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추천사 : '2003 e러닝 백서' 발간에 즈음하여 / 윤진식
발간사 : '2003 e러닝 백서' 발간에 부쳐 / 이상희
목차
제1부 e러닝 총론 15
제1장 e러닝 개요 16
제1절 e러닝의 개요 및 발달 배경 16
제2절 e러닝의 제 영역과 관련 산업 25
제2장 e러닝 관련 법제 36
제1절 e러닝 관련 법제의 발달 배경 및 개요 36
제2절 e러닝 관련 법제 운영 현황 및 향후 발전 방안 40
제3장 e러닝 인력 양성 73
제1절 e러닝 인력 양성 개요 73
제2절 e러닝 인력 양성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78
제4장 e러닝 표준화 84
제1절 e러닝 표준화 개요 및 발달 배경 84
제2절 e러닝 표준화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102
제2부 e러닝 산업 121
제1장 e러닝 콘텐츠 산업 122
제1절 e러닝 콘텐츠 개발 개요 및 발달 배경 122
제2절 e러닝 콘텐츠 산업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131
제2장 e러닝 솔루션 산업 137
제1절 e러닝 솔루션 개요 및 발달 배경 137
제2절 e러닝 솔루션 산업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172
제3장 e러닝 운영 서비스 산업 206
제1절 e러닝 운영 서비스 개요 및 발달 배경 206
제2절 e러닝 운영 서비스 산업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212
제4장 e러닝 컨설팅 산업 281
제1절 e러닝 컨설팅 개요 및 발달 배경 281
제2절 e러닝 컨설팅 산업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287
제3부 e러닝 산업의 발전 방향 301
제1장 각 산업별 e러닝의 문제점 및 발전 방향 302
제1절 콘텐츠 산업 302
제2절 솔루션 산업 303
제3절 운영 서비스 산업 305
제4절 컨설팅 산업 306
제2장 e러닝 산업의 비전 309
제1절 국가적 차원 309
제2절 기업적 차원 312
제3절 학교교육적 차원-교육정보화 측면의 e러닝 318
부록 324
부록1. e러닝 관련 학회 및 기관 324
부록2. e러닝 산업체 목록 328
부록3. e러닝 업체 현황 조사 330
부록4. e러닝 백서 통계 지표 산출 338
판권기 342
[그림 1-1-1] 전통적 교육환경의 학습내용 흐름도 16
[그림 1-1-2] e러닝 환경의 학습내용 흐름도 16
[그림 1-1-3] 새로운 교육 모델의 요구 24
[그림 1-1-4] e러닝의 제 영역 및 구성요소 26
[그림 1-1-5] e러닝의 제 영역 및 구성요소에 따른 관련 학문영역 및 기술 분야 33
[그림 1-1-6] e러닝 산업 35
[그림 1-2-1] 인터넷 통신 훈련과정 지정 절차 47
[그림 1-2-2] 지방노동관서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심사 관련 업무 48
[그림 1-4-1] SCORM의 콘텐츠 집단화(Content Aggregation) 86
[그림 1-4-2] RLO 모델 87
[그림 1-4-3] NLO 모델 88
[그림 1-4-4] SCO 88
[그림 1-4-5] ASTD의 LO 88
[그림 1-4-6] 콘텐츠 집단화 모델 89
[그림 1-4-7] 순서화 모델 90
[그림 1-4-8] 순서화 제어 모드(Sequencing Control Modes) 90
[그림 1-4-9] 순서화 제어(오직 앞으로 전진) 90
[그림 1-4-10] 순서화와 규칙-상태와 활동/태도 91
[그림 1-4-11] 롤업 규칙 91
[그림 1-4-12] 학습목표 기술 및 프로세스 정보와의 관계 91
[그림 1-4-13] Sharing Objectives 92
[그림 1-4-14] 선택의 예(임의적인 규칙에 의해 제어) 92
[그림 1-4-15] e러닝 시스템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제반 구조 95
[그림 1-4-16] 학습 환경 변화 95
[그림 1-4-17] 차세대 LMS/LCMS 96
[그림 1-4-18] 기존의 LMS/LCMS 96
[그림 1-4-19] 메타데이터 템플릿 활용 예 97
[그림 1-4-20] TV기반 콘텐츠를 위한 메타데이터 템플릿의 예 97
[그림 1-4-21] 차세대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LCMS) 개념도 98
[그림 1-4-22] e러닝 표준화 기구 102
[그림 1-4-23] SC36 조직도(2002년 10월 현재) 103
[그림 1-4-24] SCORM 모델 105
[그림 2-1-1] e러닝 콘텐츠의 구성 122
[그림 2-1-2] e러닝 콘텐츠 개발 과정 123
[그림 2-1-3] 학습내용 설계 124
[그림 2-1-4] 표준화된 콘텐츠 구조(SCORM) 125
[그림 2-1-5] 프로젝트 중심 학습의 사례화면(학습 커뮤니티를 통한 협력적 프로젝트 수행) 128
[그림 2-1-6] 자기주도적학습의 사례화면(학습지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학습 자원의 탐색) 128
[그림 2-1-7] 문제중심학습의 사례화면(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 130
[그림 2-2-1] 원격대학생들의 학습장소 분포도 185
[그림 2-2-2] 원격대학생들의 학습용 통신망 환경 185
[그림 2-2-3] 원격대학생들의 학습용 컴퓨터 기종 조사 185
[그림 2-2-4] 원격대학생들의 플랫폼기능에 대한 작동설문 185
[그림 2-2-5] 학사과정 대학의 LMS, LCMS 운영현황 188
[그림 2-2-6] 전문학사과정 대학의 LMS, LCMS 운영현황 188
[그림 2-2-7] 대학전체의 LMS, LCMS 운영현황 188
[그림 2-2-8] 학사과정대학의 콘텐츠 저작 관련 솔루션 이용 현황 188
[그림 2-2-9] 전체대학의 콘텐츠 저작 관련 솔루션 이용 현황 188
[그림 2-2-10] 학사과정대학 지역별 운영현황 189
[그림 2-2-11] 전문학사과정대학 지역별 운영현황 189
[그림 2-2-12] 전체대학 지역별 운영현황 190
[그림 2-2-13] 종합 교육기관의 LMS 운영 현황 196
[그림 2-2-14] 외국어 교육기관의 LMS 운영 현황 196
[그림 2-2-15] 컴퓨터 교육기관의 LMS 운영 현황 196
[그림 2-2-16] 자격증 교육기관의 LMS 운영 현황 196
[그림 2-2-17] 조사대상 전체 교육기관의 LMS 운영 현황 196
[그림 2-2-18] 종합 교육기관의 저작툴 운영 현황 196
[그림 2-2-19] 외국어 교육기관의 저작툴 운영 현황 196
[그림 2-2-20] 컴퓨터 교육기관의 저작툴 운영 현황 196
[그림 2-2-21] 자격증 교육기관의 저작툴 운영 현황 196
[그림 2-2-22] 조사대상 전체 교육기관의 저작툴 운영 현황 196
[그림 2-3-1] 전체학생 연령별 분포현황 231
[그림 2-3-2] 전체학생 주소지별 분포 현황 231
[그림 2-3-3] 원격대학 활성화를 위한 향후 개발 과제들 238
[그림 2-3-4] 연도별 e러닝 국내 시장규모 245
[그림 2-3-5] 공무원 e러닝의 이원적 접근 256
[그림 2-3-6] e러닝 콘텐츠의 형성적 개발 방법론 적용을 통한 EPSS화 256
[그림 2-3-7] 온라인정보화교육 개념도 261
[그림 2-3-8] 배움나라 정보화교육과정 코스 262
[그림 2-3-9] 2003년도 온라인정보화교육사업 추진방향 264
[그림 2-3-10] 일본 e러닝 시장 규모 267
[그림 2-4-1] e러닝 컨설팅의 위상 284
[그림 2-4-2] e러닝 컨설팅의 범위 284
[그림 2-4-3] e러닝 컨설팅의 두 가지 유형이 보이는 접근 방식 291
[그림 2-4-4] 5단계 평가를 위한 대안 295
[그림 3-2-1] e러닝 중장기 비전 310
2001년 기준 총 매출액 331
2001년 기준 슬루션 산업 매출액 331
2001년 기준 콘텐츠 산업 매출액 332
2OO1년 기준 운영 서비스 산업 매출액 332
2OO2년 기준 충 매출액 332
2002년 기준 솔루션 산업 매출액 333
2002년 기준 콘텐츠 산업 매출액 333
2002년 기준 운영 서비스 산업 매출액 333
2OO3년 예상 총 매출액 334
2003년 솔루션 산업 예상 매출액 334
2003년 콘텐츠 산업 예상 매출액 334
2002년 기준 운영 서비스 산업 매출액 335
업체당 솔루션 개발 인력의 수 335
기업에서 본 2003년 e-Learning 솔루션 시장 전망(2002년과 비교) 335
각 기업들의 2003년도 솔루션 시장 예상 성장률 336
기업에서 본 2003년 콘텐츠 산업 시잠의 전망(2OO2년과 비교) 336
기업에서 본 2OO3년 콘텐츠 산업 시장의 예상 성장률 336
기업에서 본 2003년 교육 운영 서비스 산업 시장의 전망 337
기업에서 온 2003년 교육 운영 서비스 산업 시장의 예상 성장률 33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0987931 | 338.4737 ㅅ194e | 200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0987932 | 338.4737 ㅅ194e | 200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