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목차=1,3,2

표목차=3,5,2

그림목차=5,7,1

I. 서론=1,8,1

1. 연구의 필요성=1,8,2

2. 연구목적=2,9,1

3. 연구방법론 및 체계=2,9,2

4. 선행연구=4,11,2

II. 북한 경제 및 농업 현황=6,13,1

1. 북한의 경제현황=6,13,15

2. 북한의 농업현황=21,28,7

III. 대북지원 현황 및 필요성=28,35,1

1.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 동향=28,35,9

2. 우리나라의 대북 지원 동향=37,44,3

3. 대북지원의 필요성=39,46,3

IV. 분석모형:동태 CGE모형=42,49,1

1. 분석모형의 특수성=42,49,1

2. 동태 CGE모형의 필요성=43,50,1

3. 동태 CGE모형=43,50,12

V . 분석자료 및 시나리오=55,62,1

1. 분석 자료=55,62,3

2. 시나리오 설계=57,64,4

VI. 대북 양곡지원 분석결과=61,68,1

1. 개도국 지위시 시장개방 및 대북지원의 효과=61,68,6

2. 선진국 지위시 시장개방 및 대북지원의 효과=66,73,6

3. 쌀 관세화유예 및 여타부문 시장개방시 대북지원의 효과=71,78,6

VII. 요약 및 결론=77,84,1

1. 요약=77,84,9

2. 정책함의=85,92,2

참고문헌=87,94,6

요약=93,100,9

표목차

[표 2-1] 북한의 주요 경제지표=7,14,1

[표 2-2] 남북한 국민소득 추이=9,16,1

[표 2-3] 북한의 주요 산업 성장율 추이=10,17,1

[표 2-4] 북한의 산업구조 추이=10,17,1

[표 2-5] 북한의 공업구조 추이=11,18,1

[표 2-6] 북한의 재정규모 추이=12,19,1

[표 2-7] 북한의 무역수지=13,20,1

[표 2-8] 북한의 수입상품별 추이=15,22,1

[표 2-9] 북한의 수출상품별 추이=16,23,1

[표 2-10] 북한의 상대국가별 무역비중 추이=17,24,1

[표 2-11] 북한의 대남 반입상품 구성=19,26,1

[표 2-12] 북한의 대남 반출상품 구성=20,27,1

[표 2-13] 남북한 농업현황 비교=21,28,1

[표 2-14] 북한의 식량수급 추이=24,31,1

[표 2-15] 북한의 가축 사육두수 증가 추이=26,33,1

[표 2-16] 북한의 육류 생산량=27,34,1

[표 3-1] 유엔합동호소에 의한 분야별 대북 지원 동향=29,36,1

[표 3-2] 유엔합동호소의 농업개발지원 규모=30,37,1

[표 3-3] 2003 유엔합동호소 추진 실적=31,38,1

[표 4-l] 동태 CGE모형의 분배모수=44,51,1

[표 4-2] 동태 CGE모형의 탄력성모수=45,52,1

[표 4-3] 동태 CGE모형의 가격변수=45,52,1

[표 4-4] 동태 CGE모형의 생산 및 여타변수=46,53,1

[표 5-1] 산업별 분류=56,63,1

[표 5-2] 국가별 분류=57,64,1

[표 5-3] 쌀 시장개방을 고려한 대북양곡 지원의 시나리오 설계=60,67,1

[표 6-1] 쌀 및 여타부문 시장개방시 대북지원의 거시경제 영향(개도국 지위)=62,69,1

[표 6-2] 쌀 및 여타부문 시장개방시 대북지원의 거시경제 순효과(개도국 지위)=64,71,1

[표 6-3] 쌀 및 여타부문 시장개방시 대북지원의 산업부문 영향(개도국 지위)=66,73,1

[표 6-4] 쌀 및 여타부문 시장개방시 대북지원의 거시경제 영향(선진국 지위)=68,75,1

[표 6-5] 쌀 및 여타부문 시장개방시 대북지원의 거시경제 순효과(선진국 지위)=69,76,1

[표 6-6] 쌀 및 여타부문 시장개방시 대북지원의 산업부문 영향(선진국 지위)=71,78,1

[표 6-7] 쌀 관세화유예 및 여타부문 시장개방시 대북지원의 거시경제 영향=73,80,1

[표 6-8] 쌀 관세화유예 및 여타부문 시장개방시 대북지원의 거시경제 순효과=74,81,1

[표 6-9] 쌀 관세화유예 및 여타부문 시장개방시 대북지원의 산업부문 영향=76,83,1

그림목차

[그림 2-1] 남북교역의 추이=18,25,1

[그림 4-1] 생산물 및 생산요소의 국제적 흐름=47,54,1

[그림 4-2] 동태 CGE모형의 생산구조=48,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