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0,3,3

제1부. DOP 취급사업장 실태조사=0,6,1

차례=i,7,1

표차례=ii,8,1

그림차례=iii,9,2

I. 서론=1,11,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1,11,3

2. 연구목적=4,14,1

II. 점성물질 취급공정 개요=5,15,1

1. 점성물질 DOP의 유해성=5,15,3

2. DOP 취급 공정 및 작업방법=8,18,1

가. 필름 제조업=8,18,4

나. PVC 가공업=12,22,3

III. 연구대상 및 방법=15,25,1

1. 대상=15,25,2

2. 방법=17,27,1

가. DOP 유통량 조사=17,27,1

나. 산업 환기시스템 실태조사=17,27,2

다. 총분진 농도 측정=18,28,2

라. DOP 농도 측정=19,29,2

IV. 결과 및 고찰=21,31,1

1. DOP 유통 현황=21,31,5

2. 산업환기시스템 운영 실태=26,36,8

3. 분진 농도=34,44,3

4. DOP 농도=37,47,5

5. 산업 환기 성능과 유해물질 농도=42,52,3

V. 결론=45,55,3

VI. 산업환기시스템 관리방안=48,58,13

제2부. 최적의 국소배기장치 개발=60-1,71,1

차례=i,72,2

표차례=iii,74,1

그림 차례=iv,75,4

I. 서론=61,79,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61,79,3

2. 연구 목적=63,81,1

가. DOP 발생 작업장 실태 조사=63,81,1

나. 효율적인 국소배기를 위한 환기 시스템 개발=64,82,1

3. 연구흐름도=64,82,2

II. 현장 실태조사=66,84,1

1. 대상=66,84,1

2. 방법=67,85,2

3. 결과=69,87,2

가. 후드 부분=71,89,14

나. 덕트 부분=85,103,2

다. 공기 정화기 부분 문제점=86,104,7

라. 송풍기 부분 문제점=92,110,2

4. 개선 방안=94,112,1

가. 후드 부분=94,112,2

나. 덕트 부분=95,113,2

다. 공기정화기 부분=96,114,1

라. 송풍기 부분=96,114,1

III. 후드 부분 개선방안=97,115,1

1. 후드 개선을 위한 연구진행 방법(다단슬롯형 이중 캐노피 후드 개발)=97,115,1

2. 캐노피 후드 DOP액 응축 원인=98,116,1

가. 후드 테이퍼에서 응축되는 경우=98,116,2

나. 덕트 입구에서 응축되는 경우=99,117,2

3. 다단슬롯형 이중 캐노피 후드 설계=101,119,2

4. CFD에 의한 효율 평가=103,121,1

가. CFD 방법=103,121,2

나. 보온성 및 기류흐름 평가=104,122,8

다. 설계인자 평가=112,130,4

5. 실험에 의한 효율 평가=116,134,1

가. 기류 흐름 평가=117,135,4

나. 액적 흐름 평가=121,139,3

6. 다단슬롯형 이중 캐노피 후드 설치 방법=124,142,2

IV. 덕트라인 개선방안=126,144,1

1. 덕트라인의 문제점=126,144,1

가. DOP액 퇴적=126,144,1

나. 청소 불가능=126,144,1

2. 개선방안=127,145,3

V. 공기정화기 부분 개선방안=130,148,1

1. 원심력 탈리 여과집진기 개요=130,148,1

가. 원심력 탈리 여과집진기의 원리=130,148,3

나. 원심력 공기정화장치의 장점=132,150,2

2. 필터 선정을 위한 예비 실험=134,152,1

가. 예비실험방법=134,152,5

나. 예비 실험 결과=138,156,2

다. 원심력 탈리 여과집진장치에 적합한 필터 선정=140,158,1

3. 연구방법=141,159,1

가. 필터 효율 실험=141,159,9

나. 탈수 및 내구성 시험=149,167,7

4. 실험 결과 및 고찰=156,174,1

가. 필터 선정 결과=156,174,13

나. 원심력 탈리 여과집진장치의 제작=169,187,2

5. 원심력 탈리 여과집진기 효율 평가 결과=171,189,2

VI. 결론=173,191,1

1. 현장 실태조사 결과=173,191,2

2. 점성물질 처리 국소배기장치제작=174,192,2

3. 원심력 탈리 여과집진장치 운전조건=176,194,4

판권지=180,198,1

표목차

(표2-1) DOP 허용기준=7,17,1

(표3-1) 조사대상 사업장 현황=15,25,1

(표3-2) DOP 관련 조사항목=17,27,1

(표3-3)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조건=20,30,1

(표4-1) 국내 DOP 생산량과 수출량=22,32,1

(표4-2) 국내 사용중인 DOP량=22,32,1

(표4-3) DOP 생산업체(5개소)의 납품업체 현황=25,35,1

(표4-4) 후드 설치현황=26,36,1

(표4-5) DOP 취급공정에 설치된 후드의 배기성능=29,39,1

(표4-6) 설치기간에 따른 배기성능=31,41,1

(표4-7) DOP 취급 공정별 총분진 발생량=36,46,1

(표4-8) DOP 취급공정의 공기 중 농도(ND제외)=38,48,1

(표4-9) DOP 취급공정의 공기 중 농도(ND포함)=40,50,1

(표4-10) 총분진, DOP 농도와 배기성능=42,52,1

(표 2-1) 현장 조사 일정=66,84,1

(표 2-2) 카렌다 공정에서 발생된 국소배기 시스템 문제점=70,88,1

(표 2-3) 후드 표면 DOP액 응축 원인=75,93,1

(표 2-4) 계절별 DOP증기의 특성=91,109,1

(표 2-5) 규조토 투입의 장단점=92,110,1

(표 2-6) 송풍기 유량 측정 결과=93,111,1

(표 3-1) 캐노피 후드 형태에 따른 배기 효율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조건=107,125,1

(표 5-1) 예비 실험결과=139,157,1

(표 5-2) 예비실험을 통해 선정된 필터 종류=140,158,1

(표 5-3) 측정 위치에 따른 농도 측정 결과 (mg/㎥)=146,164,1

(표 5-4) 오리피스 차압에 따른 필터 통과 유속 범위=148,166,1

(표 5-5) 필터 효율테스트 방법=149,167,1

(표 5-6) 탈수 실험 방법=151,169,1

(표 5-7) 내구성 실험 방법=152,170,1

(표 5-8) DOP Mist 제거 효율=158,176,1

(표 5-9) DOP액 탈수량 (g/㎡)=162,180,1

(표 5-10) 내구성 시험 결과=167,185,1

(표 6-1) 현장 실태조사 결과=174,192,1

(표 6-2) 점성물질 처리용 국소배기장치 각 시스템 특징=175,193,1

(표 6-3) 원심력 탈리 여과집진장치 운전조건=176,194,1

그림목차

(그림2-1) DOP의 구조식=6,16,1

(그림2-2) 필름 제조공정의 원료 계량작업=9,19,1

(그림2-3) 필름 제조공정의 혼합작업=10,20,1

(그림2-4) 필름 제조공정의 카렌더 작업=11,21,1

(그림2-5) PVC 사출원료 제조업의 배합작업=13,23,1

(그림2-6) PVC 사출원료 제조업의 사출작업=13,23,1

(그림2-7) PVC 성형작업=14,24,1

(그림3-1) 각 후드 종류별 기류 측정위치(ㆍ)=18,28,1

(그림4-1) 연도별 DOP 생산량과 소비량 추세=23,33,1

(그림4-2) DOP 생산업체(5개소)의 납품업체 분포도=25,35,1

(그림4-3) DOP액 누출 방지를 위해 변형한 후드=27,37,1

(그림4-4) 카렌더 공정 후드를 변형한 모습=28,38,1

(그림4-5) 닥트 외부로 유출된 DOP=30,40,1

(그림4-6) 닥트 내부에 고여진 DOP액=30,40,1

(그림4-7) 냉각 프리필터기 모습=33,43,1

(그림4-8) 전기집진기 전극 내에 점착된 DOP=33,43,1

(그림4-9) DOP 취급작업별 총분진 발생현황=36,46,1

(그림4-10) DOP에 대한 GC 크로마토그램=37,47,1

(그림4-11) DOP 측정 농도의 대수분포(ND제외)=39,49,1

(그림4-12) DOP 측정 농도의 대수분포(ND포함)=40,50,1

(그림4-13) DOP 취급공정의 농도분포=41,51,1

(그림6-1) 후드부위 자체검사 흐름도=52,62,1

(그림6-2) 닥트부위 자체검사 흐름도=53,63,1

(그림6-3) 공기정화장치 자체검사 흐름도=54,64,1

(그림6-4) 송풍기 및 모터부위 자체점사 흐름도=55,65,1

(그림 1-1) 연구흐름도=65,83,1

(그림 2-1) 현장 실태 조사 방법=67,85,1

(그림 2-2) 작업공정 파악=68,86,1

(그림 2-3) 발생특성 파악=68,86,1

(그림 2-4) 기류 및 제원 측정=68,86,1

(그림 2-5) 유량 측정=68,86,1

(그림 2-6) 덕트라인 파악=68,86,1

(그림 2-7) 송풍기 측정=68,86,1

(그림 2-8) 카렌다 공정 DOP증기 발생 모식도=71,89,1

(그림 2-9) 카렌다 공정 전경=72,90,1

(그림 2-10) 일반적인 캐노피 후드=72,90,1

(그림 2-11) 비닐 커튼을 설치한 캐노피 후드=72,90,1

(그길 2-12) 후드 표면에 응축되어 흘러내린 DOP액=73,91,1

(그림 2-13) 배기유량에 따른 후드 내부 기류흐름 및 DOP증기 응축 유무=76,94,1

(그림 2-14) 장비 재가동시 발생하는 DOP액의 흘러내림=77,95,1

(그림 2-15) 후드 표면과 DOP증기 온도차에 의한 DOP증기 응축=78,96,1

(그림 2-16) 후드와 덕트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DOP액의 응축=78,96,1

(그림 2-17) 후드 테이퍼 각 8(이미지참조)에 따른 DOP액의 흘러내림=79,97,1

(그림 2-18) 액받이 설치된 후드=80,98,1

(그림 2-19) 이중 캐노피 후드 개략도=81,99,1

(그림 2-20) 이중 캐노피 후드 모습=82,100,1

(그림 2-21) 상부 배기구 모습=82,100,1

(그림 2-22) 하부 배기구 모습 (slot형)=82,100,1

(그림 2-23) 다단 슬롯형 캐노피 후드=83,101,1

(그림 2-24) 다단 슬롯형 캐노피 후드=84,102,1

(그림 2-25) 후드내부에 설치된 그릴 모습=84,102,1

(그림 2-26) 덕트 외부로 유출된 DOP액=85,103,1

(그림 2-27) 덕트 내부에 DOP액 퇴적=86,104,1

(그림 2-28) 전기집진기의 단점=87,105,1

(그림 2-29) 오염된 집진극과 전처리 필터=87,105,1

(그림 2-30) 백필터의 제진 특성=88,106,1

(그림 2-31) 현장에 설치된 DOP 제어용 필터=89,107,1

(그림 2-32) 백필터 전단에 설치된 열교환기=90,108,1

(그림 2-33) 규조토를 이용한 DOP액 제거 방법=92,110,1

(그림 2-34) 송풍기 주변에 퇴적된 DOP액=93,111,1

(그림 2-35) 국소배기 시스템 문제점 및 개선방안=94,112,1

(그림 2-36) 점착성 물질 후드 구상도=95,113,1

(그림 2-37) 덕트를 경사지게 설치=95,113,1

(그림 2-38) 송풍기 성능 향상 방안=96,114,1

(그림 3-1) 후드 개선을 위한 연구진행 방법=97,115,1

(그림 3-2) 테이퍼 각에 따른 DOP액의 흘러내림=99,117,1

(그림 3-3) 덕트 내부에서 DOP증기의 응축현상=100,118,1

(그림 3-4)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후드 형태 및 문제점=102,120,1

(그림 3-5) 다단슬롯형 이중 캐노피 후드=102,120,1

(그림 3-6)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델 규격=105,123,1

(그림 3-7) 시뮬레이션을 위한 제어체적=106,124,2

(그림 3-8) 캐노피 후드 형태별 온도분포 예측결과=109,127,1

(그림 3-9) 캐노피 후드 형태별 유속분포 예측결과=110,128,2

(그림 3-10) 시뮬레이션을 위한 제어체적=113,131,1

(그림 3-11) 후드 형태별 캐노피 후드 압력분포 예측결과=114,132,1

(그림 3-12) 실험에 이용된 후드 치수 및 실제모형=116,134,1

(그림 3-13) 연기 발생기=117,135,1

(그림 3-14) 실험 장치 모습=118,136,1

(그림 3-15) 각 후드별 기류 흐름 비교=120,138,1

(그림 3-16) 일반캐노피후드 표면의 액적 형성 모습=122,140,1

(그림 3-17) 다단 슬롯형 이중 캐노피 후드 표면의 액적 형성 모습=123,141,1

(그림 3-18) 공간적인 상황에 따른 설치 방법=124,142,1

(그림 3-19) 후드 내부 루버 설치 조건=125,143,1

(그림 3-20) 다단 슬롯형 이중 캐노피 후드=125,143,1

(그림 4-1) DOP 증기의 퇴적과정=126,144,1

(그림 4-2) 개선안에 따른 덕트 설치 형태=127,145,1

(그림 4-3) 경화된 에칭액에 의해 막힌 필터=128,146,1

(그림 4-4) 에칭 공장에 설치된 에칭액 배출구=129,147,1

(그림 5-1) 원심력 탈리 여과집진장치의 원리=132,150,1

(그림 5-2) 필터 재생에 의한 교체주기 증가=133,151,1

(그림 5-3) 예비 실험 장치=135,153,1

(그림 5-4) 전처리용 필터 선정 실험 장치 개괄도=136,154,1

(그림 5-5) Main 필터 선정 실험 장치 개괄도=137,155,1

(그림 5-6) 후처리용 필터 선정 실험 장치 개괄도=138,156,1

(그림 5-7) 예비실험 결과 선정된 필터=139,157,1

(그림 5-8) 원심력 탈리 여과집진장치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141,159,1

(그림 5-9) 필터 효율 테스트 장치 계략도=142,160,1

(그림 5-10) 필터 효율 테스트 장치=142,160,1

(그림 5-11) DOP 발생부=143,161,1

(그림 5-12) DOP 발생 모습=143,161,1

(그림 5-13) ASHRAE 필터 측정 시스템=144,162,1

(그림 5-14) Mist 측정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PVC 필터의 직렬 연결=145,163,1

(그림 5-15) 중량법 / 등속 흡인을 위한 도구=146,164,1

(그림 5-16) 필터면에서의 측정 위치=147,165,1

(그림 5-17) 오리피스에 따른 측정유속범위=148,166,1

(그림 5-18) 탈수 시험 및 내구성 시험 장치 계략도=150,168,1

(그림 5-19)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3000H, HITACHI)=153,171,1

(그림 5-20) Tensile Strength Tester, DTU-900MH A (Daekyung Tech)=154,172,1

(그림 5-21) Air Permeability Tester, Textest FX 3300, Textest. AG=155,173,1

(그림 5-22) 필터별 Mist 제어 효율=159,177,1

(그림 5-23) 필터별 필터 통과 유속에 따른 압력손실=160,178,1

(그림 5-24) 회전수에 따른 DOP액의 탈수량=162,180,1

(그림 5-25) 필터 사진 (a, b, c 국산, d, e, f 수입산)=164,182,1

(그림 5-26) 인장강도 및 신율 테스트 결과=168,186,1

(그림 5-27) 통기도 테스트 결과=168,186,1

(그림 5-28) 원심력 공기 정화 장치 계략도=170,188,1

(그림 5-29) 제작 완료된 원심력 공기정화 장치=170,188,1

(그림 6-1) 점성물질 처리를 위한 국소배기시스템 전체모습=175,193,1

60-1,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