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목차=0,3,1

표차례=0,4,1

그림차례=0,4,1

1. 서론=1,5,1

1.1. 연구 내용=1,5,2

1.2. 연구 방법=2,6,1

2. 강화 본도와 석모도 주변의 갯벌발달 현황=3,7,1

2.1. 경기만의 갯벌 현황=3,7,2

2.2. 인천 연안 갯벌의 지질학적 특성=4,8,2

2.3. 강화도와 주변 섬의 갯벌에 서식하는 해산 동·식물의 일반적 특징=5,9,4

2.4. 강화도 주변 도서별 갯벌 생물상의 특성=8,12,1

2.4.1. 강화도=9,13,1

(1) 지형과 갯벌 개요=9,13,6

(2) 생물상=14,18,1

1) 어류 및 저서 생물상=14,18,2

2) 염생식물=15,19,2

3) 강화도 남단의 대형 저서동물=16,20,5

2.4.2. 교동도=21,25,1

(1) 지형과 갯벌 개요=21,25,1

(2) 생물상=21,25,1

2.4.3. 석모도=21,25,1

(1) 지형과 갯벌 개요=21,25,2

(2) 생물상=23,27,1

2.4.4. 서검도=24,28,1

(1) 지형과 갯벌 개요=24,28,1

(2) 생물상=24,28,1

2.4.5. 주문도=24,28,1

(1) 지형과 갯벌 개요=24,28,2

(2) 생물상=25,29,1

2.4.6. 볼음도=25,29,1

(1) 지형과 갯벌 개요=25,29,1

(2) 생물상=26,30,1

3. 조류=26,30,1

3.1. 조사목적=26,30,1

3.2. 조사내용 및 방법=27,31,1

3.2.1. 석모도 및 교동도 조사:배를 이용, 갯벌 주위의 조류상 조사 (S1 - S6)=27,31,1

3.2.2. 장화리, 여차리 조사:차량으로 포인트 이동 조류상 조사 (G1, K1)=27,31,1

3.3. 천연기념물 제205호 저어세의 생육 실태=28,32,1

3.3.1. 천연기념물 제149호로 지정된 저어새 번식지 및 강화갯벌에 대한 기존 자료=28,32,2

3.3.2. 2002년 7월 현지 조사 결과=30,34,5

3.3.3. 저어새 보전을 위한 국제 동향=35,39,2

3.4. 현장 조사 소견=36,40,2

4. 종합 결론=38,42,2

5. 참고문헌=40,44,3

표목차

표 1. 강화도와 주변 섬의 갯벌 면적=5,9,1

표 2. 강화도와 주변 섬의 갯벌에 서식하는 주요 생물종과 서식환경 특징=7,11,1

표 3. 저어새, 노랑부리저어새, 노랑부리백로, 두루미의 관찰 기록=29,33,1

표 4. 강화도 천연기념물 목록=29,33,1

표 5. 사업기간 내 관찰된 조류 목록=33,37,1

그림목차

그림 1. 경기만의 갯벌 분포 현황=3,7,1

그림 2. 천연기념물 제 419호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8,12,1

그림 3. 강화 본도 장화리의 주로 갈대밭으로 구성된 염습지 식생=19,23,1

그림 4. 강화 본도 여차리 주변 양식장=19,23,1

그림 5. 강화 본도 여차리 주변 대하 양식장=20,24,1

그림 6. 석모도 북동부 주변 건간망=22,26,1

그림 7. 석모도 북부 지역 암초지대=22,26,1

그림 8. 석모도 북부 지역 대상구조=23,27,1

그림 9. 석모도 서북지역 염습지=23,27,1

그림 10. 석모도 및 교동도 인근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현황경로=27,31,1

그림 11. 강화도 남단인 여차리, 장화리의 갯벌 및 저어새 번식 현황 조사지역=27,31,1

그림 12. 장화리 해양탐구학교 앞 갯벌(G1)=32,36,1

그림 13. 강화도 여차리(K1)-저어새 무리 P1=34,38,1

그림 14. 저어새의 휴식 및 채식행동이 관찰된 여차리의 양식장 모습=34,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