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연구수행=0,3,1

목차=0,4,2

표차례=0,6,1

그림차례=0,7,2

요약=0,9,20

I. 서론:한국의 문화랜드마크에 대한 문제인식=0,29,9

II. 사업의 의미와 중요성=9,38,12

III. 해외 선진 사례=21,50,3

1. 스페인 빌바오 센터=23,52,11

2. 파리 퐁피두 센터=34,63,19

3. 베를린 소니 센터=53,82,19

4. 런던 바비칸 센터=71,100,8

5. 런던 사우스 뱅크 센터=79,108,7

6. 영국 그리니치 밀레니엄 돔=86,115,4

7. 독일 ZKM=90,119,19

8. 뉴욕 링컨센터=108,137,9

9. 런던 데이터모던=117,146,14

10. 일본 미타카 숲 지브리 미술관=131,160,10

11. 프랑스 아스테릭스 파크=141,170,4

12. 미국 LA 디즈니랜드=145,174,2

13. 미국 올랜도 디즈니월드=147,176,3

14. 유니버설 스튜디오=150,179,2

15. 스미소니언 박물관=152,181,4

16. 시사점=156,185,1

VI. 계획안 제시==157,186,2

1. 월드 디지털컬처 스튜디오(WDCS) 기본 이미지=159,188,1

2. 월드 디지털컬처 스튜디오(WDCS) 기능과 구성=160,189,4

3. 월드 디지털컬처 스튜디오(WDCS) 운영 방안=163,192,8

4. 월드 디지틸컬처 스튜디오(WDCS) 설립방안=170,199,28

5. 기대효과=198,227,6

참조문헌=204,233,3

부록:미래 문화콘텐츠 관련 기술 변화의 주요 영역=207,236,9

표목차

[표 1-1] 지역별 세계 문화산업(오락 미디어 산업) 시장 규모 및 전망=2,31,1

[표 1-2] 세계 디지털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3,32,1

[표 1-3] 국내 문화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4,33,1

[표 1-4] 문화콘텐츠 기업 현황=5,34,1

[표 1-5] 문화콘텐츠 기업 업종별 분포=6,35,1

[표 1-6] 문화콘텐츠 산업 인력수급 전망=6,35,1

[표 1-7] 문화콘텐츠 산업 분야별 인력수급 전망=6,35,1

[표 2-1] 한국 문화산업 상징공간 조성 사업의 기본 개념=11,40,1

[표 3-1] 해외 사례에서 본 시사점=156,185,1

[표 4-1] 산업체 재교육 과정,시민 평생 교육 과정 구상=168,197,1

[표 4-2] 문화콘텐츠콤플렉스 개요=172,201,1

[표 4-3] 문화콘텐츠콤플렉스 입주 기관 및 사업 주체=173,202,1

[표 4-4] 문화콘텐츠콤플렉스 기능별 면적계획(안),(단위:평)=177,206,1

[표 4-5] 문화콘텐츠콤플렉스 실별 세부면적 계획(안)=177,206,2

[표 4-6] 문화콘텐츠 콤플렉스 세부시설용도=181,210,1

[표 4-7] 비용 항목 및 산출=193,222,1

[표 4-8] 수입:경상가격 기준=194,223,1

[표 4-9] 프랑스의 문화랜드마크 사업 규모(1980~90년대)=195,224,1

[표 4-10) 기대효과 예시(광주 아시아 문화전당 등)=202,231,2

그림목차

[그림 1-1] 국내 문화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그래프)=5,34,1

[그림 2-1] 세계적 석학들이 강조하는 한국의 문화산업=12,41,1

[그림 2-2] 사업계획 도출 방법 개념 도형=13,42,1

[그림 2-3] 한국 문화산업 상징공간 조성 사업의 다각적 의미=14,43,1

[그림 3-1] 빌바오 센터 미술관 전경=26,55,1

[그림 3-2] 내부전경=29,58,1

[그림 3-3] 외부에서 본 전경=30,59,1

[그림 3-4] 퐁피두 센터의 기능=42,71,1

[그림 3-5] 퐁피두 센터 전경=45,74,1

[그림 3-6] 센터 외관의 유리 통로=46,75,1

[그림 3-7] 도서관 전경=47,76,1

[그림 3-8] Icram 전경=48,77,1

[그림 3-9] 베를린 포츠담 광장의 소니센터=56,85,1

[그림 3-10] 소니 센터 시설 안내도=62,91,1

[그림 3-11] ZKM 전경=92,121,1

[그림 3-12] 미술관 전경=97,126,1

[그림 3-13] 링컨센터 안내도=111,140,1

[그림 3-14] 테이트 모던 전경=120,149,1

[그림 3-15] 테이트 모던 건물 전경=125,154,1

[그림 3-16] 터빈 홀(the Turbine Hall)=126,155,1

[그림 3-17] 밤에 본 테이트 모던 외관=127,156,1

[그림 3-18] 지브리 미술관 입구 전경=134,163,1

[그림 3-19] 전시실=134,163,1

[그림 3-20) 고양이 버스=135,164,1

[그림 3-21] 영상전시실=135,164,1

[그림 3-22] 스튜디오 실내 계단=136,165,1

[그림 3-23] 지브리 작품과 관련된 책을 파는 서점=136,165,1

[그림 3-24] 아이들과 만화 주인공들이 일렬로 행진하는 장면=143,172,1

[그림 3-25] 삼총사에 나오는 장면을 재현하고 있는 광경=143,172,1

[그림 3-26] 제우스 터널=144,173,1

[그림 3-27] Coudurix의 모습=144,173,1

[그림 3-28] 디즈니랜드 지도=146,175,1

[그림 3-29] 제임서 서미스슨(James Smithson):1765~1829=152,181,1

[그림 4-1] 한국적 문화산업 상징공간의 이미지(성격) 구상=159,188,1

[그림 4-2] 월드 디지털컬쳐 스튜디오(WDCS)의 기능과 구성 개념도=160,189,1

[그림 4-3] 디지털 콘텐츠 영역별 기능과 구성=161,190,1

[그림 4-4] 베네통 파브리카의 조직 구성과 역할=162,191,1

[그림 4-5] WDCS의 개별 공간별 기능 부여 방안(예시)=164,193,1

[그림 4-6] 통합 미디어 개념에 맞춘 WDCS의 포지셔닝=165,194,1

[그림 4-7] 시장의 허브 기능을 하도록 디자인된 WDCS=165,194,1

[그림 4-8]스타콘텐트의 변신과 확장(versioning 전략 예시)=166,195,1

[그림 4-9] WDCS가 출간할 디지털문화콘텐츠 트렌디북,미디어 MIX=167,196,1

[그림 4-10) 영국 세필드 문화산업특별구역 지도=169,198,1

[그림 4-11] 문화콘텐츠콤플렉스 사업대상지 (C3) 위치도=172,201,1

[그림 4-12] 사업부지 공동개발 배치도 (C-3 필지)=174,203,1

[그림 4-13] 문화콘텐츠콤플렉스 공간 배치(안)=179,208,1

[그림 4-14] 문화콘텐츠콤플렉스 조성사업 개발 개념도=180,209,1

[그림 4-15] 건축가 김석철 교수가 제안한 '황해안 도시공동체와 새만금 바다도시' 조감도=187,216,1

[그림 4-16] 문화콘텐츠산업의 미래 발전방향=198,227,1

[그림 4-17] CT 요소별 미래 트렌드=200,229,1

[그림 4-18] CT의 미래 진화 분야=201,230,1

이용현황보기

한국문화산업 상징 공간 조성 계획 : 문화와 첨단 기술(디지털, IT)이 결합하는 현장, 월드디지털컬쳐스튜디오(WDCS) 구상을 중심으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055392 727 ㅁ327ㅎ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