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3

머리말=ⅰ,4,3

목차=1,7,10

도목차=11,17,3

표목차=14,20,3

서론=17,23,6

제I장 국토정보데이타뱅크의구성=23,29,3

제1절 국토정보 데이타 뱅크화의 의의=25,31,1

1. 국토정보 및 데이타 뱅크의 정의=25,31,1

2. 국토정보 데이타 뱅크화의 의의=26,32,1

가. 광의의 의의=26,32,1

나. 협의의 의의=26,32,1

3. 국토정보의 일반적 형태=26,32,2

4. 국토정보 데이타뱅크 시스템=27,33,2

5. 국토정보 데이타의 입력 및 출력의 상호관련 시스템=29,35,1

6. 국토정보시스템 개념도=29,35,1

7. 국토정보 관리체계 개발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29,35,6

제2절 국토정보 데이타 뱅크의 구성요소=35,41,1

1. 자료축적 부문의 구성요소=35,41,2

가. 분야별 구성요소=36,42,2

나. 자료의 형태별 구성요소=37,43,8

다. 자료의 유지관리부문=44,50,3

2. 자료활용부문의 구성요소=46,52,1

가. 자료검색부문=46,52,2

나. 자료의 응용=47,53,6

제II장 국토정보자료에대한고찰=53,59,3

제1절 국토정보 수요조사=55,61,2

제2절 국토정보 공급원조사=56,62,1

1. 타 기관의 데이타 뱅크에 보관=56,62,2

2. 타 기관의 테이프에 보관=57,63,1

3. 중앙정부 지정기관의 통계자료=57,63,1

4. 지방정부의 통계자료=57,63,1

5. 기본통계자료=57,63,1

6. 미조사=58,64,1

제3절 지형정보 조사=58,64,1

1. 국토기본도=58,64,1

2. 토지이용도=58,64,2

3. 지질도=59,65,1

4. 지적도=60,66,1

5. 토양도=61,67,1

6. 도로망도=61,67,1

7. 인구분포도=61,67,1

제4절 기존 데이타 뱅크 활용 가능성 조사=62,68,37

제III장 국토정보코드체계의설계=99,105,3

제1절 국토정보 Code 체계의 의의=101,107,1

제2절 국토정보 Code 체계 현황=102,108,1

1. 한국표준행정구역 분류=102,108,1

2. 한국표준산업분류=102,108,1

가. 분류원칙=102,108,2

나. 분류체계=103,109,2

3. 한국표준직업분류=104,110,1

가. 분류원칙=104,110,1

나. 분류체계=104,110,2

4. 우편번호분류=105,111,1

제3절 Code 체계의 설계=106,112,1

1. Code 설계의 목적=106,112,1

2. Code 설계의 순서와 주의점=106,112,1

가. Code 설계의 순서=106,112,1

나. Code 설계시 주의사항=107,113,1

3. Code의 종류=107,113,1

가. 순서코드(Sequence Code)=107,113,1

나. 구분코드(Block Code)=107,113,2

다. 그룹 분류코드(Group Classification Code)=108,114,1

라. 표의코드(Significant Digit Code)=108,114,1

마. 10진코드(Decimal Code)=108,114,1

바. 기호코드(Mnemonic Code)=108,114,1

사. 약자식코드(Letter Type Code)=108,114,1

아. 특정자리수 이용코드(Final Digit Code)=109,115,1

자. 숫자식 문자코드(Numerical Alphabetic Code)=109,115,1

차. 문자코드(Alphabetic Code)=109,115,1

카. 함수식코드(Function Table Look-up Code)=109,115,2

4. 코드책(Code Book)의 작성=111,117,1

5. 코드의 관리와 표준화=111,117,1

가. 코드의 관리방법=111,117,2

나. 코드의 표준화=112,118,3

제4절 국토정보 Code 체계의 설계방향=115,121,1

1. Geo-Coding System의 의의=115,121,2

2. Geo-Coding System의 추진방향=116,122,1

가. 공간특성의 표현방식=116,122,2

나. 메쉬(Mesh)와 폴리곤(Polygon)=117,123,2

3. 한국의 표준 Mesh의 설정=118,124,1

가. 표준 Mesh 설정의 필요성=118,124,2

나. Grid System의 이용=119,125,2

다. 경위도에 의한 표준 Mesh의 설정=120,126,2

4. Mesh Data의 구성요소=122,128,1

가. Mesh Data의 구성요소=122,128,1

나. Mesh Data의 종류=122,128,1

5. Mesh Data 작성상의 문제점=122,128,1

제IV장 국토정보관리체계의설계=123,129,3

제1절 국토정보체계의 필요성=125,131,1

1. 정보시스템의 정의=125,131,1

2. 정보시스템의 구성=125,131,1

가.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125,131,2

나. DBA(Data Base Administrator)=127,133,1

다. 이용자(User)=127,133,1

라. 데이타 언어(Data Language)=128,134,1

마. 데이타 모델(Data Model)=128,134,1

3. 정보시스템의 효과=128,134,1

가. 데이터의 독립성(Independance)=128,134,1

나. 데이터의 중복(Redundancy)=129,135,1

다. 데이터의 보안성 유지(Security Protection)=129,135,1

제2절 정보체계의 개발=129,135,1

1. 정보체계의 개발방향=129,135,1

가. 정보체계개발의 기본과제=129,135,2

나. 정보체계의 개발단계=130,136,1

2. 정보체계의 개발전략=131,137,1

가. 상향식 접근(Bottom-up Approach, Adaptive Approach)=131,137,1

나. 하향식 접근(Top-Dowm Approach)=131,137,2

3. 정보체계의 구성형태=132,138,1

가. 계층적 접근(Hierarchical Apporoach)=132,138,3

나. 체제적 접근(Systems Approach)=134,140,2

4. 정보체계설계시 고려사항=135,141,1

가. 사용자와 의사결정의 수준(User and Level of Decision-Making)=135,141,2

나. 편익과 비용(Benefit and Cost)=136,142,2

다. 자료의 종류=137,143,2

라. 자료의 정보원(Sources)=138,144,2

5. 정보체제의 평가=139,145,1

가. 정보의 가치=139,145,1

나. 정보의 요건=139,145,1

다. 정보체제의 평가기준=140,146,2

라. 정보체제의 효과=141,147,1

마. 정보체계의 비용=141,147,2

바. 시스템의 유효도=142,148,3

사. 정보체제의 비용효과 분석=144,150,5

제3절 데이타 베이스의 설계(S-2000을 이용한)=148,154,2

1. System-2000의 개요=149,155,1

가. System-2000의 기능=149,155,3

나. System-2000의 특성=151,157,4

2. System-2000 데이타 베이스의 논리적 구성=154,160,1

가. 데이타 트리(Data Tree)=154,160,1

나. Schema=154,160,3

다. Tree의 구조=157,163,3

3. DDL(Data Definition Language)의 기능=160,166,1

가. Component Number=160,166,1

나. Component Name=160,166,1

다. Component Description=160,166,3

4. Sample 데이타 베이스의 정의(Definition)=162,168,1

가. 데이타 베이스 Schema의 설계=162,168,1

나. Data base의 정의[원문불량;p.167~170]=162,168,9

제4절 데이타의 Access(S-2000을 이용한)=171,177,1

1. 데이타 베이스 보안성 유지=171,177,1

가. USER PASSWORD 명령문=171,177,1

나. VALID PASSWORD 명령문=171,177,1

다. INVALID PASSWORD 명령문=171,177,1

라. ASSIGN Authority 명령문=171,177,2

마. CHANGE PASSWORD 명령문=172,178,1

2. 데이타 Access=172,178,1

가. 데이타 Qualification과 Selection=172,178,5

나. 데이타 검색(Retrieval)=176,182,9

다. 데이타 갱신(Update)=184,190,5

제V장 데이타 베이스 활용에 따른 컴퓨터시스템도입방안연구=189,195,3

제1절 컴퓨터 시스템 선정시 고려사항 및 절차=191,197,1

1. 컴퓨터시스템 선정시 고려사항=191,197,1

가. 업무처리체제=191,197,2

나.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건=192,198,2

다. 시스템 확장성=193,199,1

라. 기술적 지원 및 구입방법=193,199,1

2. 컴퓨터시스템 선정절차=194,200,1

가. 필요요건의 분석=194,200,1

나. 제안요청서 작성 및 분배=194,200,2

다. 제안서의 유효성 확인=195,201,2

라. 적격 제안서 선정=196,202,1

마. 기종선정=196,202,1

제2절 DBMS 선정시 고려사항 및 평가기준=197,203,1

1. DBMS 선정 고려사항=197,203,1

가. 사용자의 필요요건=197,203,3

나. 대안들의 평가=199,205,5

다. DBMS 도입시의 득실=203,209,2

2. DBMS 선정평가기준=204,210,1

가. DBMS 평가시 고려사항=204,210,1

나. 평가기준=204,210,3

다. 평가방법=206,212,4

제3절 제안요청서(REF) 작성기법=209,215,1

1. 소개=209,215,1

가. PRF의 목적=210,216,1

나. 배경설명=210,216,1

2. 시스템 명세=210,216,1

가. 전체 시스템의 일반요건=210,216,1

나. 하드웨어의 일반요건=210,216,2

다. 하드웨어의 필수요건=211,217,1

라. 하드웨어의 희망요건=211,217,2

마. 소프트웨어의 일반요건=212,218,1

바. 소프트웨어의 필수요건=212,218,2

사. 소프트웨어의 희망요건=213,219,1

3. 제안서 평가=213,219,1

가. 제안서의 사용방법=213,219,2

나. 평가기준=214,220,2

다. 하드웨어 설문=215,221,5

라. 소프트웨어 설문=219,225,3

4. 업자의 제안서 작성지침=221,227,4

5. 계약사항=225,231,1

제4절 컴퓨터 시스템에 평가선정방법=225,231,1

1. 점수전환평가=225,231,2

2. 금액전환평가=226,232,4

제5절 주요 DBMS 고찰=229,235,1

1. SQL/DS=229,235,4

2. ORACLE=233,239,3

3. SYSTEM 2000=236,242,2

4. IMS(Information Management System)=238,244,3

5. TOTAL=241,247,4

6. ADABAS(Adaptable Data Base System)=245,251,2

제VI장 안양시를 표본으로 한 데이타 베이스 고찰=247,253,3

제1절 연구의 방법=249,255,1

1. 표본지역의 선정=249,255,1

2. 연구의 범위=250,256,1

3. 접근방법=251,257,1

제2절 자료현황 및 수집=252,258,1

1. 자료현황=252,258,1

2. 자료수집=252,258,2

3. 문제점 및 건의=253,259,14

제3절 데이타 베이스 개발=267,273,1

1. 데이타 베이스 형성=267,273,1

가. Digitizing에 의한 데이타 베이스형성[원문불량;p.269~271]=267,273,5

나. DISPLAY용 정보검색 프로그램[원문불량;p.274~279]=272,278,9

2. DATA BASE 개발=281,287,7

제4절 토지이용의 전산지도화=288,294,1

1. 토지이용 분류=288,294,1

가. 선진국의 연구동향=288,294,8

나. 한국의 토지이용 분류=296,302,2

다. 분류의 표준화(STANDARDIZATION OF CLASSIFICATION)=298,304,2

2. 현지조사=300,306,1

가. 조사목적=300,306,1

나. 조사구역=300,306,1

다. 조사기준 및 조사기간=300,306,1

라. 조사방법=300,306,2

마. 조사내용 및 조사 FORM=301,307,1

바. 집계 및 처리=302,308,1

3. 전산 지도화=302,308,1

가. 지도화의 필요성=302,308,1

나. GRAPHIC SYSTEM의 일반적 개요=303,309,6

다. 토지이용 도면제작 시스템[원문불량;p.338~339]=308,314,32

라. 기대되는 효과[원문불량;p.345~358]=340,346,3

부록=343,349,16

참고문헌=359,365,3

연구진=362,368,1

판권지=363,369,1

그림목차

(도I-1) 시계열적 공간적 자료(Time Series & Space Data)=27,33,1

(도I-2) 국토정보 개념도=28,34,1

(도I-3) 입력 및 출력자료의 상호관계(Input and output Relations of System)=31,37,1

(도I-4) 국토정보 시스템 개념도(SYSTEM CONCEPT FLOW CHART)=32,38,1

(도I-5) 컴퓨터 시스템 구성(Configuration of Computer System)=33,39,1

(도II-1) 지적도 이용상황=60,66,1

(도III-1) 1/200,000 Mesh Cord=121,127,1

(도IV-1) Computer를 이용한 정보시스템의 구성=126,132,1

(도IV-2) 데이타 베이스 완성절차=130,136,1

(도IV-3) 국토정보유통도=134,140,1

(도IV-4) 컴퓨터규모와 비용=145,151,1

(도IV-5) 단위처리량당 비용의 체감=145,151,1

(도IV-6) S-2000의 소프트웨어 기능(Software Facilities-Detail View)=151,157,1

(도IV-7) S-2000 데이타 베이스 테이블(SYSTEM 2000 Data Base Tables)=153,159,1

(도IV-8) 데이타 트리(Data Tree)=156,162,1

(도IV-9) 스키마(Schema)=156,162,1

(도IV-10) Schema와 데이타 트리의 관계(Hierarchical Relationships in Schema and Data Trees)=158,164,1

(도IV-11) Family와 Path(Family and Path)=159,165,1

(도IV-12) 부트리(Subtrees)=159,165,1

(도IV-13) 데이타 베이스 Schema:LAND USE=163,169,1

(도IV-14) 데이타 베이스 Schema:FACILITY=164,170,1

(도IV-15) 데이타 베이스 Schema:POPULATION=165,171,1

(도IV-16) 논리적 데이타 셀의 순서=175,181,1

(도V-1) SQL/DS 데이타 베이스의 표본 구성도=231,237,1

(도VI-1) 안양시의 도시성격과 특징도=249,255,1

(도VI-2) 안양시 DB 고찰을 위한 FLOW CHART=251,257,1

(도VI-3) DIGITIZING DATA BASE 형성과정도=267,273,1

(도VI-4) TWO MODE FLOW CHART=268,274,1

(도VI-5) GMAX FLOW CHART=270,276,1

(도VI-6) GSORT FLOW CHART 및 PROGRAM=271,277,1

(도VI-7) GENERAL FLOW=273,279,1

(도VI-8) SUBROUTINE GMAXI FLOW CHART=276,282,1

(도VI-9) SUBROUTINE CHARAC FLOW CHART=277,283,1

(도VI-10) SUBROUTINE POOLIN FLOW CHART=279,285,1

(도VI-11) Data Base실행 결과물=280,286,1

(도VI-12) LISMATP FLOW CHART=282,288,1

(도VI-13) SYSTEM 구성도=304,310,1

(도VI-14) GRAPHIC SYSTEM의 구성도=306,312,1

(도VI-15) Program MAT File의 흐름도=311,317,2

(도VI-16) 카드 1의 입력 형식=313,319,1

(도VI-17) PROGRAM MAP의 BLOCK DIAGRAM=314,320,1

(도VI-18) 입력된 점과 내삽될 점=315,321,1

(도VI-19) MAP=317,323,2

(도VI-20) SUBROUTINE CALCUL=319,325,1

(도VI-21) SUBROUTINE INTER=320,326,4

(도VI-22) SUBROUTINE SORTY=324,330,1

(도VI-23) SUBROUTINE READATA(CARD)=325,331,2

(도VI-24) SUBROUTINE PATREC(BUF)=327,333,2

(도VI-25) SUBROUTINE SORTREC=329,335,1

(도VI-26) SUBROUTINE PLOTMAP=330,336,2

(도VI-27) SUBROUTINE PLOT(J,N1,N2)=332,338,2

(도VI-28) SUBROUTINE LEGENDP=334,340,1

(도VI-29) PROGRAM LPLOSPP FLOW CHART=336,342,2

(도VI-30) 입력 FORMAT=339,345,1

표목차

(표I-1) 센서스 조사내용=38,44,3

(표I-2) 원격탐측의 응용분야=44,50,1

(표I-3) 현재 축적중인 자료 목록=45,51,2

(표II-1) 국토정보수요조사내용=68,74,31

(표II-2) 국토기본도 수록내용=58,64,1

(표II-3) 토지이용현황도 수록내용=59,65,1

(표II-4) 각 기관의 데이타 뱅크 축적내용=62,68,1

(표II-5) 타기관 데이타 뱅크 활용안 장ㆍ단점 비교=63,69,1

(표II-6) 각 기관의 전산실 자료축적내용=64,70,4

(표III-1) 코드종류 및 특징=109,115,2

(표III-2) 1978년도까지 정비된 국토수치정보=116,122,1

(표III-3) 의사결정수준에 따른 Mesh의 규모=121,127,1

(표IV-1) 계층적 접근방식의 장단점 비교=133,139,1

(표IV-2) 체제적 접근방식의 장단점 비교=135,141,1

(표IV-3) 시스템화 손익법=147,153,1

(표IV-4) 시도별 인구,가구 및 주택현황(POPULATION,HOUSEHOLD & DWELLING)=155,161,1

(표IV-5) 데이터 베이스 정의;(LAND USE,FACILITY,POPULATION)=167,173,4

(표V-1) DBMS의 특성=201,207,1

(표V-2) 필요요건 점수 전환방법을 위한 가중치 배정=207,213,1

(표V-3) 시스템 X,Y의 점수평가예=208,214,1

(표V-4) 평가표=214,220,1

(표V-5) 항목별 평가표=227,233,2

(표V-6) 종합평가표=229,235,1

(표V-7) SQL/DS 프로그램 Products=232,238,1

(표V-8) IBM OS와 OS/VS경우의 가격=237,243,1

(표V-9) IMS 월간 차용비용=240,246,1

(표V-10) TOTAL 설치가능 System=244,250,1

(표V-11) TOTAL SYSTEM의 가격(대형 System의 경우)=244,250,1

(표V-12) TOTAL SYSTEM의 가격(소형 System의 경우)=244,250,1

(표VI-1) 표본 데이타 베이스의 공간적 범위=250,256,1

(표VI-2) 안양시 기초자료현황=254,260,6

(표VI-3) 분야별 자료수집=259,265,8

(표VI-4) TWO MODE PROGRAM=269,275,1

(표VI-5) GMAX PROGRAM=271,277,1

(표VI-6) Program GIRS=274,280,2

(표VI-7) Subroutine GMAXI=276,282,1

(표VI-8) Subroutine CHARAC=278,284,1

(표VI-9) Subroutine POOLIN=279,285,1

(표VI-10) LISMATP PROGRAM=283,289,3

(표VI-11) 용도 CODE=286,292,1

(표VI-12) LISTOD의 DISPLAY FORMAT=287,293,1

(표VI-13) LISGUND의 DISPLAY FORMAT=287,293,1

(표VI-14) 미국의 토지이용분류(2단위)=289,295,2

(표VI-15) 영국의 농업적 토지이용 분류=291,297,1

(표VI-16) 영국의 토지이용 분류=292,298,1

(표VI-17) 독일의 토지분류=293,299,1

(표VI-18) 일본의 토지이용 구분=294,300,2

(표VI-19) 한국 토지이용 동향=296,302,1

(표VI-20) 토지이용 현황도 범례(LAND USE MAP LEGEND)=297,303,1

(표VI-21) 토지이용분류=299,305,1

(표VI-22) 프로그램 MATFILE에서 처리된 총카드수 및 번지수=313,319,1

(표VI-23) 프로그램 Calcom=338,344,2

칼라목차

jpg

(다) COLOR DISPLAY=341,347,1

이용현황보기

國土情報管理體系開發計劃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987404 333.730285 ㄱ428ㄱ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