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요약문=1,2,4
목차=5,6,2
표목차=7,8,4
그림목차=11,12,4
제1장 서론=15,16,8
제2장 영농방식과 필요수량의 변화=23,24,2
2.1. 영농방식의 변화=25,26,8
2.2. 벼 직파재배=32,33,10
2.3. 직파재배와 필요수량=41,42,9
2.4. 수리시설물에 미치는 영향=49,50,4
제3장 직파현황 및 물관리 특성조사=53,54,2
3.1. 직파재배 현황=55,56,11
3.2. 생육기별 물관리 특성=66,67,14
3.3. 수원공별 직파현황=80,81,7
3.4. 직파적지 조사=87,88,14
제4장 직파재배 소비수량 시험=101,102,2
4.1. 작물계수 시험=103,104,37
4.2. 포장용수량 시험[파오손면;p.145~146]=140,141,22
4.3. 시험결과의 고찰=163,163,4
제5장 필요수량 산정 모형=167,167,2
5.1. 필요수량 모형=169,169,18
5.2. 모형의 구성=186,186,6
5.3. 모형의 적용=191,191,13
5.4. 단위용수량 산정=203,203,12
제6장 수리시설물 모의조작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215,215,2
6.1. 시스템의 개요=217,217,2
6.2. 저수지 모의조작 모형=218,218,10
6.3. 수리시설물 모의조작 시스템=228,228,16
6.4. 시스템의 적용성 평가=244,244,10
6.5. 시스템의 응용=253,253,2
제7장 요약 및 결론=255,255,8
참고문헌=263,263,6
부록=269,269,2
Ⅰ. 벼 재배유형별 시행면적('97)=271,271,10
Ⅱ. 주요 기상자료=281,281,12
Ⅲ. 일별 증발산량 측정자료=293,293,4
Ⅳ. 용설저수지 수위관측자료=297,297,10
(그림2-1) 휴립건답직파 파종 전경=36,37,1
(그림2-2) 무논골뿌림 담수직과 파종 전경=36,37,1
(그림3-1) 연도별 벼 재배유형의 변화=56,57,1
(그림3-2) 직파 재배면적 변화 추이=57,58,1
(그림3-3) '97 벼 재배유형별 분포도=58,59,1
(그림3-4) 각 도별 직파재배 현황=60,61,1
(그림3-5) 건답직파재배 논의 수확기 전경=65,66,1
(그림3-6) 건답직파 초기담수전 벼 생육상태(3~4엽기)=73,74,1
(그림3-7) 담수직파재배 눈그누기 장면(영남농업시험장)=79,80,1
(그림3-8) 표본구역 직파재배시행 면적 비율=83,84,1
(그림3-9) 표본구역 직파 적지면적 비율=94,95,1
(그림3-10) 표본구역의 표고별 적지면적 분포도=96,97,1
(그림3-11) 표본구역 직파 적지면적 및 시행면적 비율=97,98,1
(그림4-1) 시험포장별 라이시미터 배치현황=105,106,1
(그림4-2(a)) 시험포장 전경(수원지역)=105,106,1
(그림4-2(b)) 시험포장 전경(대구지역)=106,107,1
(그림4-3(a)) 강우량의 순별 변화(수원)=108,109,1
(그림4-3(b)) 평균기온의 일별 순평균 변화(수원)=108,109,1
(그림4-3(c)) 상대습도의 일별 순평균 변화(수원)=109,110,1
(그림4-3(d)) 일조시간의 일별 순평균 변화(수원)=109,110,1
(그림4-4(a)) 강우량의 순별 변화(대구)=110,111,1
(그림4-4(b)) 평균기온의 일별 순평균 변화(대구)=110,111,1
(그림4-4(c)) 상대습도의 일별 순평균 변화(대구)=110,111,1
(그림4-4(d)) 일조시간의 순별 일평균 변화(대구)=111,112,1
(그림4-5(a)) 벼 초장 변화(수원)=114,115,1
(그림4-5(b)) 벼 초장 변화(대구)=114,115,1
(그림4-6) 라이시메타 구조도=116,117,1
(그림4-7(a)) 일별 순평균 증발산량(수원, 조생종)=119,120,1
(그림4-7(b)) 순별 평균 증발산량(수원, 중생종)=119,120,1
(그림4-7(c)) 순별 평균 증발산량(수원, 만생종)=120,121,1
(그림4-7(d)) 순별 평균 증발산량(대구, 조생종)=120,121,1
(그림4-7(e)) 순별 평균 증발산량(대구, 중생종)=120,121,1
(그림4-7(f)) 순별 평균 증발산량(대구, 만생종)=121,122,1
(그림4-8(a)) 수정 Penman 공식에 의한 순별 평균 잠재증발산량(수원)=122,123,1
(그림4-8(b)) 수정 Penman 공식에 의한 순별 평균 잠재증발산량(대구)=123,124,1
(그림4-9(a)) Blaney-Criddle 공식에 의한 순별 평균 잠재증발산량(수원)=124,125,1
(그림4-9(b)) Blaney-Criddle 공식에 의한 순별 평균 잠재증발산량(대구)=124,125,1
(그림4-10(a)) 수정 Penman식에 의한 품종별 순별 작물계수(조생종, 수원)=127,128,1
(그림4-10(b)) 수정 Penman식에 의한 품종별 순별 작물계수(중생종, 수원)=128,129,1
(그림4-10(c)) 수정 Penman식에 의한 품종별 순별 작물계수(만생종, 수원)=128,129,1
(그림4-10(d)) 수정 Penman식에 의한 품종별 순별 작물계수(조생종, 대구)=128,129,1
(그림4-10(e)) 수정 Penman식에 의한 품종별 순별 작물계수(중생종, 대구)=129,130,1
(그림4-11(f)) 수정 Penman식에 의한 품종별 순별 작물계수(만생종, 대구)=129,130,1
(그림4-12(a)) '96년도 실측 증발산량과 계산 증발산량의 차이(수원)=135,136,1
(그림4-12(b)) '97년도 실측 증발산량과 계산 증발산량의 차이(수원)=135,136,1
(그림4-12(c)) '96년도 실측 증발산량과 계산 증발산량의 차이(대구)=135,136,1
(그림4-12(d)) '97년도 실측 증발산량과 계산 증발산량의 차이(대구)=136,137,1
(그림4-13(a)) 수원지방 수정 Penman공식의 작물계수 비교=137,138,1
(그림4-13(b)) 대구지방 수정 Penman공식의 작물계수 비교=137,138,1
(그림4-14(a)) 수원지방 Blaney-Criddle 공식의 작물계수 비교=138,139,1
(그림4-14(b)) 대구지방 Blaney-Criddle공식의 작물계수 비교=139,140,1
(그림4-15) 시험포장의 전경(경기도 농촌진흥원)=141,142,1
(그림4-16) 시험포장의 배치=141,142,1
(그림4-17) 관개량 측정용 유랑계=142,143,1
(그림4-18) 담수심 측정용 센서의 설치 상황=143,144,1
(그림4-19) 물꼬의 형태=144,145,1
(그림4-20) 물꼬의 설치상황[파오손면;p.145]=145,146,1
(그림4-21) 영농방식별 물관리 개념도=148,148,1
(그림4-22) 영농방식별 재배 포장에서의 토양수분 변화(97년)=151,151,1
(그림4-23) 이양재배 논의 일 담수심 변화=157,157,1
(그림4-24) 담수직파 논의 일 담수심 변화=157,157,1
(그림4-25) 건답직파 논의 일 담수심 변화=158,158,1
(그림4-26) 이양재배 논의 시간별 담수심 변화(7/4/97~7/5/97)=158,158,1
(그림4-27) 담수직파 논의 시간별 담수심 변화(7/4/97~7/5/97)=159,159,1
(그림4-28) 견답직파 논의 시간별 담수심 변화(7/4/97~7/5/97)=159,159,1
(그림5-1) 순복사량 산정의 각 요소=174,174,1
(그림5-2) 논에서의 물수지 개념도=179,179,1
(그림5-3) 이양재배 초기 물관리 개념도=182,182,1
(그림5-4) 담수직파 초기 물관리 개념도=184,184,1
(그림5-5) 건답직파 초기 물관리 개념도=186,186,1
(그림5-6) 필요수량 산정 모형의 구조=187,187,1
(그림5-7) 담수직파 필요수량 산정 요약(예)=190,190,1
(그림5-8) 혼합재배방식의 필요수량 산정 요약(예)=191,191,1
(그림5-9) 이양재배의 일별 필요수량의 변화(Penman)=198,198,1
(그림5-10) 건답직파의 일별 필요수량의 변화(Penman)=198,198,1
(그림5-11) 담수직파의 일별 필요수량의 변화(Penman)=199,199,1
(그림5-12) 이양재배의 일별 용수량의 변화(33.3ha)=209,209,1
(그림5-13) 건답직파의 일별 용수량의 변화(33.3ha)=209,209,1
(그림5-14) 담수직파의 일별 용수량의 변화(33.3ha)=210,210,1
(그림5-15) 전체 관개구역의 일별 용수량의 변화(100.0ha)=210,210,1
(그림5-16) 혼합재배방식에서의 일별 용수량의 변화(혼합비율 33.3%)=212,212,1
(그림6-1) DIROM 모형의 강우-유출 모식도=223,223,1
(그림6-2) 저수지에서의 물수지 모식도=224,224,1
(그림6-3) 시스템 메뉴의 구성=230,230,1
(그림6-4) 시스템을 이용한 업무분석 흐름도=231,231,1
(그림6-5) 시스템의 하위 모형간 연계도=232,232,1
(그림6-6) 데이터베이스 연결 구조도=233,233,1
(그림6-7) 사업계획 작성 입력창=238,238,1
(그림6-8) 기상자료 DB 열기창=238,238,1
(그림6-9) 필요수량 산정 입력창=239,239,1
(그림6-10) 일별 유입량 산정 입력창=240,240,1
(그림6-11) 물수지 산정 입력창=241,241,1
(그림6-12) 기상관측소 DB 열기창=242,242,1
(그림6-13) 기상자료 DB 열기창=242,242,1
(그림6-14) 도움말 사용예=243,243,1
(그림6-15) 저수위 자료수집 시스템 구성도=245,245,1
(그림6-16) 용설저수지 일별 수위변화=246,246,1
(그림6-17) 용설저수지 건답직파 적지 구분도=248,248,1
(그림6-18) 용설저수지 담수직파 적지 구분도=248,248,1
(그림6-19) 용설저수지 일별수위 비교=250,250,1
jpg
(그림2-1) 휴립건답직파 파종 전경=36,37,1
(그림2-2) 무논골뿌림 담수직과 파종 전경=36,37,1
(그림3-5) 건답직파재배 논의 수확기 전경=65,66,1
(그림3-6) 건답직파 초기담수전 벼 생육상태(3~4엽기)=73,74,1
(그림3-7) 담수직파재배 눈그누기 장면(영남농업시험장)=79,80,1
(그림4-1) 시험포장별 라이시미터 배치현황=105,106,1
(그림4-2(a)) 시험포장 전경(수원지역)=105,106,1
(그림4-2(b)) 시험포장 전경(대구지역)=106,107,1
(그림4-15) 시험포장의 전경(경기도 농촌진흥원)=141,142,1
(그림4-16) 시험포장의 배치=141,142,1
(그림4-17) 관개량 측정용 유랑계=142,143,1
(그림4-18) 담수심 측정용 센서의 설치 상황=143,144,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0741905 | 631.5 ㄴ293ㅇ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