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등]

제출문

요약문

SUMMARY

표목차

그림목차

칼라

목차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개발 개요 17

1. 연구사업 개요 17

2. 연차별 연구추진 내용 및 연구비 17

제2절 연구 목표 및 내용 18

1. 연구의 필요성 18

2. 최종 연구목표 19

3. 연차별 연구목표 21

제2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22

제1절 E.C.N.C.의 설치와 운용 22

1. 개요 22

2. E.C.N.C.의 설치 23

3. E.C.N.C.의 운용 24

제2절 설계내용의 표준화 25

제3절 토류구조물의 설계과정 및 방법 27

1. 토류구조물의 전체적인 설계과정 27

2. 토류구조물의 각 설계 과정별 설계법 27

3. 공사개요 및 현황 파악 28

4. 굴토공법 선정계획 28

가. 굴착공법의 선정 30

나. 지보공법의 선정 34

다. 흙막이 벽체의 선정 38

라. 굴착보조공법의 선정 40

5. 설계정수 결정 45

6. 단면응력 산정 45

가. 토압론 45

나. 수압 46

다. Program을 이용한 해석 47

7. 구조계산 및 안정검토 58

가. 각종 허용응력기준 58

나. 벽체의 설계 64

다. 지보재의 설계 70

라. 띠장의 설계 77

마. 안정검토 79

제4절 옹벽구조물의 설계과정 및 방법 119

1. 공사개요 및 현황 119

가. 옹벽사용이 요구되는 경우 119

나. 옹벽이 다른 구조물과 다른 점 120

다. 설계 순서 120

2. 구조형식의 선정 123

가. 콘크리트 옹벽 123

나. 기타 옹벽 126

3. 기초형식의 선정 128

가. 상부 연약지반 및 암층 경사부에서 기초 128

나. 기초 처리 규정 사항 129

다. 기초지반 허용 지지력 130

4. 외력의 산정 131

가. 하중의 종류 131

나. 설계에 쓰이는 하중의 조합 133

다. 토압 133

5. 단면 설계 152

가. 단면 형식 검토 152

나. 옹벽 단면 표준도 156

다. 부재의 응력 계산 160

6. 뒷채움재의 선정 160

가. 흙쌓기 사면구배 160

나. 흙쌓기 사면높이 161

다. 벽체의 변위량과 벽마찰각 161

7. 안정 계산 163

가. 활동에 대한 안정 163

나. 전도에 대한 안정 164

다. 직접 기초의 지반 지지력에 대한 안정 165

라. 옹벽을 포함한 전체의 안정 165

마. 부상에 대한 안정 165

바. 허용 응력 설계법에 의한 역 T형 옹벽 설계 예 166

8. 일반 및 특별시방서 175

가. 시방규정 및 설계기준 비교 175

나. 부대공 설계 175

제5절 통합 DB프로그램 개발 178

1. 개요 178

2. SCUGEO 1.0의 Main 화면 180

3. SCUGEO 1.0의 Main 화면중 입력정보설정 부분 180

4. SCUGEO 1.0의 구조물별 Main 화면 181

5. SCUGEO 1.0의 구조물별 일반 시방서 화면 185

6. SCUGEO 1.0의 구조물별 표준도면 화면 186

제3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188

제1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188

제2절 연구결과의 대외기여도 189

제4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90

제5장 참고문헌 191

[title page etc.]

SUMMARY

Contents

Part I. Introduction 17

1. Outline of research work 17

2. Object and contents of research work 18

Part II. Results of research work 22

1. Installing and using of E.C.N.C. 22

2. Research of design process 25

3. Design process of excavation wall 27

4. Design process of retaining wall 119

5. Development of total database program(programl) 178

Part III. Extents of accomplishment and contributions of research work 188

1. Extents of accomplishment 188

2. Extents of contributions 189

Part IV. Application scheme of research result 190

Part V. Reference 191

표목차

표 1.1. 연차별 연구개요 18

표 1.2. 연차별 연구목표 21

표 2.1. E.C.N.C.의 설치방향과 관련된 연구내용 23

표 2.2. E.C.N.C.의 운용과 관련된 연구내용 24

표 2.3. 굴토공법의 선정계획 29

표 2.4. 굴착공법의 개요 31

표 2.5. 굴착공법의 비교 32

표 2.6. 암반굴착공법의 비교 34

표 2.7. 지보공법의 개요 35

표 2.8.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지보형식의 적용성 36

표 2.9. 지보형식에 따른 적용조건 36

표 2.10. 지보공법의 종류 및 특징 37

표 2.11. 흙막이벽 공법의 종류와 특징 39

표 2.12. soil nailing 공법과 earth anchor 공법의 차이점 42

표 2.13. 주요 보조공법의 종류별 특징 및 개요 43

표 2.14. 설계정수 결정 45

표 2.15. 가설구조물에 사용되는 강재표 58

표 2.16. 가설구조물에 사용되는 강재의 허용응력도 (단위 : kg/㎠) 59

표 2.17. 철근의 항복응력 및 허용응력 (단위 : kg/㎠) 60

표 2.18. 철근의 단면제원 60

표 2.19. 앵커의 허용인장력(σa(이미지참조)) 산출 (일본 토질공학회 기준) 60

표 2.20. 콘크리트의 허용압축응력 및 허용전단응력(kg/㎠) 61

표 2.21. 콘크리트의 허용응력(kg/㎠) - 일반규정 61

표 2.22. 콘크리트에 대한 철근의 허용 부착응력 (kg/㎠) 62

표 2.23. 가설구조물에 사용되는 목재의 허용 응력도 (kg/㎠) 63

표 2.24. S.C.W.의 표준배합 (일본 토질공학회 기준) 63

표 2.25. 앵커의 주변 마찰 저항표 (서울지하철 7호선 기준) 64

표 2.26. Strut(버팀보)의 해석 71

표 2.27. 앵커의 자유장 결정에 관한 외국규정 75

표 2.28. 각 해석방법에 의한 거리별 지반침하량 비교 89

표 2.29. 구조물의 종류에 따른 허용 침하량(Sowers, 1962) 89

표 2.30. 기초의 종류별 구조물의 허용부등침하 (단위 : inch) 90

표 2.31. USSR 시방서의 허용 부등침하(Polshin & Tokar, 1957) 90

표 2.32. 여러 가지 구조물에 대한 허용각변위 한계(Bjerrum, 1963) 92

표 2.33. 건축구조물의 손상한계 (Skempton, 1955) 93

표 2.34. 여러 가지 구조물의 최대허용침하량 (Sowers, 1962) 93

표 2.35. 침하량의 허용기준 (단위 : cm) 94

표 2.36. 구조물의 수평·수직 변형 기울기에 따른 등급 및 안전조치 94

표 2.37. 서울지하철 진동관리 기준 (cm/sec, Kine) 95

표 2.38. 부산지하철 진동관리 기준 (cm/sec, Kine) 95

표 2.39. 환경보전법에 의한 생활소음 규제기준의 범위 (dB) 96

표 2.40. 동경도 공해국 자료에 의한 특정건설 작업의 소음레밸 (dB(A)) 97

표 2.41. 암발파시 진동저감 대책 98

표 2.42. 무진동(미진동) 굴착공법 99

표 2.43. 계측항목에 따른 계측기의 종류 103

표 2.44. 콘크리트 옹벽의 특징 125

표 2.45. 기초지반 종류에 따른 허용지지력 130

표 2.46. N치에 의한 지지력 추정 130

표 2.47. 토압산정에 쓰이는 토질정수 (도로) 134

표 2.48. 토압의 계산에 쓰이는 흙의 종류와 토질 제수치 (철도) 134

표 2.49. 토압론의 비교 148

표 2.50. 가속도 계수 (도로교 시방서) 149

표 2.51. 검토결과 150

표 2.52. 흉벽의 위치 (일본 표준도 작성 참조) - 선단에서부터의 길이 154

표 2.53. 역 T형 표준도 단면 155

표 2.54. 중력식 옹벽 높이별 저판폭 156

표 2.55. 반중력식 옹벽 높이별 저판폭 157

표 2.56. 역 T형 옹벽 높이별 저판폭 158

표 2.57. L형 옹벽 높이별 저판폭 159

표 2.58. 흙쌓기 사면구배 160

표 2.59. 흙쌓기 사면 높이 161

표 2.60. 콘크리트 면질 및 흙의 종류에 따른 벽 마찰각(NAVFAC DM-7) 162

표 2.61. 시방규정 및 설계기본 비교 175

표 2.62. SCUGEO 1.0의 개발과 관련된 2차년도의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179

표 3.1. 각 연차별 연구개발목표와 달성도 188

그림목차

그림 1.1. 전체적인 연구내용 20

그림 2.1. 국내 엔지니어링사의 제반 문제점 및 E.C.N.C. 22

그림 2.2. 표준 설계법 연구과정 25

그림 2.3. 토류구조물의 설계과정 27

그림 2.4. 굴착 공법 30

그림 2.5. 암반굴착공법의 종류 33

그림 2.6. 지보공법의 종류 34

그림 2.7. 토류벽의 재료에 따른 종류 38

그림 2.8. 지하수 처리방법에 따른 종류 38

그림 2.9. 지보공에 따른 종류 38

그림 2.10. 굴착 후의 토압발생 단계(J.E. Bowles, 1988) 46

그림 2.11. 토류벽에서 침투압에 의한 압력분포 47

그림 2.12. 띠장의 설계 77

그림 2.13. 자립흙막이의 안정검토 79

그림 2.14. 가로보를 가설한 경우의 안정검토 80

그림 2.15. Heaving에 대한 안정검토 (Terzaghi-Peck식) 81

그림 2.16. Boiling에 대한 안정검토 82

그림 2.17. 지하수위가 현지반 보다 높은 경우에 대한 Boiling 83

그림 2.18. 지표면 침하에 과한 Peck의 침하도 85

그림 2.19. Fry et al의 Graph 방법 86

그림 2.20. Clough et. al의 Graph 방법 87

그림 2.21. 옹벽의 설계 순서 122

그림 2.22. 중력식 (반중력식) 옹벽 123

그림 2.23. 역 T형 및 L형 옹벽 123

그림 2.24. 부벽식 옹벽 124

그림 2.25. 보강토 옹벽 127

그림 2.26. 연약층부 보강 129

그림 2.27. 기초 지반 경사시 129

그림 2.28. 철도에 대한 재하중의 일례 132

그림 2.29. Rankine의 주(수)동 상태 135

그림 2.30. i=0이고 c=0인 경우의 Rankine 토압 136

그림 2.31. 등분포 하중이 있고 i=0, c=0인 경우의 Rankine 토압 137

그림 2.32. 뒷채움 흙이 다른 층인 경우(c=0, i=0)의 Rankine 토압 138

그림 2.33. 지하수위가 있는 경우(i=0, c=0)의 Rankine 토압 138

그림 2.34. 점성이 있는 경우의 Mohr 원 139

그림 2.35. 점성이 있는 경우(i=0, c≠0)의 Rankine 토압 140

그림 2.36. 지표면이 경사진 경우(c=0인 사질토)의 Rankine 토압 141

그림 2.37. 지표면이 경사진 경우의 주(수)동 상태의 Mohr 원 142

그림 2.38. 벽면 마찰로 인한 활동 파괴면의 형상 143

그림 2.39. 주동 상태에서 흙쐐기에 작용하는 힘 144

그림 2.40. 토압 분포를 결정하기 위한 Dubrova 방법 146

그림 2.41. 중력식 옹벽이 극한 평형 상태가 되었을 때의 거동 151

그림 2.42. 역 T형 옹벽의 가상 벽면에 작용하는 토압과 활동면 151

그림 2.43. 단면의 기능 153

그림 2.44. 중력식 옹벽 사용시 검색방법 156

그림 2.45. 반중력식 옹벽 사용시 검색방법 157

그림 2.46. 역 T형 옹벽 사용시 검색방법 158

그림 2.47. L형 옹벽 사용시 검색방법 159

그림 2.48. 사질토에 대한 강도 특성 관계(NAVFAC DM-7) 163

그림 2.49. 역 T형 옹벽 166

그림 2.50. 앞굽에 작용하는 합력의 위치 172

그림 2.51. 경사배수공 176

그림 2.52. 상부 배수공 설치 177

그림 2.53. SCUGEO 1.0의 개념도 178

그림 2.54. SCUGEO 1.0의 Main 화면 180

그림 2.55. SCUGEO 1.0의 Main중 Configuration 화면 181

그림 2.56. SCUGEO 1.0의 토류구조물 Main 화면 182

그림 2.57. 공사개요 및 현황화면 183

그림 2.58. 굴토공법선정 화면 183

그림 2.59. 단면응력 산정 화면 184

그림 2.60. 구조계산 및 안정검토 화면 184

그림 2.61. 예상문제점 검토 화면 185

그림 2.62. 계측관리 계획 화면 185

그림 2.63. SCUGEO 1.0의 일반시방서 화면 - 예 : 토류구조물 186

그림 2.64. SCUGEO 1.0의 각 기관별 표준도면 화면 - 예 : 토류구조물 187

칼라

jpg

이용현황보기

SOC관련 토목시설물설계 기반기술 개발. 1998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762951 624.16 ㄱ373s 199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762952 624.16 ㄱ373s 199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