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1,1,2

목차=3,3,2

I. 머리말=5,5,2

II. 북한헌법상 국가통치기구체계의 개관=7,7,2

III. 지방주권기관구성법의 연혁 및 지방국가기관체계의 변화=9,9,1

1. 지방주권기관구성법의 연혁=9,9,2

2. 북한의 지방국가기관체계의 변화=10,10,5

IV. 지방주권기관구성법의 원리와 내용=15,15,1

1. 지방주권기관구성법의 목적 및 기능=15,15,2

2. 지방주권기관구성법의 주요내용=16,16,1

3. 지방주권기관의 구성원칙=17,17,1

(1) 국가조직지도체계의 기본원칙=17,17,1

1) '수령의 유일적 영도제'=17,17,4

2) '당적 영도'=20,20,3

(2) 국가기관의 조직과 활동의 기본원칙 : '민주주의중앙집권제원칙'=22,22,5

V. 북한의 지방국가기관의 구성과 기능=27,27,1

1. 지방주권기관=27,27,1

(1) 지방인민회의=27,27,1

1) 구성 및 임기=27,27,2

2) 지방인민회의 및 그 대의원의 임무와 권한=28,28,3

3) 운영=30,30,2

(2) 지방인민위원회=31,31,1

1) 성격 및 구성=31,31,2

2) 임무와 권한=32,32,2

3) 운영=33,33,2

2. 지방행정집행기관: 지방행정경제위원회=34,34,1

(1) 성격 및 구성=34,34,2

(2) 임무와 권한=36,36,1

(3) 운영=36,36,1

3. 특별지방행정기관=36,36,2

(1) 도ㆍ농촌경리위원회와 시ㆍ도협동농장경영위원회=37,37,2

(2) 지구계획위원회와 시ㆍ도국가계획부=38,38,2

(3) 도경공업위원회=39,39,1

(4) 기타 기관=39,39,2

4. 지도기관 (노동당의 지방조직)=40,40,1

(1) 성격 및 구성=40,40,2

(2) 기능 및 역할=41,41,1

1) 당대표회=41,41,1

2) 당위원회=42,42,1

(3) 운영=42,42,3

VI. 맺음말 : 북한지방정권체계의 평가=45,45,4

표1 : 북한권력체계=49,49,1

표2 : 북한지방정권기관 조직체계=50,50,1

표3 : 북한 지방행정지도ㆍ감독체계=50,50,1

표4 : 북한 시(구역)ㆍ군 행정경제위원회 구성=51,51,1

표5 : 북한 도(직할시)농촌경리위원회 및 시(구역)ㆍ군 협동농장경영위원회 조직=52,52,1

표6 : 북한 지구계획위원회 조직=53,53,1

표7 : 북한 도경공업위원회 조직=54,54,1

표8 : 역대 지방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상황=55,55,2

(부록)=57,57,1

북한헌법상 지방국가기관 관련조항(1948년ㆍ1972년ㆍ1992년 헌법)=57,57,7

지방주권기관구성법(1954년)=64,64,6

지방주권기관구성법(1993년)=70,70,6

판권지=76,76,1

이용현황보기

北韓의 地方主權機關構成法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742941 통일 352.000265171 ㅂ295ㅂ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
0000742942 통일 352.000265171 ㅂ295ㅂ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