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머리말

목차

연구결과 요약 12

제1장 서론 40

제1절 연구의 배경 42

제2절 연구의 목적 43

제3절 연구의 범위 43

1. 공간적 범위 43

2. 시간적 범위 43

제4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4

제2장 경기도 관련 계획 및 ITS 관련 계획 고찰 46

제1절 경기도 관련 개발계획 48

1. 제4차 국토종합계획(2000~2020) 48

2. 수도권 광역 교통망계획(2001~2020) 49

3. 경기도 도로정비 기본계획(2002~2011) 50

제2절 ITS사업 추진제도 및 관련 계획 56

1. 교통체계효율화법 56

2. 국가 ITS 기본계획 21 57

3. 수도권 광역 ITS 기본계획 60

4. 서울시 ITS사업 종합계획 61

5. 인천 ITS 기본계획 61

6. 경기도 ITS 기본계획 62

제3절 수도권 ITS 단위서비스 추진계획 64

1. 서울시 ITS단위서비스 추진계획 64

2. 인천시 ITS단위서비스 추진계획 65

3. 경기도 ITS단위서비스 추진계획 66

4. 상위계획 고찰을 통한 시사점 68

제3장 국내ㆍ외 교통정보센터 사례 및 시사점 70

제1절 국외 사례 72

1. 미국 오클랜드 카운티의 FAST-TRAC 72

2. 휴스턴 TranStar 73

3. 영국 런던 교통성의 종합 교통관제센터 73

4. 일본 도로교통 정보통신센터(VICS) 74

5. JARTIC (Japan Road Traffic Information Center) 74

제2절 국내 사례 75

제3절 사례 연구를 통한 시사점 77

1. 문제점 제시 사례 77

2. 사례 검토를 통한 시사점 82

제4장 기능 설정을 위한 교통행태파악 및 설문조사 84

제1절 지자체별 ITS단위서비스 추진계획 및 현황 86

제2절 대상구간의 교통행태 분석 88

1. 분석 목적 88

2. 분석 결과 89

3. 시사점 95

제3절 설문조사를 통한 이용자 및 관리자 인식조사 96

1. 조사개요 96

2. 조사결과분석 97

3. 설문조사결과 종합 114

제4절 종합 교통정보센터 기능 도출 114

제5장 종합 교통정보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제시 116

제1절 종합 교통정보센터 운영서비스 분야 118

1. 교통관리최적화 118

2. 전자지불처리 125

3. 대중교통활성화 128

제2절 단위 서비스별 시스템 필요 사양 132

1. 교통관리최적화 132

2. 대중교통활성화 134

3. 경기도 종합 교통정보센터 사양 및 단가 135

제3절 종합 교통정보센터 단계별 구축계획 및 전략 136

제4절 종합 교통정보센터 운영방안 139

1. 경기도 교통관련 부서별 업무현황 140

2. 종합 교통정보센터 담당업무 144

제6장 결론 146

제1절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148

제2절 정책제언 149

참고문헌 150

부록 154

1. 대상구간 통행분석결과 156

2. 지능형 교통체계(ITS) 서브시스템 정의 167

3. 이용자 및 관리자 설문조사 양식 171

판권기 186

표목차

[표 2.1.1] 수도권 간선도로망 신설 및 확장 계획 49

[표 2.1.2] 고속도로 구축계획 51

[표 2.1.3] 간선도로망 계획 52

[표 2.1.4] 보조간선도로망 계획(남북축) 53

[표 2.1.5] 보조간선도로망 계획(동서축) 55

[표 2.2.1] 국가 ITS 기본계획 단계별 단위서비스 추진전략 58

[표 2.2.2] 수도권 광역 ITS 기본계획 단계별 단위서비스 추진전략 60

[표 2.2.3] 서울시 ITS사업 종합계획 단계별 단위서비스 추진전략 61

[표 2.2.4] 인천시 ITS 기본계획 단계별 단위서비스 추진전략 62

[표 2.2.5] 경기도 ITS 기본계획 단계별 단위서비스 추진전략 63

[표 2.3.1] 서울시 ITS사업 세부 추진계획 64

[표 2.3.2] 인천시 ITS사업 세부 추진계획 65

[표 2.3.3] 지자체별 추진 또는 협조해야 할 ITS 서브시스템 66

[표 3.2.1] 국내 교통정보센터의 특성 75

[표 3.2.2] 국내 교통정보센터의 특성(민간업체) 76

[표 4.1.1] 수도권 ITS추진현황 및 계획 87

[표 4.2.1] 2002년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개요 89

[표 4.2.2] 지자체 수단별 유출ㆍ입 통행량 및 통행률 현황 (일 교통량) 90

[표 4.2.3] 통행목적에 따른 지자체별 유출ㆍ입 통행률 현황 91

[표 4.2.4] 인접 지자체간 방향별, 수단, 목적별 유출ㆍ입 통행률 93

[표 4.3.1] 설문조사 개요 96

[표 4.3.2] 성별, 연령, 직업별 응답현황 97

[표 4.3.3] 운전면허여부 및 운전경력, 월 평균소득 현황 98

[표 4.3.4] 지자체별 이용자의 교통수단 이용현황 및 통행목적현황 99

[표 4.3.5] 지자체별 교통수단 이용시간 및 정보습득방법 현황 100

[표 4.3.6] 이용자가 생각하는 교통문제 심각정도 101

[표 4.3.7] 지자체별 대중교통서비스 향상을 위한 개선되어야 할 사항 101

[표 4.3.8] 지자체별 첨단 교통서비스 이용경험여부 및 의견 102

[표 4.3.9] 제공정보의 정확성 및 이용시 불편사항 103

[표 4.3.10] ITS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 및 이용자가 원하는 ITS서비스현황 104

[표 4.3.11] 이용자의 정보이용시점 및 적절한 정보제공매체에 대한 의견 105

[표 4.3.12] 유료화에 따른 1일 이용회수 및 이용자 수단전환 의향 106

[표 4.3.13] 설문대상 성별, 연령현황 107

[표 4.3.14] 설문대상 근무 년수 107

[표 4.3.15] 교통문제에 대한 심각정도 108

[표 4.3.16] 교통문제 발생 원인 108

[표 4.3.17] 교통관련 민원사항현황 109

[표 4.3.18] 교통문제해결 위한 추진정책 109

[표 4.3.19] ITS 인지정도 109

[표 4.3.20] ITS 도입시 시행하는 행정업무 및 추진, 계획중인 단위서비스 현황 110

[표 4.3.21] 타 지자체와의 업무협조 경험 여부 110

[표 4.3.22] 타 지자체와의 업무협조내용 및 협조시 불편사항 111

[표 4.3.23] 지자체별 ITS센터 인계에 관한 의견 111

[표 4.3.24] 현재 추진, 계획(단기 추진) ITS단위서비스현황 및 도입 ITS기대효과 113

[표 4.4.1] 경기도 ITS 단위 연계서비스 도출 결과 115

[표 5.5.1] 연계서비스분야 118

[표 5.1.2] 능동 주파수방식과 적외선방식 비교 125

[표 5.1.3] 경기도내 민간투자사업 대상도로 127

[표 5.1.4] BIS 해외사례 129

[표 5.1.5] BIS 정보수집체계 비콘방식과 GPS방식 비교 131

[표 5.2.1] 실시간 교통제어시스템 사양 및 단가 132

[표 5.2.2] 교통제어성정보제공서비스 사양 및 단가 133

[표 5.2.3] 돌발상황관리 시스템 사양 및 단가 134

[표 5.2.4] 광역버스정보제공시스템 사양 및 단가 135

[표 5.2.5] 경기도 종합 교통정보센터 시스템 사양 및 단가 136

[표 5.3.1] 사업주체에서의 역할 분담 138

[표 5.3.2] 종합 교토정보센터 단계별 구축계획 139

[표 5.4.1] 경기도 본청의 건설교통국 교통과 및 신도시개발지원단 업무 141

[표 5.4.2] 경기도 제2청의 지역개발국 도로교통과 업무 142

[표 5.4.3] 교통정보센터 부서별 업무 사례 144

[표 5.4.4] 경기도 종합 교통정보센터 부서별 업무내용(안) 145

[표1] 수단별 통행분석결과 156

[표2] 목적별 통행분석결과 158

[표3] 대상구간 지역간 통행분석결과 161

그림목차

[그림 1.3.1] 연구대상범위 43

[그림 1.4.1] 연구 진행흐름도 45

[그림 3.1.1] FAST-TRAC Process 72

[그림 3.1.2] 휴스턴 TranStar Process 73

[그림 3.1.3] 영국 런던 교통성 종합 교통관제센터 73

[그림 3.1.4] VICS Process 74

[그림 4.2.1] 지자체(부천, 과천, 안산) 교통수단별 유출ㆍ입률 현황 90

[그림 4.2.2] 지자체(부천, 과천, 안산) 통행목적별 유출ㆍ입률 현황 92

[그림 4.2.3] 지역간 통행목적별 유출ㆍ입 통행률 94

[그림 4.2.4] 지역간 교통수단별 유출ㆍ입 통행률 95

[그림 4.3.1] 센터 연계방식 유형 112

[그림 5.1.1] 서울시 내부순환도시고속도로 돌발상황 대응체계 흐름도 124

[그림 5.1.2] 유료도로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개념도 126

[그림 5.1.3] 수도권 BIS 도입현황 130

[그림 5.1.4] 비콘방식의 정보수집체계 131

[그림 5.1.5] GPS방식의 정보수집체계 131

[그림 5.3.1] 경기도 종합 교토정보센터의 형태 개념도 139

[그림 5.4.1] 경기도 교통관련 조직현황도 140

[그림1] 수단별 통행분석결과 157

[그림2] 통행목적별 통행분석결과 159

[그림3] 고양시와 인접지역간 목적/수단 통행률 163

[그림4] 의정부시와 인접지역간 목적/수단 통행률 163

[그림5] 안산시와 인접지역간 목적/수단 통행률 164

[그림6] 과천시와 인접지역간 목적/수단 통행률 164

[그림7] 부천시와 인접지역간 목적/수단 통행률 165

[그림8] 안양시와 인접지역간 목적/수단 통행률 165

[그림9] 수원시와 인접지역간 목적/수단 통행률 166

[그림10] 군포시와 인접지역간 목적/수단 통행률 166

이용현황보기

경기도 종합 교통정보센터 구축 방안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016351 338.310285 ㅂ439ㄱ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