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차례=i,3,2

표차례=iii,5,2

그림차례=v,7,1

요약문=1,8,2

연구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김용수=3,10,1

Project Summary/KIM YONG SOO=4,11,3

제1장 서론=7,14,3

제2장 국내ㆍ외 연구동향 및 배경=10,17,1

1. 국내외 환경 및 연구동향=10,17,1

1.1 미국의 살균소독제 현황=11,18,4

1.2 유럽의 살균소독제 현황=14,21,2

1.3 국내 살균소독제 현황=15,22,2

2. 살균소독제 평가방법 연구동향=16,23,5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21,28,1

1. 연구추진전략=21,28,1

2. 연구내용 및 방법=22,29,1

2.1 미국ㆍ유럽의 살균소독제 관련규정 비교ㆍ검토=22,29,1

2.2 미국ㆍ유럽의 살균소독력 평가방법 비교ㆍ검토=22,29,1

2.3 국내 유통 살균소독제 대상 살균소독력 평가방법 적용=22,29,1

제4장 연구개발 수행 결과=23,30,1

1. 미국ㆍ유럽의 살균소독제 관련규정 조사=23,30,1

1.1 미국의 살균소독제 관련규정=23,30,4

1.2 유럽의 살균소독제 관련규정=27,34,3

2. 미국ㆍ유럽의 살균소독력 평가방법과 기준 비교ㆍ검토=29,36,1

2.1 미국의 살균소독력 평가방법과 기준=29,36,9

2.2 유럽의 살균소독력 평가방법과 기준=38,45,6

3. 국내 유통 살균소독제 대상 살균소독력 평가방법 적용=44,51,1

3.1 살균소독제 선정 및 시험방법 적용=44,51,2

3.2 살균소독력 시험방법=45,52,2

3.3 살균소독력 시험결과=47,54,31

4. 결론/제언=78,85,4

5. 국내 적용 살균소독력 시험방법 메뉴얼=82,89,1

A. 미국의 살균소독력 시험방법 I=82,89,21

B. 미국의 살균소독력 시험방법 II=103,110,19

C. 유럽의 살균소독력 시험방법 I=122,129,26

제5장 연구결과에 대한 기여도,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148,155,2

제6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150,157,1

제7장 기타 중요변경사항=151,158,1

제8장 참고문헌=152,159,9

부록=161,168,2

부록 1: AOAC Official Method 955.16 시험방법 번역본=163,170,9

부록 2: AOAC Official Method 960.09 시험방법 번역본=172,179,5

부록 3: CEN EN 1275 시험방법 번역본=177,184,18

부록 4: CEN EN 1276 시험방법 번역본=195,202,23

부록 5: CEN EN 13697 시험방법 번역본=218,225,23

부록 6: CEN EN 12353 시험방법 번역본=241,248,12

부록 7: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4-87호 한시적 기준 및 규격 인정기준 개정=253,260,31

연구과제 요약서=284,291,2

판권지=286,293,2

표목차

표 2-1 살균소독제 관련 국가별 관리동향=10,17,1

표 2-2 적용분야별 국내 관리유형 구분=15,22,1

표 2-3 살균소독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17,24,1

표 4-1 미국 항균제의 분류=24,31,1

표 4-2 미국 항균제의 표시와 기준=25,32,1

표 4-3 미국 EPA의 소독제 기술분야 지침서 목록=26,33,1

표 4-4 유럽의 Biocides 분류=29,36,1

표 4-5 OPPTS 시험지침=30,37,1

표 4-6 OPPTS 810 - 제품의 살균소독력 시험지침=31,38,1

표 4-7 AOAC 시험방법 - 페놀지수법=32,39,1

표 4-8 AOAC 시험방법 - 표면담체시험법=32,39,1

표 4-9 AOAC 시험방법 - 기타 시험법=33,40,1

표 4-10 미국의 공중보건용 제품의 살균소독력 시험방법과 기준=33,40,2

표 4-11 EPA의 항균제 시험방법과 절차=37,44,1

표 4-12 유럽 Biocides의 표시와 기준=39,46,1

표 4-13 유럽표준위원회의 살균소독력 시험방법=40,47,2

표 4-14 살균소독력 비교 대상 국내 살균소독제=44,51,1

표 4-15 국내 유통ㆍ판매 제품의 살균소독력 시험결과=47,54,1

표 4-16 P-1의 AOAC 960.09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50,57,1

표 4-17 P-1의 EN 1276에 의한 청정조건에서의 살균소독력 시험결과=51,58,1

표 4-18 P-1의 EN 1276에 의한 오염조건에서의 시험결과=52,59,1

표 4-19 P-2의 AOAC 960.09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53,60,1

표 4-2O P-2의 EN 1276에 의한 청정조건에서의 시험결과=54,61,1

표 4-21 P-2의 EN 1276에 의한 오염조건에서의 시험결과=55,62,1

표 4-22 P-3의 AOAC 960.09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56,63,1

표 4-23 P-3의 AOAC 955.16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57,64,1

표 4-24 P-3의 EN 1276에 의한 청정조건에서의 시험결과=58,65,1

표 4-25 P-3의 EN 1276에 의한 오염조건에서의 시험결과=59,66,1

표 4-26 P-4의 AOAC 960.09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60,67,1

표 4-27 P-4의 AOAC 955.16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61,68,1

표 4-28 P-4의 EN 1276에 의한 청정조건에서의 시험결과=62,69,1

표 4-29 P-4의 EN 1276에 의한 오염조건에서의 시험결과=63,70,1

표 4-30 P-5의 AOAC 960.09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64,71,1

표 4-31 P-5의 AOAC 955.16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65,72,1

표 4-32 P-5의 EN 1276에 의한 청정조건에서의 시험결과=66,73,1

표 4-33 P-5의 EN 1276에 의한 오염조건에서의 시험결과=67,74,1

표 4-34 P-6의 AOAC 960.09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68,75,1

표 4-35 P-6의 AOAC 955.16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69,76,1

표 4-36 P-6의 EN 1276에 의한 청정조건에서의 시험결과=70,77,1

표 4-37 P-6의 EN 1276에 의한 오염조건에서의 시험결과=71,78,1

표 4-38 P-7의 AOAC 960.09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72,79,1

표 4-39 P-7의 EN 1276에 의한 청정조건에서의 시험결과=73,80,1

표 4-40 P-7의 EN 1276에 의한 오염조건에서의 시험결과=74,81,1

표 4-41 P-8의 AOAC 960.09에 의한 살균소독력 시험결과=75,82,1

표 4-42 P48의 EN 1276에 의한 청정조건에서의 시험결과=76,83,1

표 4-43 P48의 EN 1276에 의한 오염조건에서의 시험결과=77,84,1

표 4-44 미국과 유럽의 살균소독제 시험방법 비교요약=79,86,1

그림목차

그림 2-1 미국의 살균소독제 관련규정 및 관리여건 변화=12,19,1

그림 2-2 살균소독제의 살균소독력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18,25,1

그림 3-1 연구추진전략=21,28,1

그림 4-1 AOAC 시험방법 - 희석법=35,42,1

그림 4-2 AOAC 시험방법 - 분사용제품 시험법=35,42,1

그림 4-3 AOAC 시험방법 - 살균세정작용 시험법=36,43,1

그림 4-4 AOAC 시험방법 - 유효염소 비교시험법=36,43,1

그림 4-5 CEN 시험방법 - Phase 1=42,49,1

그림 4-6 CEN 시험방법 - Phase 2 Step 1(희석중화법)=42,49,1

그림 4-7 CEN 시험방법 - Phase 2 Step 1(막여과법)=43,50,1

그림 4-8 CEN 시험방법 - Phase 2 Step 2=43,50,1

그림 4-9 시험절차 1 - AOAC Official Method 960.09=46,53,1

그림 4-10 시험절차 2 - AOAC Official Method 955.16=46,53,1

그림 4-11 시험절차 3 - CEN EN 1276=46,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