) 338

가. 기본 성상 338

나. 主要 亞類 340

3. 綠洲白土(Whitish Oasis soils) 342

가. 기본 성상 342

나. 主要 亞類 344

4. 綠洲潮土(Oasis fluvo - aquic soils, Oasis chao soils) 346

가. 기본 성상 346

나. 主要 亞類 347

참고문헌 352

제13장 草甸土와 沼澤土 353

1. 草旬土 353

가.草甸過程 353

나. 草甸土의 특징 355

다. 기본성상 357

라. 이용과 개량 362

2. 沼澤土 364

가. 沼澤 過程 364

나. 주요 아류 371

참고문헌 377

제14장 논 토양 379

1. 논 토양의 분포 379

2. 논 토양의 생성과정 381

가. 생성과정중의 변화 381

나. 논 토양 생성의 특징 384

다. 논 토양의 層位發達 387

3. 논 토양의 분류 명명 392

가. 논 토양 분류의 비교 392

나. 분류상의 일부 문제 394

다. 논 토양의 분류 396

4. 紅壤地區의 논 토양 398

5. 黃棕壤 地區의 논 토양 402

가. 瀦育性(산화환원형) 논 토양 404

나. 淹育型(산화형) 논 토양 406

다. 濳育性(환원형) 논 토양 408

6. 북방지구의 논 토양 410

가. 白漿土田, 黑土田, 泥炭土田 411

나. 淤土田 413

7. 범 지구성 논 토양 414

가. 沼澤型 논 토양 414

나. 鹽漬生 논 토양 416

참고문헌 419

제15장 鹽土와 嫌土 422

1. 토양의 鹽積過程 422

가. 鹽積過程 422

나. 해수침수에 의한 염분 집적 428

다. 알카리화 과정과 Na의 집적 432

2. 鹽土(Solonchak)의 주요 아류 436

가. 草甸鹽土(Meadow solonchaks) 436

나. 漬海鹽土 438

다. 沼澤鹽土 440

라. 洪積鹽土 441

마. 殘積鹽土 442

바. 蠊化鹽土 443

3. 蠊土의 주요 아형 447

가. 草旬蠊土(Meadow solonetzs) 447

나. 草原蠊土 452

다. 龜裂轍土 454

참고문헌 457

제16장 石灰土, 紫色土, 燐質石灰土 및 火山灰土 459

1. 石灰土 459

가. 생성특징 460

나. 主要 亞類 464

다. 이용경로 468

2. 紫色土 469

가. 생성특징 469

나. 기본 성상 473

다. 유형과 그 이용 476

3. 燐質 石灰土 480

가. 생성특징 481

나. 기본성상 483

다. 개량과 이용 486

4. 火山灰土 487

가. 생성특징 488

나. 기본성상 490

다. 토양이용 493

참고문헌 493

제17장 風砂土 495

1. 生成條件과 生成過程 495

2. 基本 性狀 497

3. 지구간의 차이 501

가. 流動風沙土 501

나. 牢固定風沙土 504

다. 固定風沙土 504

라. 草甸風沙土 505

마. 沼澤 風沙土 505

참고문헌 507

제18장 亞高山草甸土, 高山草甸土, 亞高山草原土, 高山草原土, 亞高山漠土, 高山漠土, 高山寒凍土 및 山地草甸土 508

1. 생성 특징 508

가. 부식질 축적 특징 510

나. 원소의 이동과 축적 510

다. 融凍形態의 特徵 512

라. 多元發生의 특징 514

2. 亞高山草甸土 515

가. 基本 性狀 516

나. 亞類의 특성 518

3. 高山草旬土(Alpine meadow soils) 519

4. 亞高山草原土(Subalpine steppe soils) 521

가. 기본성질 522

나. 亞類의 특징 524

5. 高山草原土(Alpine steppe soils) 525

가. 기본 성상 525

6. 亞高山漠土(Subalpine desert soil) 528

7. 高山漠土(Alpine desert soils) 529

8. 高山寒凍土(Alpine frozen soil) 531

9. 山地草甸土(Moutain meadow soil) 533

가. 생성적 특징 533

나. 기본 성질 535

참고문헌 537

판권기 539

이용현황보기

중국의 토양 : 토양생성과 분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707204 631.4952 ㄴ293ㅈ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707205 631.4952 ㄴ293ㅈ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