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목차=1,2,2
1. 수문지질=3,4,2
1) 용암동굴의 위치와 토지이용 현활=5,6,2
2) 해안지역 숨골의 위치와 규모=7,8,2
3) 해안지역 곶자왈의 위치와 토지이용현황=9,10,2
4) 해안지역 오름의 위치와 규모=11,12,7
5) 중산간지역 하부의 하천명과 위치=18,19,2
6) 스코리아류 퇴적층의 위치와 토지이용현황=20,21,1
7) 지하수위 조사결과=21,22,6
2. 지하수개발ㆍ이용실태=27,28,2
1) 기설관정의 이용실태 조사결과=29,30,230
2) 소수역별 지하수개발 이용실태=259,260,9
3) 농업용수관정 이용량 모니터링 조사결과=268,269,2
4) 원수대부과 대상관정별 월간 지하수이용량('95~'98)=270,271,60
5) 공공관정의 전기사용량('98년)=330,331,5
6) 기설관정 GPS(Global Postioning System)측량 성과=335,336,10
3. 잠재오염원=345,346,2
1) 폐수종말처리장 시설 현황=347,348,1
2) 하수종말처리시설 현황=348,349,1
3) 분뇨처리시설 현황=349,350,1
4) 오수정화시설 현황=350,351,47
5) 지하저장탱크시설 현황=397,398,29
6) 토양오염유발시설 현황=426,427,12
7) 축산폐수 배출시설 현황=438,439,39
8)쓰레기매립장 현황=477,478,3
9) 골프장시설 현황=480,481,1
10) 산업폐수 배출시설 현황=481,482,25
11) 지정폐기물 관련시설 현황=506,507,19
4. 수질=525,526,2
1) 기설관정의 지하수 수질검사=527,528,71
2) 지하수 주요수질성분 조사결과=598,599,18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2
과업참여자=3,4,1
목차=7,8,4
I. 과업개요=11,12,1
1. 과업배경=11,12,1
2. 과업목적=11,12,1
3. 과업범위 및 수행기간=12,13,1
4. 과업 시행 과정=12,13,1
5. 주요 과업내용=13,14,1
5-1. 기존 자료수집 및 분석=13,14,1
5-2. 지하수 기초조사=13,14,1
5-3. 지하수 정보관리시스템 구축=14,15,1
5-4. 지하수 보전 및 관리방안 수립=15,16,1
II. 자연 및 인문환경=16,17,1
1. 자연환경=16,17,1
1-1. 지형=16,17,2
1-2. 수계=18,19,4
1-3. 토양=22,23,11
2. 인문환경=33,34,1
2-1. 토지이용현황=33,34,2
2-2. 국토이용계획=35,36,5
2-3. 토지이용 제한지역=40,41,15
2-4. 인구=55,56,3
2-5. 상ㆍ하수도=58,59,2
III. 제주도 지하수의 부존 및 산출특성=60,61,1
1. 조사개요=60,61,2
2. 지질=62,63,11
3. 지하수 부존형태=73,74,1
3-1. 조사내역=73,74,2
3-2. 0ahu섬의 지하수 부존과 산출특성=75,76,1
3-3. 기존 조사자들의 지하수 부존형태=76,77,5
3-4. 제주도 지하수의 부존형태와 산출특성=81,82,4
4. 대수층의 수리특성=85,86,1
4-1. 조사내역=85,86,3
4-2. 양수시험 자료해석=88,89,1
4-3. 비양수량과 투수랑계수의 관계=89,90,10
4-4. 대수층 수리상수 분포=99,100,3
4-5. 지하수 이동시간=102,103,2
5. 지하수위 분포 및 변동=104,105,1
5-1. 조사내역=104,105,7
5-2. 지하수위 일제조사 결과분석=111,112,24
5-3. 기존 수위조사 자료와의 비교분석=135,136,6
5-4. 장기관측망 지하수위 자료분석=141,142,17
6. 담ㆍ염수 경계면 분포=158,159,1
6-1. 조사내역=158,159,2
6-2. 수질검사 자료분석=160,161,1
6-3. 물리검층 및 이용실태조사 자료에 의한 보정=161,162,4
6-4. 염소이온 농도 분포=165,166,2
7. 물수지 분석=167,168,1
7-1. 조사내역=167,168,3
7-2. 기존 물수지 분석결과=170,171,3
7-3. 물수지 계산=173,174,9
7-4. 물수지 계산 결과 분석=182,183,3
7-5. 물수지분석에 대한 문제점 분석=185,186,2
IV. 지하수 기초조사=187,188,1
1. 투수성지질구조조사=187,188,1
1-1. 조사개요=187,188,1
1-2. 투수성지질구조의 종류 및 분포=188,189,24
2. 지하수개발ㆍ이용실태조사=212,213,1
2-1. 조사개요=212,213,2
2-2. 조사방법=214,215,11
2-3. 현장조사=225,226,10
2-4. 개발실태=235,236,22
2-5. 이용실태=257,258,21
2-6. 염지하수=278,279,5
2-7. 조사결과 및 문제점분석=283,284,4
3. 잠재오염원조사=287,288,1
3-1. 조사개요=287,288,1
3-2. 오염원 현황=288,289,21
3-3. 오염부하량 계산=309,310,18
3-4. 축산폐수 배출시설 관리대책=327,328,6
4. 지하수 수질조사=333,334,1
4-1. 조사내역=333,334,12
4-2. 제주도 지하수의 배경수질=345,346,3
4-3. 물리ㆍ화학적 특성 및 용존물질의 함량분포=348,349,10
4-4. 수질유형(지역별ㆍ표고별)=358,359,10
4-5. 지하수질의 통계적 특성(상관분석ㆍ요인분석)=368,369,13
4-6.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 현황=381,382,14
4-7. 지하수 수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395,396,7
4-8. 지하수 수질오염 방지 대책=402,403,3
V. 지하수 정보관리시스템 구축=405,406,1
1. 시스템 구축 방향=405,406,2
2.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407,408,5
3. 시스템의 활용=412,413,12
Vl. 지하수 보전 및 관리방안=424,425,1
1. 현행 지하수관리의 성과 및 향후 개선과제=424,425,1
1-1. 성과=424,425,2
1-2. 개선과제=426,427,2
2. 21세기를 대비한 지하수관리 기본방향=428,429,1
2-1. 지하수의 공수적 관리체제의 기틀마련=428,429,4
2-2. 지하수 보전ㆍ관리의 기본방향=432,433,1
3. 지하수 보전 및 관리방안=433,434,1
3-1. 지하수의 효율적 개발ㆍ이용방안=433,434,4
3-2. 지하수의 수질관리방안=437,438,20
3-3. 지하수 보전ㆍ관리재원의 확보=457,458,1
3-4. 지하수한경 기초조사의 지속적 추진=458,459,1
3-5. 지하수 관리조직의 확대 및 전문화=458,459,1
4. 지하수 함양지역과 장애발생 우려지역의 관리=459,460,1
4-1. 기본방향=459,460,1
4-2. 정부의 지하수보전구역 지정 관리 기본정책=460,461,7
4-3. 현행 제주도 중산간지역 지하수보전ㆍ관리=467,468,4
4-4. 지하수 함양지역의 보전ㆍ관리방안 : 지하수자원보전지구설정(안)=471,472,24
4-5. 지하수 장애발생 우려지역의 관리=495,496,15
5 지하수 보전ㆍ관리 관련 법령 검토=510,511,1
5-1. 제주도개발특별법=510,511,2
5-2. 지하수법=512,513,4
5-3 환경관련법=516,517,13
부록=529,530,3
1. 지하수영향조사서 작성대상개선(안)=532,533,1
2. 지하수영향조사의 조사항목 및 방법 등 개선(안)=533,534,3
3. 수중모터펌프의 설계기준=536,537,5
표목차=541,542,10
그림목차=551,552,8
보고서 검토 및 자문 내역=559,560,22
참고문헌=581,582,8
판권지=589,590,1
(그림 2-1-1) 제주도의 수역구분(자료 : 건설부, 1993)=21,22,1
(그림 2-1-2) 토양 분포도=23,24,1
(그림 2-1-3) 토색유형 분포도=25,26,1
(그림 2-1-4) 토앙의 오염위험지수 분포도=29,30,1
(그림 2-1-5) 토양의 돌출농도 분포도=32,33,1
(그림 2-2-1) 토지이용현황도=34,35,1
(그림 2-2-2) 국토이용 계획도=39,40,1
(그림 2-2-3) 보전지역 분포도=42,43,1
(그림 2-2-4) 초지조성지구, 농업진흥지역 및 농공단지=47,48,1
(그림 2-2-5) 공원, 상수원보호구역 및 문화재보호구역=51,52,1
(그림 2-2-6) 관광단지ㆍ지구 및 온천지구 분포=54,55,1
(그링 3-2-1) 지질도(1:10만, 농업진흥공사, 1971)=66,67,1
(그림 3-3-1) 담수의 수위와 염수 경계면 깊이와의 관계=74,75,1
(그림 3-3-2) 지하수 부존형태 모식도 (1989, 농업진총공사)=78,79,1
(그림 3-3-3) 지하수 부존형태 모식도(1993, 한국수자원공사)=79,80,1
(그림 3-4-1) 양수시험자료 분석공 위치도=86,87,1
(그림 3-4-2) 비양수량과 투수량계수 관계 추세도=90,91,1
(그림 3-4-3) 제주도 지하수 비양수랑-투수랑계수 관계 회귀분석도=91,92,1
(그림 3-4-4) 투수량계수와 저류계수의 관계=100,101,1
(그림 3-4-5) 제주도 대수층의 투수량계수 분포도=101,102,1
(그림 3-4-6) 제주도 대수층의 저류계수 분포도=101,102,1
(그림 3-5-1) 월별 강수랑 및 수위조사 시점=105,106,1
(그림 3-5-2) 지하수위 조사공 위치도=105,106,1
(그림 3-5-3) '98년 장기관측공 현황도=110,111,1
(그림 3-5-4) 1차 수위조사 지하수위 히스토그램=111,112,1
(그림 3-5-5) 2차 수위조사 지하수위 히스토그램=111,112,1
(그림 3-5-6) 지하수위 변동값(2차 지하수위-1차 지하수위)의 히스토그램=113,114,1
(그림 3-5-7) 구좌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14,115,1
(그림 3-5-8) 구좌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14,115,1
(그림 3-5-9) 조천수역의 지하수의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15,116,1
(그림 3-5-10) 조천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15,116,1
(그림 3-5-11) 동제주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16,117,1
(그림 3-5-12) 동제주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16,117,1
(그림 3-5-13) 중제주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17,118,1
(그림 3-5-14) 중제주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17,118,1
(그림 3-5-15) 도남관측공의 강수량에 따른 수위변동=118,119,1
(그림 3-5-16) 서제주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19,120,1
(그림 3-5-17) 서제주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19,120,1
(그림 3-5-18) 애월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20,121,1
(그림 3-5-19) 애월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20,121,1
(그림 3-5-20) 한림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21,122,1
(그림 3-5-21) 한림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21,122,1
(그림 3-5-22) 한경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22,123,1
(그림 3-5-23) 한경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22,123,1
(그림 3-5-24) 대정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23,124,1
(그림 3-5-25) 대정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23,124,1
(그림 3-5-26) 안덕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24,125,1
(그림 3-5-27) 안덕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24,125,1
(그림 3-5-28) 서서귀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25,126,1
(그림 3-5-29) 서서귀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25,126,1
(그림 3-5-30) 중서귀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26,127,1
(그림 3-5-31) 중서귀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26,127,1
(그림 3-5-32) 동서귀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27,128,1
(그림 3-5-33) 동서귀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27,128,1
(그림 3-5-34) 남원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28,129,1
(그림 3-5-35) 남원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28,129,1
(그림 3-5-36) 표선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29,130,1
(그림 3-5-37) 표선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29,130,1
(그림 3-5-38) 성산수역의 지하수위 일제조사 대상공 분포도=130,131,1
(그림 3-5-39) 성산수역 지하수위 일제조사 수위분포=130,131,1
(그림 3-5-40) 지하수위 등고선도('98년 12월)=132,133,1
(그림 3-5-41) 지하수위 등고선도('99년 7월)=133,134,1
(그림 3-5-42) '98년 12월과 '99년 7월의 수위비교=134,135,1
(그림 3-5-43) 동부지역의 장기간의 수위변화=137,138,1
(그림 3-5-44) 서부지역의 장기간의 수위변화=138,139,1
(그림 3-5-45) 남부지역의 장기간의 수위변화=139,140,1
(그림 3-5-46) 북부지역의 장기간의 수위변화=140,141,1
(그림 3-5-47) 장기관측공의 월평균 지하수위의 년간 변화량=142,143,1
(그림 3-5-48) 월평균 지하수위 년간 변동 히스토그램=143,144,1
(그림 3-5-49) 동부권역 지하수위=145,146,1
(그림 3-5-50) 동부권역 지하수위변동=145,146,1
(그림 3-5-51) 서부권역 지하수위=147,148,1
(그림 3-5-52) 서부권역 지하수위변동=147,148,1
(그림 3-5-53) 남부권역 지하수위=149,150,1
(그림 3-5-54) 남부권역 지하수위변동=149,150,1
(그림 3-5-55) 북부권역 지하수위=151,152,1
(그림 3-5-56) 북부권역 지하수위변동=151,152,1
(그림 3-5-57) 이호(D-96)관측공에서 강수에 의한 지하수위의 시간별 변화=153,154,1
(그림 3-5-58) 월라봉(F-1)관측공에서 강수에 의한 지하수위의 시간별 변화=153,154,1
(그림 3-5-59) 서귀포항의 해수위와 하천(관측공)에서의 수두변화=155,156,1
(그림 3-5-60) 한림항에서의 해수위와 금릉(D-65)에서의 수두변화=156,157,1
(그림 3-5-61) 제주항에서의 해수위와 수산1(광역)에서의 수두변화=157,158,1
(그림 3-6-1) 해안지역 대수층에 분포하는 화산대에서의 담수와 염수의 순환=159,160,1
(그림 3-6-2) 수질검사자료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 현황도=161,162,1
(그림 3-6-3) 물리검층 대상공 위치도=162,163,1
(그림 3-6-4) 전기전도도 검층 Profile=163,164,1
(그림 3-6-5) 이용실태자료에 의한 염소이온 과다배출공 위치도=164,165,1
(그림 3-6-6) 심도별 염소이온농도 검출 분포도=166,167,1
(그림 3-7-1) 등우량선도=174,175,1
(그림 4-1-1) 투수성지질구조 분포도=191,192,1
(그림 4-1-2) 해발 200m이하 해안지역의 곶자왈, 스코리아류퇴적층 분포도=200,201,1
(그림 4-2-1) GPS 측위공 위치도=217,218,1
(그림 4-2-2) 미사용관정의 사유별 현황도=227,228,1
(그림 4-2-3) 미허가관정의 연도별 개발공 현황도=229,230,1
(그림 4-2-4) 페공발생 원인별 폐공 현황도=234,235,1
(그림 4-2-5) 제주도내 이용허가된 지하수관정의 개발공수 및 앙수능력 현황도=238,239,1
(그림 4-2-6) 공공관정 위치도=239,240,1
(그림 4-2-7) 사설관정 위치도=240,241,1
(그림 4-2-8) 수역별 지하수 개발현황도=243,244,1
(그림 4-2-9) 제주도내 이용허가된 지하수관정의 연도별, 표고별 분포 현황도=245,246,1
(그림 4-2-10) 제주도내 이용허가된 지하수관정의 연대별, 심도별 분포 현황도=247,248,1
(그림 4-2-11) 제주도내 이용허가된 지하수관정의 용도별 개발현황도=248,249,1
(그림 4-2-12) 담지하수관정 용도별 개발 위치도=249,250,1
(그림 4-2-13) 수역별 용도별 양수능력 현황도=250,251,1
(그림 4-2-14) 생활용수관정 지하수개발 현황도=251,252,1
(그림 4-2-15) 생활용수 세부용도별 개발공 현황도=253,254,1
(그림 4-2-16) 생활용수 일반용관정의 이용목적별 개발현황도=254,255,1
(그림 4-2-17) 농수축산용수 관정의 세부용도별 개발현황도=255,256,1
(그림 4-2-18) 농업용수 이용랑모니터링 조사공 위치도=261,262,1
(그림 4-2-19) 모니터링조사 결과로 검증한 실이용량과 계산이용량의 상관관계=262,263,1
(그림 4-2-20) 제주도내 이용허가된 지하수관정의 지역별 이용량 현황도=267,268,1
(그림 4-2-21) 수역별 용도별 이용량 현황도=270,271,1
(그림 4-2-22) 제주도내 이용허가된 지하수관정의 용도별 이용량 현황도=271,272,1
(그림 4-2-23) 제주도내 이용허가된 지하수관정의 세부용도별 이용량 현황도=272,273,1
(그림 4-2-24) 생활용수 일반용관정의 이용목적별 이용량 현황도=274,275,1
(그림 4-2-25) 모니터링조사결과 농업용수 월별이용량 변화=274,275,1
(그림 4-2-26) 전기사용량으로 산정한 농업용수 월별사용량 변화=275,276,1
(그림 4-2-27) 농수축산용수 지하수관정의 세부용도별 이용량 현황도=276,277,1
(그림 4-2-28) 공업용수 지하수관정의 이용목적별 이용량 현황도=277,278,1
(그림 4-2-29) 제주도내 이용허가된 염지하수관정의 지역별 현황도=280,281,1
(그림 4-2-30) 제주도내 이용허가된 염지하수관정의 표고별 분포현황도=281,282,1
(그림 4-2-31) 제주도내 이용허가된 염지하수관정의 연대별 분포현황도=282,283,1
(그림 4-3-1) 잠재오염원 분포도=292,293,1
(그림 4-3-2) 쓰레기매립장=304,305,1
(그림 4-3-3) 골프장=308,309,1
(그림 4-3-4) BOD오염부하량도(단위면적당 BOD원단위 오염부하량)=325,326,1
(그림 4-3-5) T-N오염부하량도(단위면적당 T-N원단위 오염부하량)=326,327,1
(그림 4-4-1) 수질조사 대상관정 위치도=338,339,1
(그림 4-4-2) 주요성분 분석시료 채취지점=342,343,1
(그림 4-4-3) 서귀포층의 분포를 고려한 지역구분=343,344,1
(그림 4-4-4) Piper diagram=344,345,1
(그림 4-4-5) Piper diagram에 의한 수질유형의 분류=344,345,1
(그림 4-4-6) 동부지역 지하수의 Piper diagram (1차조사)=359,360,1
(그림 4-4-7) 서부지역 지하수의 Piper diagram(1차조사)=359,360,1
(그림 4-4-8) 남부지역 지하수의 Piper diagram(1차조사)=360,361,1
(그림 4-4-9) 북부지역 지하수의 Piper diagram(1차조사)=360,361,1
(그림 4-4-10) 동부지역 지하수의 Piper diagram(2차조사)=362,363,1
(그림 4-4-11) 서부지역 지하수의 Piper diagram(2차조사)=362,363,1
(그림 4-4-12) 남부지역 지하수의 Piper diagram(2차조사)=363,364,1
(그림 4-4-13) 북부지역 지하수의 Piper diagram(2차조사)=363,364,1
(그림 4-4-14) 표고 50m이하 지역의 지하수 Piper diagram(1차조사)=365,366,1
(그림 4-4-15) 표고 50m이하 지역의 지하수 Piper diagram(2차조사)=366,367,1
(그림 4-4-16) 표고 50.01~100m이하 지역의 지하수 Piper diagram(1차조사)=366,367,1
(그림 4-4-17) 표고 50.01~100m이하 지역의 지하수 Piper diagram(2차조사)=367,368,1
(그림 4-4-18) 표고 100.01m이상 지역의 지하수 Piper diagram(1차조사)=367,368,1
(그림 4-4-19) 표고 100.01m이상 지역의 지하수 Piper diagram(2차조사)=368,369,1
(그림 4-4-20) 질산성질소, 염소이온, 황산이온의 빈도분포도=383,384,1
(그림 4-4-21) 질산성질소 농도 분포도=386,387,1
(그림 4-4-22) 염소이온농도 분포도=387,388,1
(그림 4-4-23) 지하수질의 시간적 변화 경향=392,393,1
(그림 4-4-24) 지하수의 월별 질산성질소의 농도 변화=394,395,1
(그림 4-4-25) 수질점사공의 성분농도와 해안선과의 거리 관계=397,398,1
(그림 4-4-26) 수질검사공의 성분농도와 자연수위와의 관계=398,399,1
(그림 5-3-1) 프로그램 구성도=414,415,1
(그림 5-3-2) 지형도 선택 및 주제도 선택=414,415,1
(그림 5-3-3) 위치선택=415,416,1
(그림 5-3-4) 지명으로 위치 탐색=416,417,1
(그림 5-3-5) 지질단면도 분석기능=417,418,1
(그림 5-3-6) 수질분석 그래프 작성 기능=418,419,1
(그림 5-3-7) 잠재오염원 자료의 자료조회 및 편집기능=419,420,1
(그림 5-3-8) 지하수 관정의 공간위치 및 속성자료 추가=420,421,1
(그림 5-3-9) 자료 출력 기능(Window NT)=421,422,1
(그림 6-4-1) 지하수 보전구역 설정, 운영, 관리 업무흐름도=464,465,1
(그림 6-4-2) 토양요소 지하수보전등급도(제1안)=478,479,1
(그림 6-4-3) 토양요소 지하수보전등급도(제2안)=478,479,1
(그림 6-4-4) 토양요소 지하수보전등급도(제3안)=479,480,1
(그림 6-4-5) 투수성 지질구조요소 지하수보전등급도=479,480,1
(그림 6-4-6) 지하수자원보전등급도(제1안)=484,485,1
(그림 6-4-7) 지하수자원보전등급도(제2안)=487,488,1
(그림 6-4-8) 지하수자원보전등급도(제3안)=489,490,1
(그링 6-4-9) 지하수개발ㆍ이용량이 일정수준 이상인 지역(제1안)=498,499,1
(그림 6-4-10) 지하수개발ㆍ이용량이 일정수준 이상인 지역(제2안)=499,500,1
(그림 6-4-ll) 지하수개발ㆍ이용량이 일정수준 이상인 지역(제3안)=501,502,1
(그림 6-4-12) 염소이온이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 우려지역=504,505,1
(그림 6-4-13)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지정안)=509,510,1
jpg
(그림 2-1-2) 토양 분포도=23,24,1
(그림 2-1-3) 토색유형 분포도=25,26,1
(그림 2-1-4) 토앙의 오염위험지수 분포도=29,30,1
(그림 2-1-5) 토양의 돌출농도 분포도=32,33,1
(그림 2-2-1) 토지이용현황도=34,35,1
(그림 2-2-2) 국토이용 계획도=39,40,1
(그림 2-2-3) 보전지역 분포도=42,43,1
(그림 2-2-4) 초지조성지구, 농업진흥지역 및 농공단지=47,48,1
(그림 2-2-5) 공원, 상수원보호구역 및 문화재보호구역=51,52,1
(그림 2-2-6) 관광단지ㆍ지구 및 온천지구 분포=54,55,1
(그링 3-2-1) 지질도(1:10만, 농업진흥공사, 1971)=66,67,1
(그림 3-5-42) '98년 12월과 '99년 7월의 수위비교=134,135,1
(그림 3-5-43) 동부지역의 장기간의 수위변화=137,138,1
(그림 3-5-44) 서부지역의 장기간의 수위변화=138,139,1
(그림 3-5-45) 남부지역의 장기간의 수위변화=139,140,1
(그림 3-5-46) 북부지역의 장기간의 수위변화=140,141,1
(그림 3-5-49) 동부권역 지하수위=145,146,1
(그림 3-5-50) 동부권역 지하수위변동=145,146,1
(그림 3-5-51) 서부권역 지하수위=147,148,1
(그림 3-5-52) 서부권역 지하수위변동=147,148,1
(그림 3-5-53) 남부권역 지하수위=149,150,1
(그림 3-5-54) 남부권역 지하수위변동=149,150,1
(그림 3-5-55) 북부권역 지하수위=151,152,1
(그림 3-5-56) 북부권역 지하수위변동=151,152,1
(그림 3-6-6) 심도별 염소이온농도 검출 분포도=166,167,1
(그림 4-1-1) 투수성지질구조 분포도=191,192,1
(그림 4-1-2) 해발 200m이하 해안지역의 곶자왈, 스코리아류퇴적층 분포도=200,201,1
(그림 4-2-8) 수역별 지하수 개발현황도=243,244,1
(그림 4-2-12) 담지하수관정 용도별 개발 위치도=249,250,1
(그림 4-2-13) 수역별 용도별 양수능력 현황도=250,251,1
(그림 4-2-21) 수역별 용도별 이용량 현황도=270,271,1
(그림 4-3-1) 잠재오염원 분포도=292,293,1
(그림 4-3-2) 쓰레기매립장=304,305,1
(그림 4-3-3) 골프장=308,309,1
(그림 4-3-4) BOD오염부하량도(단위면적당 BOD원단위 오염부하량)=325,326,1
(그림 4-3-5) T-N오염부하량도(단위면적당 T-N원단위 오염부하량)=326,327,1
(그림 4-4-21) 질산성질소 농도 분포도=386,387,1
(그림 4-4-22) 염소이온농도 분포도=387,388,1
(그림 6-4-2) 토양요소 지하수보전등급도(제1안)=478,479,1
(그림 6-4-3) 토양요소 지하수보전등급도(제2안)=478,479,1
(그림 6-4-4) 토양요소 지하수보전등급도(제3안)=479,480,1
(그림 6-4-5) 투수성 지질구조요소 지하수보전등급도=479,480,1
(그림 6-4-6) 지하수자원보전등급도(제1안)=484,485,1
(그림 6-4-7) 지하수자원보전등급도(제2안)=487,488,1
(그림 6-4-8) 지하수자원보전등급도(제3안)=489,490,1
(그링 6-4-9) 지하수개발ㆍ이용량이 일정수준 이상인 지역(제1안)=498,499,1
(그림 6-4-10) 지하수개발ㆍ이용량이 일정수준 이상인 지역(제2안)=499,500,1
(그림 6-4-ll) 지하수개발ㆍ이용량이 일정수준 이상인 지역 (제3안)=501,502,1
(그림 6-4-12) 염소이온이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 우려지역=504,505,1
(그림 6-4-13)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지정안)=509,510,1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2
과업참여자=3,4,2
목차=5,6,2
I. 과업개요=7,8,1
1. 배경 및 목적=7,8,1
2. 과업범위=7,8,2
3. 과업수행기간=8,9,1
4. 과업시행과정=8,9,1
5. 주요 과업내용=9,10,2
II. 자연 및 인문환경=11,12,1
1. 자연환경=11,12,3
2. 인문환경=13,14,3
III. 제주도 지하수의 부존 및 산출특성=16,17,1
1. 수문지질=16,17,2
2. 지하수 부존형태=17,18,3
3. 대수층의 수리특성=19,20,2
4. 지하수위 분포 및 변동=20,21,7
5. 담ㆍ염수경계면 분포=26,27,3
6. 물수지 분석=29,30,2
IV. 지하수 기초조사=31,32,1
1. 투수성지질구조 조사=31,32,3
2. 지하수개발ㆍ이용실태 조사=34,35,10
3. 잠재오염원 조사=44,45,4
4. 지하수 수질조사=48,49,8
V. 지하수 정보관리시스템 구축=56,57,3
VI. 지하수 보전 및 관리방안=59,60,1
1. 현행 지하수관리의 성과 및 개선과제=59,60,4
2. 21세기를 대비한 지하수관리 기본방향=62,63,2
3. 지하수 보전 및 관리방안=63,64,5
4. 지하수 함양지역과 장애발생 우려지역의 관리=67,68,10
jpg
지하수위 등고선도=21,22,1
동부지역의 장기간의 수위변화(지하수위 일제조사)=24,25,1
서부지역의 장기간의 수위변화(지하수위 일제조사)=25,26,1
심도별 염소이온 농도 검출 분포도=28,29,1
투수성지질구조 분포도=33,34,1
지하수관정 위치도=37,38,1
수역별 용도별 양수능력 현황도(천m³/일)=43,44,1
잠재오염원 분포도=47,48,1
질산성질소농도 분포도=55,56,1
지하수자원 보전등급도(지정안)=71,72,1
지하수자원 특별관리구역(지정안)=76,77,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0837924 | 628.114095198 ㅈ361ㅈ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0837925 | 628.114095198 ㅈ361ㅈ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0837926 | 628.114095198 ㅈ361ㅈ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0837927 | 628.114095198 ㅈ361ㅈ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0837928 | 628.114095198 ㅈ361ㅈ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0837929 | 628.114095198 ㅈ361ㅈ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