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요약문=2,3,4

SUMMARY(영문요약문)=6,7,2

CONTENTS(영문목차)=8,9,2

목차=10,11,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2,13,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4,15,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6,17,1

제1절 이론적 배경=16,17,1

제1항 안정성 질소동위원소의 자연존재비=16,17,2

제2항 안정성 질소동위원소비의 이용=17,18,2

제2절 연구 목표와 내용=19,20,3

제3절 작물 재배 시험=21,22,1

제1항 연구 방법=21,22,2

제2항 배추의 건중량 및 질소 흡수량=22,23,3

제3항 질소질 비료의 종류에 따른 배추의 질소 동위원소비의 값 변화=24,25,2

제4항 화학비료와 퇴비의 시용량에 따른 배추의 질소 동위원소비의 변화=26,27,1

제5항 질소질 비료의 시비방법 및 시비시기에 따른 질소 동위원소비의 변이=27,28,2

제6항 질소질 비료의 시비에 따른 배추 부위별 질소 동위원소비의 변이=29,30,5

제7항 질소질 비료의 처리에 따른 토양 무기태질소의 동위원소비 변이=34,35,3

제8항 결론=37,38,1

제4절 현지 포장 조사=38,39,1

제1항 서론=38,39,2

제2항 재료 및 방법=39,40,2

제3항 결과=40,41,8

제5절 항온 배양 실험=48,49,1

제1항 서언=48,49,1

제2항 실험방법=48,49,2

제3항 실험 결과=49,50,4

제6절 유통 농산물 조사=52,53,2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54,55,1

제1절 1차년도 연구목표 달성도=54,55,1

제1항 화학비료와 퇴비 시용에 따른 작물체의 δ15N(이미지참조) 값 차이 구명=54,55,1

제2항 최종 수확 작물체 부위별 δ15N(이미지참조) 값 변화 양상 차이를 이용한 유기 농산물 판별 기술=54,55,2

제3항 작물체 δ15N(이미지참조) 값의 경시적 변화 경향을 이용한 유기농산물 판별 기술=55,56,1

제4항 유기농 및 관행농경지 토양 질소의 δ15N(이미지참조) 값 차이 구명=55,56,1

제2절 2차년도 연구목표 달성도=56,57,1

제1항 작물체 δ15N(이미지참조) 값의 변화에 대한 영향 인자를 고려한 유기농산물 판별법 정립=56,57,1

제2항 토양질소의 δ15N(이미지참조) 값의 변화에 대한 영향 인자를 고려한 유기 농산물 판별법 정립=56,57,1

제3항 유통 농산물을 대상으로 한 δ15N(이미지참조) 방법의 적용 및 평가=57,58,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58,59,1

제1절 추가연구의 필요성=58,59,1

제2절 타 연구에의 응용=58,59,2

제3절 기업화 추진 방안=59,60,1

제6장 참고문헌=60,61,18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8

CONTENTS=8,9,4

Chapter 1. Introduction=12,13,2

Chapter 2. Present situation In development of δ15N(see the image) technique=14,15,2

Chapter 3. Contents of study=16,17,1

Section 1. Theoretical background=16,17,1

1. Natural δ15N(see the image) abundance=16,17,2

2. Use of natural δ15N(see the image) abundance=17,18,2

Section 2. Objectives and scope=19,20,3

Section 3. Pot experiments=21,22,1

1. Methods=21,22,2

2. Biomass production and N uptake of Chinese cabbage=22,23,3

3. Chinese cabbage δ15N(see the image) with N sources=24,25,2

4. Chinese cabbage δ15N(see the image) with N application rate=26,27,1

5. Chinese cabbage δ15N(see the image) with timing of N application=27,28,2

6. Intra-plant variations in cabbage δ15N(see the image) with N application=29,30,5

7. δ15N(see the image) of inorganic soil-N with N application=34,35,3

8. Conclusions=37,38,1

Section 4. Field survey of organic versus conventional uplands=38,39,1

1. Introduction=38,39,2

2. Methods=39,40,2

3. Results=40,41,8

Section 5. Incubation study=48,49,1

1. Introduction=48,49,1

2. Methods=48,49,2

3. Results=49,50,4

Section 6. Analysis of organic produce in markets=52,53,2

Chapter 4. Degree of accomplishment of objectives and contribution to related field=54,55,1

Section 1. Degree of accomplishment of objectives in first year=54,55,1

1. Difference in plant δ15N(see the image) with N application=54,55,1

2. Use of intra-plant variation in δ15N(see the image) to certificate organic produce=54,55,2

3. Use of temporal variation in δ15N(see the image) to certificate organic produce=55,56,1

4. Difference in plant δ15N(see the image) with N application=55,56,1

Section 2. Degree of accomplishment of objectives in second year=56,57,1

1. Establishment of plant δ15N(see the image) technique to certificate organic produce as considering the effect factors=56,57,1

2. Establishment of soil δ15N(see the image) technique to certificate organic produce as considering the effect factors=56,57,1

3.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δ15N(see the image) technique by analysis of organic produce in markets=57,58,1

Chapter 5. Scheme for application of δ15N(see the image) technique=58,59,1

Section 1. Needs for further study=58,59,1

Section 2. Applications to other study=58,59,2

Section 3.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s=59,60,1

Chapter 6. Reference=60,6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