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개발연구. 1-2 / 보건복지부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2004
청구기호
362.2 ㅂ425ㄱ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책 ; 26 cm
제어번호
MONO1200416116
주기사항
v.3는 요약본임
내용: 1, 재정운영방식 및 시설인력 인프라 확충방안. - 2, 평가판정체계 및 수가급여체계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머리말/강윤구=4,3,3

2003년도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명단=7,6,1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전문위원=8,7,2

목차=10,9,4

표목차=14,13,5

그림목차=19,18,1

[제1부]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개발 배경 및 재정운영방식=20,19,1

요약=21,20,17

제1장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도입 필요성=38,37,1

제1절 노인요양의 사회적 위험 대두=38,37,3

제2절 노인요양보호 실태와 비용부담구조=41,40,3

제3절 노인요양보장제도 도입의 타당성=44,43,3

제2장 2003년도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추진사항=47,46,3

제3장 외국의 장기요양보장제도=50,49,1

제1절 일본의 장기요양보험제도=50,49,7

제2절 독일의 장기요양보험 제도=56,55,15

제3절 영국의 장기요양보호제도=70,69,14

제4절 외국의 장기요양보장제도 재원조달방식의 비교=84,83,3

제4장 재정운영방식의 대안 검토=87,86,1

제1절 노인장기요양보장제도의 기본방향=87,86,1

제2절 재정운영방식의 유형별 평가=87,86,7

제3절 재정운영방식의 대안과 선택=93,92,11

제4절 제도도입 및 재정운영방식에 관한 공청회 및 여론조사=104,103,5

제5절 쟁점별 토의내용 정리=109,108,5

제5장 재정운영방식의 구상=114,113,1

제1절 제도의 기본구상=114,113,3

제2절 재정시뮬레이션=117,116,2

제3절 제도도입에 따른 예측변화 및 기대효과=118,117,4

참고문헌=122,121,3

부록=125,124,136

[제2부] 장기요양보장 서비스ㆍ인력 인프라 구축방안=261,260,2

요약=263,262,27

제1장 서론=290,289,1

제1절 연구의 배경=290,289,3

제2절 연구 목적=292,291,1

제3절 연구의 범위=292,291,2

제2장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및 인력 현황 분석=294,293,1

제1절 노인 장기요앙보호 서비스 현황=294,293,6

제2절 노인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제공 인력 현황=299,298,7

제3절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서비스 제공 현황=305,304,5

제3장 선진국의 장기요양보호 현황 분석=310,309,1

제1절 미국=310,309,9

제2절 일본=319,318,9

제3절 영국=327,326,13

제4절 독일=340,339,10

제5절 시사점=349,348,2

제4장 재가보호 서비스 인프라 방안=351,350,1

제1절 재가보호 서비스의 개념 및 필요성=351,350,4

제2절 재가보호 서비스 내용 분석=354,353,23

제3절 재가보호 서비스 제공 원칙 및 서비스 내용=376,375,6

제5장 시설보호 서비스 인프라=382,381,1

제1절 노인의료복지시설 기능 및 역할=382,381,21

제2절 시설보호서비스 내용=402,401,6

제6장 서비스 제공인력 및 담당 업무=408,407,1

제1절 인력종별 서비스 내용=408,407,1

제2절 인력종별 자격요건 및 역할=408,407,9

제7장 노인복지시설 기능재정립에 따른 시설 및 인력추계=417,416,1

제1절 선행연구 검토=417,416,5

제2절 추계방법 및 추계결과=421,420,21

제8장 장기요양보장을 위한 시설 확충 및 공급 방안=442,441,1

제1절 장기요양 서비스 공급시설의 현황과 추가필요시설의 수=442,441,8

제2절 장기요양보호시설의 확충을 위한 기존 방안 및 논의에 대한 검토=450,449,10

제3절 보건기관(보건소ㆍ보건지소)과 공공병원의 역할 재정립 및 개선방향=460,459,8

제4절 장기요양보호를 위한 시설 확충 및 공급 방안=467,466,12

제9장 노인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전달체계 방안=479,478,1

제1절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제공 목표=479,478,1

제2절 서비스 제공의 기본 원칙=479,478,4

제3절 지역사회 단위의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전달체계=482,481,7

제4절 지역사회 단위 서비스 공급자의 성격=488,487,3

제5절 노인 보호의 연속체계(CONTINUUM OF CARE)=490,489,3

제10장 노인요양보호 관련 실버산업:노인복지용품지원 활성화=493,492,1

제1절 민간부문참여와 실버산업=493,492,13

제2절 노인복지용품 교부사업에의 민간부문 참여 활성화=505,504,13

제11장 결론=518,517,2

참고문헌=520,519,7

부록=527,526,8

판권지=535,534,1

[표 1-1] 장기요양이 필요한 65세 이상 대상자 전망=39,38,1

[표 1-2] 노인요양보호를 위한 잠재비용 전망=39,38,1

[표 1-3] 고령화와 노인의료비의 전망:2000~2030=40,39,1

[표 1-4] 건강보험제도에서의 노인의 의료이용 추이: 1991~2001=40,39,1

[표 1-5] 노인요양 서비스의 수혜율과 공적노인요양비용의 국가간 비교=41,40,1

[표 1-6] 장기요양 필요노인의 수발실태=42,41,1

[표 1-7] 정부의 노인요양관련 예산 현황 (2003년, 백만원)=42,41,1

[표 3-1] 일본의 개호보험 급여대상자 인정기준=53,52,1

[표 3-2] 개호등급별 인정자수 추이=53,52,1

[표 3-3] 재택서비스와 시설서비스의 구성비율(2003년 4월 현재)=54,53,1

[표 3-4] 서비스별 이용현황(2003. 4)=55,54,1

[표 3-5] 서비스별 사업주체 비율=56,55,1

[표 3-6] 장기요양보험 급여액=62,61,1

[표 3-7] 노인 장기요양서비스에 대한 지출:1995년=73,72,1

[표 3-8] 노인 장기요양서비스 지출 추계=74,73,1

[표 3-9] 시설 보호 노인 현황=79,78,1

[표 3-10] 서비스 유형별 장기요양서비스 수혜자=80,79,1

[표 3-11] 장기요양서비스 단위 비용:1995-96년 기준=81,80,1

[표 3-12] 선진 4개국의 장기요양보장제도 비교=86,85,1

[표 4-1] 장기요양보장제도의 재정운영방식 유형=88,87,1

[표 4-2] 재정운영방식의 이론적 평가=93,92,1

[표 4-3] 장기요양보장제도의 재정운영방식의 가능한 대안들=95,94,1

[표 4-4] 장기요양보장제도의 재정운영방식 대안 모색=95,94,1

[표 4-5] 장기요양보장제도의 재정운영방식의 3개 대안과 쟁점=103,102,1

[표 4-6] 건강보험의 재원분담구조=110,109,1

[표 4-7] 장기요양보험의 재원분담구조 제안=110,109,1

[표 5-1] 노인장기요양 대상자수와 총소요비용 추계=118,117,1

[표 5-2] 노인장기요양보장제도의 재원분담과 가입자의 월 부담액=118,117,1

[표 2-1] 노인 재가보호 시설 종류 및 사업 내용=294,293,2

[표 2-2] 재가보호 서비스 주요 인력 (2002. 12. 현재)=295,294,1

[표 2-3] 노인 보호 시설 분류 및 입소 대상자=296,295,1

[표 2-4] 시설보호 서비스 일반 현황 (2002. 12. 현재)=299,298,1

[표 2-5] 재가복지시설 인력기준=300,299,1

[표 2-6] 재가보호 시설 인력 현황(2002년 12월 현재)=301,300,1

[표 2-7] 노인 의료복지 시설의 인력 배치기준(2003년)=302,301,1

[표 2-8] 시설보호 서비스 종사인력 현황(무료시설)=304,303,1

[표 2-9] 노인 의료복지시설 종류별 규모별 생활지도원 활동 실태(2001년1월, 유료 제외)=305,304,1

[표 2-10] 노인의료복지시설별 입소노인의 기능상태 비교=306,305,1

[표 2-11] 노인의료복지시설 재활서비스 제공실태=307,306,1

[표 2-12] 목욕서비스 제공여부=308,307,1

[표 3-1] 미국의 재가서비스와 시설서비스 구분=311,310,1

[표 3-2] 미국의 장기요양 서비스 내용=311,310,3

[표 3-3] 시설별 특성(Facility characteristic:1999)=316,315,1

[표 3-4] 미국 요양시설(너싱홈) 서비스 인력 현황(1999)=317,316,1

[표 3-5] 미국 요양시설(Nursing Home)의 서비스 공급자별 서비스 내용=318,317,1

[표 3-6] 일본의 재가서비스와 시설서비스 구분=319,318,1

[표 3-7] 시설 서비스 부문 서비스 제공내용 및 운영주체(2002년 기준)=320,319,1

[표 3-8] 재가 서비스 부문 서비스 제공내용 및 운영주체(2002년 기준)=322,321,2

[표 3-9] 일본의 장기요양 서비스 인력 현황(2001년)=324,323,2

[표 3-10] 시설 장기요양 서비스 사업소 및 운영주체 현황(2001년 10월 1일 현재 기준)=326,325,1

[표 3-11]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사업소 및 운영주체 현황(2001년 9월 제공서비스 기준)=327,326,1

[표 3-12] 영국의 재가서비스 및 시설서비스 구분=328,327,1

[표 3-13]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장기요양서비스=329,328,1

[표 3-14] 연도별 요양원 시설현황=331,330,1

[표 3-15] 연도별 거주홈(Residential Care Homes) 현황=332,331,1

[표 3-16] 연도별 거주홈(Residential Care Homes)내 Residential places 현황=333,332,1

[표 3-17] 시설의 설치와 직원배치 기준=334,333,1

[표 3-18] 요양원 유형별 세부현황=336,335,1

[표 3-19] 독일의 요양서비스 대상자 연령별 분포(2001)=340,339,1

[표 3-20] 요양서비스 영역과 세부내용=343,342,1

[표 3-21] 독일의 등급별 요양서비스 내용=344,343,1

[표 3-22] 독일 장기요양보험 보험료율 현황=346,345,1

[표 3-23] 독일의 연도별ㆍ급여종류별 급여비 지출 현황=348,347,1

[표 4-1] 방문보건사업과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비교=368,367,1

[표 4-2] 재가보호 서비스 종류 및 내용=381,380,1

[표 5-1] 현행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대상자=382,381,1

[표 5-2] 노인 장기요양시설 종별 입소자 연령 분포=385,384,1

[표 5-3] 요양시설 입소자 연령대별 일상생활 기능수준 정도=386,385,1

[표 5-4] 전문요양시설 입소자 일상생활 기능수준 정도=387,386,1

[표 5-5]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자 일상생활 기능수준 정도 비교=388,387,1

[표 5-6] 장기요양보호서비스대상 노인의 분류기준=389,388,1

[표 5-7] 장기요양시설 입소자 유형 비교=390,389,1

[표 5-8] 요양시설 입소자 연령대별 유형 비교=391,390,1

[표 5-9] 전문요양시설 입소자 연령대별 유형 비교=392,391,1

[표 5-10] 장기요양시설 입소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자립도 수준 분포=394,393,1

[표 5-11] 요양ㆍ전문요양시설 입소자 질환군 분포=395,394,1

[표 5-12] 미국 시설특성별 퇴소자 평균재원기간=396,395,1

[표 5-13] 시설간 기능정립 방안=397,396,1

[표 5-14] 시설간 기능정립 방안=398,397,1

[표 5-15] 통합형과 현행유지형의 장단점 비교=402,401,1

[표 5-16] 장기요양대상자 등급별 서비스 내용(안)=403,402,1

[표 6-1] 종별 인력별 서비스 내용(안)=408,407,1

[표 6-2] 일본 인구 대비 간병ㆍ일상활동 지원인력 활동자수=410,409,1

[표 6-3] 미국 간병ㆍ일상활동 지원인력 활동분야별 인구만명당 활동자수=410,409,1

[표 7-1] 노인주거 및 의료복지시설 필요시설수 추계 방법(1999년 연구)=418,417,1

[표 7-2] 노인장기입소시설수 및 필요인력수 추계 방법(2001년 연구)=419,418,1

[표 7-3] 필요 요양병상수 추계(2000년 연구)=420,419,1

[표 7-4] 연도별 노인수 및 보호형태별 장기요앙보호대상노인수(제1-1인, 2007~2020)=424,423,1

[표 7-5] 연도별 필요시설수(제1-1안, 2007~2020)=425,424,1

[표 7-6] 연도별 노인수 및 보호형태별 장기요양보호대상노인수(제1-2안,2007~2020]=426,425,1

[표 7-7] 연도별 필요시설수[제1-2안, 2007~2020]=427,426,1

[표 7-8] 연도별 노인수 및 장기요양보호대상노인수, 등급별 노인수(제2안, 2007~2020)=428,427,1

[표 7-9] 연도별 치매주간보호ㆍ치매단기보호서비스 대상규모(제2안, 2007~2020)=429,428,1

[표 7-10] 연도별 일반주간ㆍ일반단기보호서비스 대상규모(제2안, 2007~2020)=430,429,1

[표 7-11] 연도별 요양지도사파견시설 대상규모(제2안, 2007~2020)=431,430,1

[표 7-12] 연도별 이동목욕서비스 및 방문간호서비스 대상자수 및 서비스횟수(제2안, 2007~2020)=432,431,1

[표 7-13] 연도별 시설보호서비스 대상수(제2안, 2007~2020)=433,432,1

[표 7-14] 장기요양서비스 케어매니저 필요인원수 추계 (제1-1안, 2007~2020)=434,433,1

[표 7-15] 장기요양서비스 요양지도사 수 수요 추계 (제1-1안, 2007~2020)=435,434,1

[표 7-16] 장기요양서비스 케어매니져 필요인원수 추계 (제1-2안, 2007~2020)=436,435,1

[표 7-17] 장기요양서비스 요양지도사 수요 추계 (제1-2안, 2007~2020)=436,435,1

[표 7-18] 장기요양서비스 케어매니저 수요 추계 (제2안, 2007~2020)=437,436,1

[표 7-19] 장기요양서비스 요양지도사수 수요 추계 (제2안, 2007~2020)=438,437,1

[표 7-20] 제1안과 제2안의 추계결과 비교:시설=439,438,1

[표 7-21] 제1안과 제2안의 추계결과 비교:인력=440,439,1

[표 7-22] 두가지 추계방법 및 추계결과의 비교=441,440,1

[표 8-1] 요양병원 개설 현황(2002년 말)=443,442,1

[표 8-2] 지역별 요양병원 분포 현황(2002년 말)=444,443,1

[표 8-3] 재가보호 서비스 시설 현황 및 연도별 현재 대비 추가필요시설 수(1-1안)=446,445,1

[표 8-4] 재가보호 서비스 시설 현황 및 연도별 현재 대비 추가필요시설 수(2안)=447,446,1

[표 8-5] 시설보호 서비스(생활) 시설 현황 및 연도별 현재 대비 추가필요시설 수(1-1안)=448,447,1

[표 8-6] 시설보호 서비스(생활) 시설 현황 및 연도별 현재 대비 추가필요시설 수(2안)=449,448,1

[표 8-7] 도시 보건지소 연도별 확충계획 및 소요예산=455,454,1

[표 8-8] 도시지역의 인구수 및 필요 보건지소의 수=456,455,1

[표 8-9] 정부의 요양시설 확충계획=459,458,1

[표 8-10]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수=472,471,1

[표 8-11] 장기요양 재가보호의 현재 대비 추가필요시설 수와 확충방안(예시)=473,472,1

[표 8-12] 장기요양 시설보호의 현재 대비 추가필요시설 수와 확충방안(예시)=475,474,1

[표 9-1] 영리 민간부문의 장기요양보장 서비스 공급 참여 장단점 비교=490,489,1

[표 10-1] 실버산업 유형화의 예=497,496,1

[표 10-2] 주요 노인복지용품=507,506,1

[표 10-3] 보장구 생산업체의 설립형태, 설립연도, 업체별 자산규모=510,509,1

[표 10-4] 생활자원시스템 관련 시장전망과 이동기기류 국내 시장전망=511,510,1

[표 10-5] 우리나라의 주요 노인용 보장구 중장기 수요량 추계=512,511,1

[그림 1-1] 현재의 노인요양비용의 구조=43,42,1

[그림 3-1]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유형별 수급자 비율=80,79,1

[그림 5-1] 노인장기요양보장제도 도입에 따른 통합보건의료복지 시스템=119,118,1

[그림 5-2] 공적노인요양보험제도 개요 및 흐름도(안)=120,119,1

[그림 3-1] 미국의 노인 장기요양서비스 제공체계=314,313,1

[그림 3-2] 일본 개호보험서비스의 형태와 종류=321,320,1

[그림 3-3] 영국 켄트주의 사회서비스국(Social Services Department) 조직 및 전달체계=339,338,1

[그림 6-1] 간병ㆍ일상활동 지원인력의 요양지도사 인증방안=412,411,1

[그림 8-1] 요양병원 설립년도별 요양기관 수의 분포=444,443,1

[그림 8-2] 방문보건센터의 운영도=453,452,1

[그림 9-1] 일본의 지역사회 장기요양보장 서비스 전달체계=485,484,1

[그림 9-2] 지역사회 단위 장기요양서비스 전달체계방안=488,487,1

[그림 10-1] 정부와 민간의 복지서비스 역할분담=502,501,1

목차

[표제지 등]=0,1,2

머리말/강윤구=4,3,2

2003년도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명단=6,5,1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전문위원=7,6,2

목차=9,8,2

표목차=11,10,4

그림목차=14,13,2

[제3부] 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평가ㆍ판정도구 개발=16,15,1

요약=17,16,37

제1장 서론=54,53,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54,53,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56,55,2

제2장 선진국의 노인요양 판정ㆍ평가체계 비교=58,57,1

제1절 일본=58,57,14

제2절 독일=72,71,4

제3절 미국=75,74,12

제4절 호주=87,86,7

제5절 싱가포르=93,92,8

제6절 영국=100,99,15

제7절 덴마크=114,113,5

제8절 국가간 비교=119,118,3

제3장 우리나라 평가ㆍ판정도구 개발=122,121,1

제1절 우리나라 평가ㆍ판정도구 항목=122,121,4

제2절 기능평가 항목선정 배경=126,125,22

제3절 서비스 코드 개발=147,146,2

제4절 노인기능평가 및 서비스 실태 조사 개요=148,147,7

제4장 우리나라 공적요양 판정ㆍ평가판정 도구개발 및 등급판정 조사 분석 결과=155,154,1

제1절 분석과정 및 조사 대상자의 제 특성=155,154,18

제2절 평가판정 항목 선정 및 '요양욕구 5영역' 득점 개발=172,171,19

제3절 서비스 제공 시간 분석 및 "인정요양시간" 예측=190,189,18

제4절 요양욕구 평가판정 도구에 의한 대상의 등급구분=208,207,7

제5절 결론 및 제언=214,213,5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219,218,3

참고문헌=222,221,5

부록=227,226,46

[제4부] 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수가ㆍ급여체계 개발=273,272,2

요약=275,274,20

제1장 장기요양 급여 및 수가체계의 필요성=295,294,1

제2장 수가의 종류와 성격=296,295,1

제1절 일반론=296,295,6

제2절 장기요양서비스에서의 비용지불의 원칙=301,300,2

제3장 외국의 장기요양수가체계=303,302,1

제1절 일본 개호 수가체계=303,302,41

제2절 미국의 장기요양수가체계=343,342,32

제3절 독일의 장기요양서비스 및 급여체계=374,373,31

제4장 우리나라 장기요양서비스 비용체계와 수준=405,404,1

제1절 우리나라 장기요양서비스 비용체계=405,404,2

제2절 장기요양서비스 기관의 비용 수준=406,405,4

제5장 급여 및 수가체계 개발 기본방향=410,409,13

참고문헌=423,422,4

판권지=427,426,1

[표 2-1] 인정 사정항목의 득점(카테고리 득점)=64,63,4

[표 2-2] 독일의 공적 장기요양보험의 요양서비스 등급=75,74,1

[표 2-3] 미국 주정부에서 장기요양 대상자격심사시 고려하는 요인=77,76,1

[표 2-4] MDS-HC와 MDS 2.0의 영역과 항목 비교=81,80,1

[표 2-5] RCS 평가도구=91,90,1

[표 2-6] 대상자 등급을 정하기 위한 점수기준=92,91,1

[표 2-7] 등급을 정하기 위한 점수범위=100,99,1

[표 2-8] 욕구판정표(Visitations skema):홀벡크시(Holboek Kommune)=116,115,1

[표 2-9] 그라즈삭크시의 욕구판정표(visitations skema)=118,117,1

[표 2-10] 국가간 비교표=121,120,1

[표 3-1] 평가ㆍ판정항목=125,124,1

[표 3-2] Barthel Index=131,130,1

[표 3-3] 한국형 노인기능 평가도구의 비교=132,131,1

[표 3-4] 신체수발기능 평가항목(안)=133,132,1

[표 3-5] 국가별 인지ㆍ정신기능 항목 비교=135,134,1

[표 3-6] 치매 척도=136,135,1

[표 3-7] 인지장애 평가 항목(안)=138,137,1

[표 3-8] 문제 행동 평가항목(안)=138,137,1

[표 3-9] 치매 척도 간호처치영역(안)=141,140,1

[표 3-10] 국가별 간호처치 평가항목 비교=142,141,1

[표 3-11] 마비 재활치료영역(안)=144,143,1

[표 3-12] 구축 재활치료영역(안)=146,145,1

[표 3-13] 인간ㆍ사회적 욕구영역(안)=147,146,1

[표 4-1] 성별 및 연령 분포=160,159,1

[표 4-2] 신체기능 상태=163,162,1

[표 4-3] 인지기능 상태=165,164,1

[표 4-4] 문제행동부문 증상=169,168,1

[표 4-5] 간호처치 욕구부문=171,170,1

[표 4-6] 재활욕구:마비영역 상태=172,171,1

[표 4-7] 재활욕구:구축 상태=172,171,1

[표 4-8] 신체기능영역 문항적합도 검증=177,176,1

[표 4-9] 5번 항목(식사하기) 삭제 후 신체기능영역 문항적합도 검증=178,177,1

[표 4-10] 인지기능 항목 적합도 검증=179,178,1

[표 4-11] 9번 항목(의사소통장애)를 제외한 인지기능 항목 적합도 검증=179,178,1

[표 4-12] 문제행동 영역 항목 적합도 검증=181,180,1

[표 4-13] 간호욕구 영역 항목 적합도 검증=182,181,1

[표 4-14] 재활욕구영역 항목 적합도 검증=182,181,1

[표 4-15] 신체기능 영역 득점 변환표=185,184,1

[표 4-16] 인지기능 영역 득점 변환표=186,185,1

[표 4-17] 문제행동 영역 득점 변환표=187,186,1

[표 4-18] 간호욕구 영역 득점 변환표=187,186,1

[표 4-19] 재활욕구 영역 득점 변환표=188,187,1

[표 4-20] 요양욕구 5영역별 가중치=189,188,1

[표 4-21] 서비스 대분류별 일인당 제공시간=191,190,1

[표 4-22] 서비스 중분류별 일인당 제공시간=193,192,1

[표 4-23] 서비스 시간의 10% 구간별 평군서비스 제공시간 분포=194,193,1

[표 4-24] 기능상태와 실제 서비스 제공시간과의 상관관계=195,194,1

[표 4-25] 5개 서비스 군 분류표=198,197,1

[표 4-26] 인정요양시간, 기능상태 그리고 실제 서비스 제공시간간의 상관관계=206,205,1

[표 4-27] 인정요양시간의 10% 구간별 인정요양시간 및 실제 제공시간 분포=209,208,1

[표 4-28] 제 1안 등급기준 및 노인대상자 분포=210,209,1

[표 4-29] 제 1안 인정요양시간 등급의 시설유형 별 분포=211,210,1

[표 4-30] 제 2안 등급기준 및 노인대상자 분포=212,211,1

[표 4-31] 제 2안 인정요양시간 등급의 시설유형별 분포=212,211,1

[표 4-32] 제 3안 등급기준 및 노인대상자 분포=213,212,1

[표 4-33] 인정요양시간 등급 및 시설유형별 분포=213,212,1

[표 3-1] 개호수가 설정에 사용된 개호필요도분포의 출전=313,312,1

[표 3-2] 개호필요인정 기준시간=315,314,1

[표 3-3] 개호필요도마다의 개호수가설정의 구체적인 예=316,315,1

[표 3-4] 주간ㆍ시설서비스의 수가액설정에 관한 데이터 출전=317,316,1

[표 3-5] 방문서비스의 수가설정에 관한 데이터 출전=318,317,1

[표 3-6] 개호보험시행 후 서비스 과제와 개호수가의 개정의 방향=335,334,1

[표 3-7] 미국의 메디케어 인증 HHAs 현황(1967-2000)=346,345,1

[표 3-8] 대도시 지역의 재가서비스 주체별 방문당 선지불보상액(2003년 기준)=353,352,1

[표 3-9] 농촌지역의 재가서비스 주체별 방문당 선지불보상액(2003.4.1 기준)=353,352,1

[표 3-10] 재가서비스 비용 지불자(1999-2000)=354,353,1

[표 3-11] 메디케어 행위별수가의 가정간호 비용, 방문수, 대상자수, 대상자당 비용, 대상자당 방문수(1994~1999)=355,354,1

[표 3-12] 미국의 보건의료 서비스 구분별 이용료 비교=355,354,1

[표 3-13] 자원이용군의 분류 방식=364,363,2

[표 3-14] RUG-III 분류체계의 일상활동점수(ADL index)=366,365,1

[표 3-15] 장기요양시설 입소자의 평가 및 보상기간=367,366,1

[표 3-16] 보정하지 않은 연방정부의 일당 보상비용(2003년 10월 1일 적용비용)=367,366,1

[표 3-17] 중증도 보정 연방정부 고시비용(농촌)=368,367,2

[표 3-18] 중증도 보정 연방정부 고시비용(도시)=370,369,2

[표 3-19] Adjusted Federal Prospective Payment 계산 예시=374,373,1

[표 3-20] 수발등급의 기준=389,388,1

[표 3-21] 수발보험법에 따른 서비스의 구분=398,397,1

[표 4-1] 노인 의료복지시설 수가체계 현황=406,405,1

[표 5-1] 요양보호급여 및 수가체계(안)=412,411,1

[그림 2-1] 요개호 인정에 대한 1차 판정과정=69,68,1

[그림 2-2] 독일의 장기요양 평가판정 절차=72,71,1

[그림 2-3] RAI 과정=78,77,1

[그림 2-4] 미국 미시건 주의 MI Choice 시스템=84,83,1

[그림 2-5] RUG-III 분류체계=86,85,1

[그림 2-6] 호주의 입소자 평가분류 도구 적용과정=90,89,1

[그림 3-1] 평가ㆍ판정도구 항목 개발과정=124,123,1

[그림 3-2] ROC Curve: 중증 기능장애에 대한 K-ADL총점의 민감도, 특이도=129,128,1

[그림 4-1] 요앙욕구 평가판정도구 분석과정도=159,158,1

[그림 4-2] 실제 서비스 제공시간과 기능상태간의 상관분포도(Scatter Plot)=196,195,1

[그림 4-3] 실제서비스 제공시간과 기능상태간의 상관분포도(Scatter Plot)=207,206,1

[그림 4-4] 인정요양시간과 기능상태간의 상관분포도(Scatter Plot)=207,206,1

[그림 4-5] 1차 평가판정 절차(안)=216,215,1

[그림 3-1] 사업소/시설의 비용에서 개호수가설정방향=314,313,1

[그림 3-1] GDP(gross domestic product) 대비 국가보건의료비 지출(미국)=343,342,1

[그림 3-2] 미국의 의료비지출 주체 및 비용(2000년)=344,343,1

[그림 3-3] 재가서비스 대상자의 환자분류체계(예: 임상모델)=350,349,1

[그림 3-4] HHPPS 지불체계=352,351,1

[그림 3-5] RUG-III 분류체계에 의한 요양수가 산출방식=360,359,1

[그림 3-6] 자원이용군(RUG-III) 분류체계도(Version 5.12)=363,362,1

[그림 4-1] 직역별 재원일수(6개월 평균)=407,406,1

[그림 4-2] 직역별 총진료비 항목 구성 비교=408,407,1

[그림 4-3] 직역별 총 진료비 항목 구성비 비교=409,408,1

[그림 5-1] 장기요양서비스체계 기본안=411,410,1

목차

[표제지 등]=0,1,2

머리말/강윤구=4,3,3

목차=7,6,2

표목차=9,8,1

그림목차=10,9,1

제1부 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재정운영방식=11,10,1

I. 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개발=11,10,2

II. 외국의 장기요양보장제도=13,12,3

III. 재정운영방식의 대안 검토=15,14,7

IV. 재정운영방식의 구상=22,21,6

제2부 장기요양보장 서비스ㆍ인력 인프라 구축방안=28,27,1

I. 서론=28,27,1

II. 우리나라 장기요양현황 분석=29,28,4

III. 선진국의 장기요양보호 현황 분석=32,31,2

IV. 재가보호 서비스 인프라 방안=33,32,4

V. 시설보호 서비스 인프라=36,35,3

VI. 서비스 제공인력 및 담당 업무=38,37,3

VII. 노인복지시설 기능재정립에 따른 시설 및 인력추계=40,39,3

VIII. 장기요양보장을 위한 시설 확충 및 공급 방안=43,42,3

IX. 노인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전달체계 방안=45,44,3

X. 노인요양보호 관련 실버산업: 노인복지용품지원 활성화=47,46,4

XI. 결론=50,49,2

제3부 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평가ㆍ판정도구 개발=52,51,1

I. 서론=52,51,2

II. 선진국의 노인요양 판정ㆍ평가체계 비교=53,52,15

III. 우리나라 평가판정 도구 개발=67,66,7

IV. 우리나라 공적요양 판정ㆍ평가판정 도구개발 및 등급판정 과정=73,72,16

V. 결론 및 정책제언=88,87,2

제4부 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수가ㆍ급여체계 개발=90,89,1

I. 장기요양 급여 및 수가체계의 필요성=90,89,3

II. 선진국의 급여 및 수가체계 비교 분석=93,92,16

III. 주요 논점=109,108,2

부록=111,110,12

판권지=123,122,1

[표 1-1] 65세 이상 요양보호 대상자 증가전망=11,10,1

[표 1-2] 장기요양보장제도의 재정운영방식 유형=17,16,1

[표 1-3] 재정운영방식의 평가=18,17,1

[표 1-4] 재정운영방식의 대안 비교=19,18,1

[표 2-1] 추계방법 및 추계결과의 비교=41,40,1

[표 2-2] 추계방법별 연도별 노인수 및 보호형태별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수=41,40,1

[표 2-3] 추계방법별 필요시설수 추계결과=42,41,1

[표 2-4] 추계 방법별 필요인력 추계=42,41,1

[표 3-1] 서비스 시간의 10% 구간별 평균서비스 제공시간 분포=78,77,1

[표 4-1] 노인 의료복지시설 수가체계 현황=92,91,1

[표 4-2] 외국의 장기요양서비스 급여체계=93,92,1

[표 4-3] 개호필요도에 따른 구분지급한도액=95,94,1

[표 4-4] 개호보수의 설정방법=96,95,1

[표 4-5] 지역차의 예:한 단위의 단가=97,96,1

[표 4-6] 재가 개호서비스 단위=97,96,1

[표 4-7] 재택개호지원(케어매니지먼트)=98,97,1

[표 4-8] 시설유형별 개호보수=99,98,1

[표 4-9] 재택서비스 지불제한액=99,98,1

[표 4-10] 재가서비스 주체별 방문당 포괄수가지불액(2003년 기준)=102,101,1

[표 4-11] 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기능상태 평가와 수가결정=103,102,1

[표 4-12] 요양서비스 영역과 내용=106,105,1

[표 4-13] 장기요양보험법에 따른 서비스의 구분=106,105,1

[표 4-14] 요양서비스 등급=108,107,1

[표 4-15] 요양등급별 서비스 형태별 급여수준=108,107,1

[그림 1-1] 공적노인요양보험제도 개요 및 흐름도(안)=26,25,1

[그림 3-1] 평가ㆍ판정도구 개발과정=68,67,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038610 362.2 ㅂ425ㄱ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038611 362.2 ㅂ425ㄱ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038612 362.2 ㅂ425ㄱ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038613 362.2 ㅂ425ㄱ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038614 362.2 ㅂ425ㄱ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038615 362.2 ㅂ425ㄱ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