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i,3,2

목차=iii,5,3

표목차=vi,8,1

그림목차=vi,8,1

요약문=vii,9,3

Summary=x,12,3

제1장 서론=1,15,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1,15,2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2,16,1

제2장 ASEM 개요=3,17,1

제1절 아시아 유럽 교류의 배경=3,17,1

1. 유럽의 신 아시아 전략=3,17,5

2. 경제통합과 다자간 협의체=7,21,3

제2절 ASEM의 개요=9,23,1

1. ASEM의 태동=9,23,2

2. ASEM의 성격=10,24,3

3. 추진구조=12,26,4

4. 정상회의=15,29,13

5. 분야별 회의=27,41,22

6. 협력사업=48,62,2

7. 전반적 평가=49,63,3

제3절 APEC과의 비교=51,65,2

1. 공통점=52,66,2

2. 상이점=53,67,3

3. 향후과제=55,69,2

제3장 아시아 유럽간 과학기술협력=57,71,1

제1절 국제과학기술질서의 변화=57,71,1

1. 과학기술과 경제의 접목=58,72,1

2. 경제활동의 국제화=59,73,4

3. 학제간 연구협력과 시장확대=62,76,2

4. 국제 과학기술 환경변화와 다자간 협력=63,77,1

제2절 과학기술 협력현황=63,77,2

1. 과학기반상품=64,78,2

2. 특허=66,80,2

3. 기업간 기술제휴=67,81,3

4. 연구자 교류= 69,83,3

5. 해외직접투자=71,85,4

6. 해외기업의 국내 R&D=74,88,3

제3절 저해요인=76,90,6

제4절 시사점=81,95,2

제4장 아시아 유럽간 과학기술 분야별 협력방안=83,97,1

제1절 분야별 협력현황 및 향후 추진방안=83,97,1

1. 기초과학 교류 및 연구설비 공동이용=83,97,3

2. 대학 및 연구기관으로부터 기업으로의 지식이전=86,100,1

3. 인적자원개발 (연구자 교류 및 대중의 인식 제고)=86,100,3

4. 산림=88,102,3

5. 수자원=90,104,3

6. 농업 및 농업기술=92,106,3

7. 지속가능 도시=94,108,4

8. 지속가능 청정생산=97,111,3

9. 수자원 생태계의 지속가능 개발=99,113,2

10. 문화유적 보호=101,115,2

11. 기업의 기술 및 연구 역량 향상=103,117,2

12. 종합 및 시사점=105,119,2

제2절 추진체제=106,120,2

1. ASEM 기술협력 연구그룹=107,121,4

2. 과학기술 장관회의=110,124,2

제5장 우라나라의 역할과 추진방안=112,126,1

제1절 ASEM과 한국=112,126,1

1. 경제협력=112,126,3

2. 과학기술 협력=114,128,2

3. 한국의 ASEM 전략=116,130,3

제2절 과학기술 협력 참여방안=118,132,1

1. 협력 framework과 프로그램의 동시적 추진=118,132,4

2. 협력 의제(안)=121,135,3

참고문헌=124,138,2

목차

부록=0,140,1

목차=0,141,1

1. Chairman's Statement, ASEM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ers' Meeting=A-1,142,6

2. Ministerial Communique, ASEM Science and Tedhnology Ministers' Meeting=A-7,148,6

3. Record of Discussion, Senior Officials Meeting=A-13,154,4

4. Asian-European Cooperation in Basic Research(Germany, China, Japan)=A-16,157,12

5. Transfer of Knowledge from Universities/Research Institutes to Industry (Japan, France, Finland)=A-28,169,19

6. HRD Focusing on Exchange of Researchers and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Austria, Indonesia, Korea and Portugal)=A-47,188,12

7. Forestry(Finland, China, Austria)=A-59,200,18

8. Water Issues(Thailand, Portugal, France)=A-77,218,11

9. Agro-technology and Agri-Industry(Singapore, Italy)=A-88,229,18

10. Sustainable Cities(France, Greece, Italy, Philippines)=A-106,247,14

11. Sustainable and Clean Production(Austria, Malaysia, Denmark)=A-120,261,12

12. Sustainable Development of Water Ecosystems(Italy)=A-132,273,10

13. Cultural Heritage(Vietnam, Italy, Spain)=A-142,283,16

14. Upgrading Technical and Research Capabilities of Enterprises(Sweden, China, Thailand)=A-158,299,11

표목차

(표2-1) GDP 비중=10,24,1

(표2-2) ASEM 조정국=14,28,1

(표2-3) ASEM 관련 주요 행사 일정=28,42,3

(표2-4) ASEM과 APEC 협력간의 차이점 비교=54,68,1

(표3-1) 유럽 G4의 과학기반상품 총 수입중 아시아 점유율(%)=65,79,1

(표3-2) 유럽 G4의 과학기반상품 총 수출중 아시아 점유율(1988, 1994, %)=65,79,1

(표3-3) 외국인 학생의 국적별 분포 ('91)=71,85,1

(표3-4) ASEM 회원국의 해외직접투자 유출=72,86,1

(표3-5) ASEM 회원국으로의 해외직접투자 유입=73,87,1

(표3-6)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74,88,1

(표3-7) 유럽내 해외직접투자 현황=74,88,1

(표3-8) 유럽, 미국, 일본간 제조업투자의 산업별 비중=75,89,1

(표3-9) 상위 500개 기업의 해외 연구소의 분포=75,89,1

(표3-10) 비자발급 관련 AEBF 제안사항=78,92,1

(표5-1) 우리나라의 대EU 교역동향 (단위:백만달러, %)=113,127,1

(표5-2) 한국의 유럽내 해외직접투자 현황=114,128,1

그림목차

(그림2-1) 경제통합의 제단계=8,22,1

(그림2-2) ASEM의 구조=13,27,1

(그림3-1) 국외저자와의 공동저술, '95=61,75,1

(그림3-2) 국외 발명자와의 공동 특허, '93-'95=61,75,1

(그림3-3) 국내 특허출원 중 외국인 지분 (단위:%)=67,81,1

(그림3-4) 외국 특허출원 중 내국인 지분 (단위:%)=67,81,1

(그림3-5) 국내, 국제 기업간 기술제휴, '92-'95=68,82,1

(그림3-6) 3극지역의 역내, 지역간 기술제휴지수, '94-'96('88-'90=100기준)=68,82,1

이용현황보기

ASEM내 과학기술협력 활성화 방안 : 한국의 역할 및 추진방안을 중심으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824950 338.91 ㄱ373a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824951 338.91 ㄱ373a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