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머리말 / 김인수
요약
2002년도 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 용역과제 목록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7
II. 21세기 인문학 '위기'의 성격 규정 19
III. 새로운 인문학 상황에 대한 분야별 대응 22
1. 새로운 인문학 상황에 대한 학문적 대응 22
2. 새로운 인문학 상황에 대한 교육적 대응 26
3. 새로운 인문학 상황에 대한 사회적 활용 27
3-1. 기존의 사이버 공간 활용실태 28
3-2. 사이버 공간 인문콘텐츠 수준향상 방안 30
3-3. 인문학 전공자의 취업난 31
3-4. 새로운 직종의 개발 33
IV. 중·단기적으로 시행가능한 대표적 정책과제 35
1. 연구 분야 35
2. 교육 분야 38
3. 사회적 활용 분야 39
V. 결론 43
VI. Abstract 46
VII. 부록 49
01. 인문학 활성화를 위한 번역 정책 연구 49
1. 번역전문가 집단 양성: 국학 분야를 중심으로 49
2. 대학의 번역 평가 제도 49
3. 각종 번역지원사업에 대한 검토와 개선안 마련 49
02. 인문학 연구업적 연구자 데이터베이스 종합구축 방안 연구 52
1. 연구의 중요성 및 목적 52
2. 연구의 내용, 방법 및 범위 52
3. 주요 연구 결과 53
03. 인문학 활성화를 위한 학술정책 연구 -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 57
1. 인문학 연구의 활성화 방안 57
2. 인문학 활성화를 위한 고등교육 정책 59
3. 인문학의 실용성 강화를 위한 정책적 제안 60
04. 공공정책 과정에 대한 인문학의 기여에 관한연구 - 효율성과 인간성의 조화를 중심으로 61
05. 인문학 진흥을 위한 재정협력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64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64
2. 연구의 내용 64
06. 인문학 자료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68
1. 인문학 통합정보센터의 필요성 68
2. 정보의 분류를 통해 본 인문학의 상황 69
3. 인문학통합정보센터의 조직과 운영 및 기대효과 69
4. 인문학통합정보센터의 사업내용 70
07. 한국 인문정책의 변동과정 및 정책과제 71
1. 문제의식과 기초적 고찰 71
2. 한국 고등교육정책의 변화와 인문학 지원정책의 현황 72
2. 한국의 인문학 연구지원정책 72
3. 한국 인문학 육성을 위한 구체적 정책과제 도출 73
08. 지식정보관련 법령분석과 인문학 진흥을 위한 정책제안 연구 75
1. 연구 대상과 목적 그리고 방법론 75
2.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지식정보자원관리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76
3. 인문학적 정책제안 76
09. 의학과 한의학분야에서의 인문학의 역할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77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78
2. 연구의 이론적 구성 79
3. 의학과 한의학에서 인문학 진흥을 위한 정책적 제언 79
10. 해외한국학과 연계를 통한 국내인문학 진흥방안 연구 80
11. 영상문화사대에 따른 인문학적 대응전략으로서의 이미지연구 82
1. 이미지연구를 중심으로 한 미디어학 전공설립 82
2. 미디어문화 창작, 수용, 연구의 중심 구축 84
12. 생명과학시대 인문학적 사유의 위기와 대응 방안 연구 86
1. 정책 제안의 방향 86
2. 국가 수준의 정책 제안 87
3. 생명윤리 연구·교육 정책제안 88
13. 다문화주의 세계에서 제2외국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대안 연구 89
1. 중학교 제2외국어 교육정책 89
2. 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정책 90
3. 대학에서의 제2외국어 교육정책 90
4. 대학원 입학시험 및 논문제출 자격시험 개선 방안 91
5. 사회인을 위한 제2외국어 정책 91
14. 인문학의 진흥책으로서 교양학부제의 확대개편을 통한 문화 학부제의 도입 연구 92
15. 초, 중등, 대학에서의 인문교육 활성화방안 연구 - 논리적사고력 평가모형개발 - 94
16. 대학에서의 외국어문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97
1. 교육과정 97
2. 교육 환경 : 인원 구성 100
3. 교육 방법 100
4. 취업 관련 프로그램 100
17.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인문학 교육 개발과 고용창출방안 연구 101
1.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인문학의 방향 101
2. 인문학 교육개발과 고용창출을 위한 정책 제안 102
18. 의과대학에서의 인문, 사회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104
1. 의학교육에 있어서 인문사회 교육 104
2. 국내외 의과대학에서의 인문사회교육 현황 105
3. 의과대학에서의 인문사회교육 활성화 방안 106
19. 문화콘텐츠학 교과과정 개발연구 - 영상인류학을 중심으로 109
20. 관련학과 부재 학부제 대학에서의 인문학 분야의 학사조직 모형연구 111
1. 인문학 교육의 필요성 112
2. 인문학 발전의 저항 요인 분석 113
3. 인문학 발전 방안 113
21. 인문학도 사회진출확대의 한 모델 - 문화콘텐츠 개발전문가 양성프로그램 - 114
22. 인문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사회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116
23. 인문학적 소양함양을 위한 사회교육 활성화방안 연구 118
1. 한국 윤리문제 연구원 설립의 배경과 목적 119
2. 한국 윤리문제 연구원 설립을 위한 연구 및 결과 120
24. 문학콘텐츠 실태조사 및 수준향상방안 연구 121
25. 인문학관련 영상자료 실태조사 및 인문학 영상아카이브 구축방안 연구 124
1. 대상범위 124
2. 필요성과 효용 124
26. 인문학관련 NGO의 활성화 방안연구 129
1. 회원확보 방안 130
2. 행·재정 지원 130
3. 운영방식의 개선 131
4. 정부정책에의 참여 131
5. 대학의 정책결정과정에의 참여 132
6. 인문학 NGO에의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132
27. 문화콘텐츠 기획을 위한 인문학의 활용방안 연구 132
1. 연구 목적 133
2. 연구범위 133
3. 문화콘텐츠기획을 위한 인문학의 활용방안-정책적 제언을 관리적 접근 133
28. 인문학 전공자를 위한 창업교육센터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정책연구 140
1. 연구 목적 140
2. 정책제안 141
29. 한국인의 인문학적 사유과 인적자원개발과의 연계 방안연구 142
30. 생명공학과 정보통신의 발달이 인문학적 사유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연구 146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46
2. 정보통신과 생명공학의 발달과 인문학적 사고 146
3. 생명공학과 정보통신의발달에 따른 인문학적 사유의 활성화 방안 147
31. 민간기업의 인문학전공자 고용증대방안 연구 - 관광사업체를 중심으로 - 150
1. 연구의 요약 150
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151
32. 언어와 문학을 통해 본 한국인의 인문학적 사유와 인적자원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154
33. 문화재 해설사 양성방안 연구 157
1. 관광환경의 변화와 대응 158
2. 문화재해설사의 양성 필요 158
3. 문화유산 해설사 양성교육 성과 큰 호응 158
4. 양성방향 158
5. 관광진흥확대 159
6. 등급구분 159
7. 관광문화의 질적 향상 159
8. 관광선진국 도약 160
34. 역사콘테츠 실태와 개발방안에 대한 실무적 연구 160
1. 대학 교원의 사이버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업적평가 시행 160
2. 교과서 편찬자·출판사에 대한 콘텐츠 구축 의무화 162
3. 「한국 역사·문화 용어 영어사전」의 편찬·간행 163
35. 공공기간 학예연구직 인력채용의 발전방안 연구 163
1. 정책방향 164
2. 정책제안 164
36. 인문학의 산합협동 - 음성정보기술(SIT)을 매개로 한 인문학의 진흥 및 실용성 증대를 위한 정책 대안 - 169
37. 행정기관의 인문학전공자 충원방안 연구 171
38. 인문학연구자를 위한 병역특례제도 적용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175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75
2. 연구의 내용 175
3. 병역제도와 전문연구요원제도 176
4. 인문학종사자의 혜택증진을 위한 병역법상의개선방안과 추진전략 176
39. 사이버공간 인문교육 콘텐츠 실태조사 및 수준향상방안 연구 178
1. 인문 교육콘텐츠의 디지털화 현황 178
2. 사이버 교육콘텐츠 질 평가 179
3. 사이버공간 인문 교육콘텐츠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 방안 181
40. 사이버공간 인문콘텐츠 실태조사 및 수준향상방안 연구 184
1. 연구목적 184
2. 연구 내용 및 방법 184
3. 사이버공간 인문콘텐츠의 실태 185
4. 사이버공간 인문콘텐츠의 수준 향상 방안 185
41.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학제간 프로그램과 관련된 직업군 조사 및 개발 연구 187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87
2. 연구 내용 187
3. 구체적 정책 제안 내용(요약) 188
42. 한, 중 전통문화관련 인문콘텐츠 실태비교 및 수준향상방안 연구 191
43. 역사민속관련 NGO의 활성화 및 활용방안 196
1. 연구 목적 196
2. 연구 방법 197
3. 예상효과 및 활용방안 198
44. 인문학관련 새로운 직종개발 연구 199
1. 문화관광부문에 대한 인문학적 정책제안 199
2. 문화관광부문의 가능 직종개발 202
45. 공공기관의 인문학전공 인력채용에 관한 연구 206
46. 인문학관련 새로운 직종개발 연구 210
47. 철학콘테츠 실태조사 및 수준향상 방안 연구 21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0976714 | 001.3 ㄱ759ㅇ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EM0000043192 | 001.3 ㄱ759ㅇ | 전자자료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