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추천사 : '2003 e러닝 백서' 발간에 즈음하여 / 윤진식

발간사 : '2003 e러닝 백서' 발간에 부쳐 / 이상희

목차

제1부 e러닝 총론 15

제1장 e러닝 개요 16

제1절 e러닝의 개요 및 발달 배경 16

제2절 e러닝의 제 영역과 관련 산업 25

제2장 e러닝 관련 법제 36

제1절 e러닝 관련 법제의 발달 배경 및 개요 36

제2절 e러닝 관련 법제 운영 현황 및 향후 발전 방안 40

제3장 e러닝 인력 양성 73

제1절 e러닝 인력 양성 개요 73

제2절 e러닝 인력 양성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78

제4장 e러닝 표준화 84

제1절 e러닝 표준화 개요 및 발달 배경 84

제2절 e러닝 표준화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102

제2부 e러닝 산업 121

제1장 e러닝 콘텐츠 산업 122

제1절 e러닝 콘텐츠 개발 개요 및 발달 배경 122

제2절 e러닝 콘텐츠 산업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131

제2장 e러닝 솔루션 산업 137

제1절 e러닝 솔루션 개요 및 발달 배경 137

제2절 e러닝 솔루션 산업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172

제3장 e러닝 운영 서비스 산업 206

제1절 e러닝 운영 서비스 개요 및 발달 배경 206

제2절 e러닝 운영 서비스 산업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212

제4장 e러닝 컨설팅 산업 281

제1절 e러닝 컨설팅 개요 및 발달 배경 281

제2절 e러닝 컨설팅 산업 현황 및 향후 개발 과제 287

제3부 e러닝 산업의 발전 방향 301

제1장 각 산업별 e러닝의 문제점 및 발전 방향 302

제1절 콘텐츠 산업 302

제2절 솔루션 산업 303

제3절 운영 서비스 산업 305

제4절 컨설팅 산업 306

제2장 e러닝 산업의 비전 309

제1절 국가적 차원 309

제2절 기업적 차원 312

제3절 학교교육적 차원-교육정보화 측면의 e러닝 318

부록 324

부록1. e러닝 관련 학회 및 기관 324

부록2. e러닝 산업체 목록 328

부록3. e러닝 업체 현황 조사 330

부록4. e러닝 백서 통계 지표 산출 338

판권기 342

표목차

〈표 1-1-1〉 e러닝의 발달 단계 18

〈표 1-1-2〉 e러닝의 구성요소 및 인접 학문·기술 분야 26

〈표 1-1-3〉 운영의 제 측면 31

〈표 1-1-4〉 운영의 제 단계 및 주요 활동 32

〈표 1-2-1〉 일본 동경 야마부키 고등학교의 과정별 설치현황 및 정원수 55

〈표 1-2-2〉 사립대학과 사립 초·중등학교의 설립자 규정 비교 60

〈표 1-3-1〉 e러닝 전문인력 양성 기관 현황 78

〈표 1-3-2〉 e러닝 인력 부족현황 80

〈표 1-4-1〉 차세대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LCMS) 기능 98

〈표 1-4-2〉 SC36의 워킹그룹 103

〈표 1-4-3〉 SCORM의 구성요소 106

〈표 2-1-1〉 교수학습활동 설계 전략 126

〈표 2-1-2〉 e러닝 멀티미디어 저작도구 127

〈표 2-1-3〉 학습 운영 전략 127

〈표 2-1-4〉 e러닝 콘텐츠 평가 방법 및 세부 항목 127

〈표 2-1-5〉 e러닝 콘텐츠 운영업체 현황 131

〈표 2-1-6〉 e러닝 콘텐츠 개발업체 현황 133

〈표 2-2-1〉 교육방식 관점에 따른 e러닝 인프라의 분류(상호작용 대 학습모드) 138

〈표 2-2-2〉 교육방식 관점에 따른 e러닝 인프라의 분류(학습모드 대 집합/분산교육방식) 139

〈표 2-2-3〉 멀티미디어 PC의 구성요소 142

〈표 2-2-4〉 멀티미디어 교실의 구성 인프라 149

〈표 2-2-5〉 교수자를 위한 e러닝 강의실 시스템의 주요 기능 152

〈표 2-2-6〉 학습자를 위한 e러닝 강의실 시스템의 주요 기능 152

〈표 2-2-7〉 관리자를 위한 e러닝 강의실 시스템의 주요 기능 153

〈표 2-2-8〉 e러닝교육지원시스템의 평가 항목 155

〈표 2-2-9〉 LCMS 기능 정의 159

〈표 2-2-10〉 ITS 기반의 적응형 기술에 대한 세계 동향 161

〈표 2-2-11〉 HMS기반의 적응형 기술에 대한 세계 동향 161

〈표 2-2-12〉 XML, SGML, HTML 비교표 169

〈표 2-2-13〉 LMS와 LCMS 비교 - Bryan Chapman e러닝 Analyst 178

〈표 2-2-14〉 2002년 전체 e러닝 시장 규모 181

〈표 2-2-15〉 e러닝 산업의 분야별 연평균 성장률 181

〈표 2-2-16〉 e러닝 코스닥 등록 기업 상반기 매출현황 181

〈표 2-2-17〉 2001년 개발도구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184

〈표 2-2-18〉 서버 및 통신장비관리실 관련 시설·설비 186

〈표 2-2-19〉 원격교육설비기준 - 매체제작실 운영 시설·설비 187

〈표 2-2-20〉 원격교육설비기준 - 기타 187

〈표 2-2-21〉 주요 LMS 제품 190

〈표 2-2-22〉 2002년 e러닝 경진대회 수상 LMS 191

〈표 2-2-23〉 초·중등 사이트 운영 형태 193

〈표 2-2-24〉 초·중등 e러닝 교육 실시 형태 193

〈표 2-2-25〉 초·중등교육사이트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안 저작 도구 193

〈표 2-2-26〉 초·중등 e러닝 교육기관 네트워크 현황 194

〈표 2-3-1〉 운영의 제 측면 208

〈표 2-3-2〉 운영의 제 단계 및 주요 활동 208

〈표 2-3-3〉 e러닝 유형에 따른 운영상의 특성 및 개선점 209

〈표 2-3-4〉 e러닝 운영 서비스 산업 관련 제도 및 정책 211

〈표 2-3-5〉 유아 온라인 주요 교육업체 현황 212

〈표 2-3-6〉 초·중등 주요 e러닝 업체 현황 215

〈표 2-3-7〉 대학의 e러닝 활용 유형 218

〈표 2-3-8〉 e러닝 전담 조직 유무 현황 218

〈표 2-3-9〉 대학 계열별·대학원별 e러닝 강좌 개설 현황(개설 대학 수) 220

〈표 2-3-10〉 일반 교수자를 위한 지원의 유형별 현황 - 교육 서비스 제공 현황(복수 응답 가능) 221

〈표 2-3-11〉 학생 지원 체제의 유형별 현황(중복 응답 가능) 221

〈표 2-3-12〉 학교법인이 설립한 원격대학 226

〈표 2-3-13〉 컨소시엄형 재단법인이 설립한 원격대학 227

〈표 2-3-14〉 일반 재단법인이 설립한 원격대학 227

〈표 2-3-15〉 2002년 2학기 원격대학별 전체학생 등록현황(2002년 1학기 학사관리현황) 228

〈표 2-3-16〉 2002년 2학기 원격대학별 전체학생 등록현황(2002년 2학기 등록현황) 230

〈표 2-3-17〉 전체학생 주소지별 분포현황 232

〈표 2-3-18〉 전체학생 학력별 분포현황 234

〈표 2-3-19〉 전체학생 직업별 분포현황 235

〈표 2-3-20〉 매출 현황 245

〈표 2-3-21〉 연도별 e러닝 국내 시장규모 245

〈표 2-3-22〉 e러닝 산업의 구성요소별 연평균 성장률 246

〈표 2-3-23〉 국내 교육콘텐츠 시장 규모 246

〈표 2-3-24〉 2002년 주요 대기업 e러닝 수강인원 수 247

〈표 2-3-25〉 기업 e러닝 전략 및 중점추진과제 247

〈표 2-3-26〉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e러닝 과정 247

〈표 2-3-27〉 중앙부처소속 교육훈련 기관의 2002년도 e러닝 실시 현황 249

〈표 2-3-28〉 2002년도 중앙공무원교육원의 e러닝 과목 운영 현황 250

〈표 2-3-29〉 기존 e러닝과 집합교육과 연계되는 e러닝과의 비교 251

〈표 2-3-30〉 서울시 공무원 e교육원 e러닝 과정 개설 현황(2002년도) 252

〈표 2-3-31〉 e러닝 공동활용 운영 현황(2002년도 6월 현재) 254

〈표 2-3-32〉 배움나라 시스템 구축내용 262

〈표 2-3-33〉 배움나라 정보화교육 인원 262

〈표 2-3-34〉 배움나라 교육과정 현황 263

〈표 2-3-35〉 교육기관 DB 구축 현황 264

〈표 2-3-36〉 e러닝 실적 265

〈표 2-3-37〉 교육과정 운영현황 266

〈표 2-3-38〉 세계 기업 e러닝 규모와 아시아 e러닝 시장 규모 267

〈표 2-3-39〉 해외 기업 e러닝 시장 현황 268

〈표 2-3-40〉 현지 파트너사와의 협력 전략 275

〈표 2-3-41〉 행정적인 측면에서의 운영 관련 이슈 277

〈표 2-3-42〉 사전교육·오리엔테이션의 방향 278

〈표 2-4-1〉 e러닝 컨설팅의 구분 285

〈표 2-4-2〉 e러닝 컨설팅 관련 기관의 분류 288

〈표 2-4-3〉 e러닝 컨설팅 현황 조사 내용 289

학회 및 발간 학술지 목록 324

공공기관 324

기타 e-Learning 관련 단체 325

e-Learning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 & 커뮤니티 사이트 325

학회 및 발간 저널 목록 325

표준관련 사이트 326

산업체 목록 328

그림목차

[그림 1-1-1] 전통적 교육환경의 학습내용 흐름도 16

[그림 1-1-2] e러닝 환경의 학습내용 흐름도 16

[그림 1-1-3] 새로운 교육 모델의 요구 24

[그림 1-1-4] e러닝의 제 영역 및 구성요소 26

[그림 1-1-5] e러닝의 제 영역 및 구성요소에 따른 관련 학문영역 및 기술 분야 33

[그림 1-1-6] e러닝 산업 35

[그림 1-2-1] 인터넷 통신 훈련과정 지정 절차 47

[그림 1-2-2] 지방노동관서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심사 관련 업무 48

[그림 1-4-1] SCORM의 콘텐츠 집단화(Content Aggregation) 86

[그림 1-4-2] RLO 모델 87

[그림 1-4-3] NLO 모델 88

[그림 1-4-4] SCO 88

[그림 1-4-5] ASTD의 LO 88

[그림 1-4-6] 콘텐츠 집단화 모델 89

[그림 1-4-7] 순서화 모델 90

[그림 1-4-8] 순서화 제어 모드(Sequencing Control Modes) 90

[그림 1-4-9] 순서화 제어(오직 앞으로 전진) 90

[그림 1-4-10] 순서화와 규칙-상태와 활동/태도 91

[그림 1-4-11] 롤업 규칙 91

[그림 1-4-12] 학습목표 기술 및 프로세스 정보와의 관계 91

[그림 1-4-13] Sharing Objectives 92

[그림 1-4-14] 선택의 예(임의적인 규칙에 의해 제어) 92

[그림 1-4-15] e러닝 시스템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제반 구조 95

[그림 1-4-16] 학습 환경 변화 95

[그림 1-4-17] 차세대 LMS/LCMS 96

[그림 1-4-18] 기존의 LMS/LCMS 96

[그림 1-4-19] 메타데이터 템플릿 활용 예 97

[그림 1-4-20] TV기반 콘텐츠를 위한 메타데이터 템플릿의 예 97

[그림 1-4-21] 차세대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LCMS) 개념도 98

[그림 1-4-22] e러닝 표준화 기구 102

[그림 1-4-23] SC36 조직도(2002년 10월 현재) 103

[그림 1-4-24] SCORM 모델 105

[그림 2-1-1] e러닝 콘텐츠의 구성 122

[그림 2-1-2] e러닝 콘텐츠 개발 과정 123

[그림 2-1-3] 학습내용 설계 124

[그림 2-1-4] 표준화된 콘텐츠 구조(SCORM) 125

[그림 2-1-5] 프로젝트 중심 학습의 사례화면(학습 커뮤니티를 통한 협력적 프로젝트 수행) 128

[그림 2-1-6] 자기주도적학습의 사례화면(학습지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학습 자원의 탐색) 128

[그림 2-1-7] 문제중심학습의 사례화면(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 130

[그림 2-2-1] 원격대학생들의 학습장소 분포도 185

[그림 2-2-2] 원격대학생들의 학습용 통신망 환경 185

[그림 2-2-3] 원격대학생들의 학습용 컴퓨터 기종 조사 185

[그림 2-2-4] 원격대학생들의 플랫폼기능에 대한 작동설문 185

[그림 2-2-5] 학사과정 대학의 LMS, LCMS 운영현황 188

[그림 2-2-6] 전문학사과정 대학의 LMS, LCMS 운영현황 188

[그림 2-2-7] 대학전체의 LMS, LCMS 운영현황 188

[그림 2-2-8] 학사과정대학의 콘텐츠 저작 관련 솔루션 이용 현황 188

[그림 2-2-9] 전체대학의 콘텐츠 저작 관련 솔루션 이용 현황 188

[그림 2-2-10] 학사과정대학 지역별 운영현황 189

[그림 2-2-11] 전문학사과정대학 지역별 운영현황 189

[그림 2-2-12] 전체대학 지역별 운영현황 190

[그림 2-2-13] 종합 교육기관의 LMS 운영 현황 196

[그림 2-2-14] 외국어 교육기관의 LMS 운영 현황 196

[그림 2-2-15] 컴퓨터 교육기관의 LMS 운영 현황 196

[그림 2-2-16] 자격증 교육기관의 LMS 운영 현황 196

[그림 2-2-17] 조사대상 전체 교육기관의 LMS 운영 현황 196

[그림 2-2-18] 종합 교육기관의 저작툴 운영 현황 196

[그림 2-2-19] 외국어 교육기관의 저작툴 운영 현황 196

[그림 2-2-20] 컴퓨터 교육기관의 저작툴 운영 현황 196

[그림 2-2-21] 자격증 교육기관의 저작툴 운영 현황 196

[그림 2-2-22] 조사대상 전체 교육기관의 저작툴 운영 현황 196

[그림 2-3-1] 전체학생 연령별 분포현황 231

[그림 2-3-2] 전체학생 주소지별 분포 현황 231

[그림 2-3-3] 원격대학 활성화를 위한 향후 개발 과제들 238

[그림 2-3-4] 연도별 e러닝 국내 시장규모 245

[그림 2-3-5] 공무원 e러닝의 이원적 접근 256

[그림 2-3-6] e러닝 콘텐츠의 형성적 개발 방법론 적용을 통한 EPSS화 256

[그림 2-3-7] 온라인정보화교육 개념도 261

[그림 2-3-8] 배움나라 정보화교육과정 코스 262

[그림 2-3-9] 2003년도 온라인정보화교육사업 추진방향 264

[그림 2-3-10] 일본 e러닝 시장 규모 267

[그림 2-4-1] e러닝 컨설팅의 위상 284

[그림 2-4-2] e러닝 컨설팅의 범위 284

[그림 2-4-3] e러닝 컨설팅의 두 가지 유형이 보이는 접근 방식 291

[그림 2-4-4] 5단계 평가를 위한 대안 295

[그림 3-2-1] e러닝 중장기 비전 310

2001년 기준 총 매출액 331

2001년 기준 슬루션 산업 매출액 331

2001년 기준 콘텐츠 산업 매출액 332

2OO1년 기준 운영 서비스 산업 매출액 332

2OO2년 기준 충 매출액 332

2002년 기준 솔루션 산업 매출액 333

2002년 기준 콘텐츠 산업 매출액 333

2002년 기준 운영 서비스 산업 매출액 333

2OO3년 예상 총 매출액 334

2003년 솔루션 산업 예상 매출액 334

2003년 콘텐츠 산업 예상 매출액 334

2002년 기준 운영 서비스 산업 매출액 335

업체당 솔루션 개발 인력의 수 335

기업에서 본 2003년 e-Learning 솔루션 시장 전망(2002년과 비교) 335

각 기업들의 2003년도 솔루션 시장 예상 성장률 336

기업에서 본 2003년 콘텐츠 산업 시잠의 전망(2OO2년과 비교) 336

기업에서 본 2OO3년 콘텐츠 산업 시장의 예상 성장률 336

기업에서 본 2003년 교육 운영 서비스 산업 시장의 전망 337

기업에서 온 2003년 교육 운영 서비스 산업 시장의 예상 성장률 337

이용현황보기

e러닝 백서. 2003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987931 338.4737 ㅅ194e 200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987932 338.4737 ㅅ194e 200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