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서문/서삼영=0,2,1

제출문=0,3,1

요약문=i,4,4

EXECUTIVE SUMMARY=v,8,2

CONTENTS=vii,10,2

목차=ix,12,3

표목차=xii,15,2

그림목차=xiv,17,1

약어=xv,18,1

제1장 머리말=1,19,1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1,19,1

제2절 연구 내용 및 범위=2,20,1

1. 연구 내용=2,20,2

2. 연구 범위=4,22,2

제2장 전자정부 성과관리 이론 및 접근방법=6,24,1

제1절 정책평가와 성과관리의 관계=6,24,1

1. 정책, 성과관리 및 평가의 단계별 활동=6,24,3

2. 평가지표와 내용=8,26,3

제2절 접근 방법 및 분석 틀=11,29,2

제3장 전자정부의 성과관리 주요모형=13,31,1

제1절 주요 성과관리 모형=13,31,1

1. 전략계획:SWOT 분석=13,31,2

2. 핵심성공요인론(CSF)=15,33,2

3. 경제성평가모형(ROI)=17,35,2

4. 균형성과표모형(BSC)=19,37,3

5. 가치측정모형(VMM)=22,40,2

6. 미국의 품질평가모형(NQA)=24,42,1

7. 유럽품질평가모형(EQA)=25,43,3

8. 성과관리모형의 비교=28,46,2

제2절 프로젝트 관리모형=30,48,1

1. 프로젝트관리의 중요성=30,48,1

2. PMBOK 모형=30,48,2

3. PRINCE2 모형=31,49,4

4. 한국전산원의 감리모형=34,52,1

제3절 이론모형의 함의=34,52,2

제4장 주요국 전자정부 성과관리 벤치마킹=36,54,1

제1절 미국의 전자정부 성과관리=36,54,1

1. 성과관리의 역사=36,54,3

2. 성과관리 기본체계:GPRA, ITMRA 및 PART=39,57,14

3. 전자정부 의제의 성과관리=52,70,12

4. 기타 전자정부 성과관리=63,81,8

5. 미국 성과관리 시스템의 종합=71,89,5

제2절 영국의 전자정부 성과관리=76,94,1

1. 성과관리의 등장 배경=76,94,3

2. 정책평가 내용 및 방법=78,96,4

3. 주요 사업의 성과평가 사례분석=82,100,1

4. 영국 성과관리 시스템의 종합=82,100,2

제3절 호주의 전자정부 성과관리=84,102,1

1. 성과관리 활동체계=84,102,1

2. 전자정부 성과평가의 틀=84,102,3

제4절 한국의 전자정부 성과관리=87,105,1

1. 기본적인 평가체계=87,105,4

2. 국가정보화평가=90,108,2

제5장 전자정부의 성과 결정요인 분석=92,110,1

제1절 전자정부사업의 특성과 평가의 난점=92,110,2

제2절 전자정부의 장애요인=94,112,1

1. OECD의 전자정부 장애요인 분석=94,112,2

2. 미국의 전자정부 장애요인 분석=95,113,4

3. 미국 관리예산처의 정보화 장애요인 분석=98,116,3

제3절 전자정부의 성공요인=101,119,1

1. OECD의 성공요인 분석=101,119,2

2. 미국 회계감사원(GAO)의 성공요인 분석=103,121,2

3. 전자정부 성공/실패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105,123,8

제6장 한국의 전자정부사업 분석=113,131,1

제1절 김대중정부의 전자정부사업=113,131,1

1. 전자정부 사업 배경=113,131,1

2. 11대 과제의 주요내용=113,131,4

제2절 노무현정부의 전자정부사업=117,135,1

1. 제1기 전자정부 로드맵=117,135,6

2. 제2기 전자정부 로드맵=123,141,2

제7장 전자정부사업의 성과관리모형 개발=125,143,1

제1절 전자정부 성과관리모형 개발=125,143,1

1. 성과관리의 기본절차=125,143,2

2. 성과관리 주기별 활동=127,145,1

제2절 전자정부 로드맵 진도점검전략=128,146,1

1. 진도점검 기본체계=128,146,1

2. 진도점검 주요내용 I:외부 환경관리=129,147,3

3. 진도점검 주요내웅 II:내부 환경관리(프로젝트 관리)=132,150,3

4. 진도점검 방법=134,152,4

제3절 전자정부 로드맵 성과평가전략=138,156,1

1. 성과평가 기본체계=138,156,2

2. 성과평가 주요내용=139,157,22

3. 성과평가 방법=161,179,4

제8장 성과관리 추진체계 분석=165,183,1

제1절 전자정부특별위원회의 성과관리 체계=165,183,1

1. 전자정부특별위원회의 출범 배경=165,183,1

2. 전자정부특별위원회의 운영=165,183,2

3. 전자정부특별위원회의 성과관리=166,184,2

제2절 전자정부전문위원회의 성과관리 체계=168,186,1

1. 전자정부전문위원회의 출범 배경=168,186,1

2. 전자정부전문위원회의 운영=168,186,2

3. 전자정부전문위원회의 성과관리=169,187,1

제3절 향후 방향=170,188,1

1. 성과계약제도입 필요성=170,188,1

2, 성과계약 추진체계=170,188,3

3. 전자정부전문위원회의 업무체계=173,191,2

제9장 결론 및 제안=175,193,2

참고문헌=177,195,4

판권지=181,199,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9

CONTENTS=vii,10,9

Chapter 1. Introduction=1,19,1

Section 1. Research Objectives=1,19,1

Section 2. Research Contents and Scope=2,20,4

Chapter 2. Methodologies of e-Government Performance Management=6,24,1

Section 1.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nd Performance Management=6,24,5

Section 2. Approaches and Analytical Framework=11,29,2

Chapter 3. Main Models of e-Government Performance Management=13,31,1

Section 1. Main Models=13,31,17

Section 2. Project Management Models=30,48,5

Section 3. Implications of Models=34,52,2

Chapter 4. Benchmarking Advanced Countries=36,54,1

Section 1. United States=36,54,40

Section 2. United Kingdom=76,94,8

Section 3. Australia=84,102,3

Section 4. Korea=87,105,5

Chapter 5. Analysis of e-Government Performance Determinants=92,110,1

Section 1.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of e-Government Evaluation=92,110,2

Section 2. Barriers and Challenges of e-Government=94,112,7

Section 3. Success Factors of e-Government=101,119,12

Chapter 6. Analysis of e-Government in Korea=113,131,1

Section 1. e-Government in Kim Dae-3ung Administration=113,131,4

Section 2. e-Government in Roh Moo-hyun Administration=117,135,8

Chapter 7. Development of Performance Management Model=125,143,1

Section 1. Developing the Model=125,143,3

Section 2. Strategles of Progress Monitoring=128,146,10

Section 3. Strategies of Performance Evaluation=138,156,27

Chapter 8. Analysis of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165,183,1

Section 1. Kim Dae-jung Administration=165,183,3

Section 2. Rho Moo-hyun Administration=168,186,2

Section 3. Future Directions=170,188,5

Chapter 9. Conclusion and Suggestions=175,193,6

copyright=181,199,1

표목차

[표 1-1] 로드맵 과제의 점검 및 평가체계=5,23,1

[표 2-1] 정책 및 평가 프로세스별 확인사항 개요=9,27,1

[표 3-1] 전략기획(SWOT)의 8단계 프로세스=14,32,1

[표 3-2] 전자정부의 경제성평가 방법론=18,36,1

[표 3-3] BSC 모형의 전자정부성과 지표 예시=21,39,1

[표 3-4] VMM에 따른 가치, 위험, 비용 구조의 요소=23,41,1

[표 3-5] 미국의 품질평가지표=27,45,1

[표 3-6] 성과관리 모형들의 핵심관점 요약=29,47,1

[표 3-7] PMBOK의 수명주기별 프로젝트관리모형=31,49,1

[표 3-8] PRINCE2의 구성요소=33,51,1

[표 4-1] GPRA의 전략계획, 연간성과계획, 연간성과보고의 주요내용=43,61,1

[표 4-2] PART의 평가 부문 및 대상=46,64,1

[표 4-3] PART의 평가부문 및 질문항목=47,65,1

[표 4-4] PART의 사업목적 및 설계 영역 평가표=48,66,1

[표 4-5] PART 권고에 따른 후속 템플릿 작성법=50,68,1

[표 4-6] 25개 전자정부사업의 유형별 성과목표=54,72,1

[표 4-7] 전자정부 2003/2004 마일스톤=57,75,1

[표 4-8] 전자정부 과제의 점검표(2개 과제)=58,76,1

[표 4-9] 현황 및 진도 점수의 평정 등급=60,78,1

[표 4-10] OMB의 기관별 국정의제 평가표=60,78,1

[표 4-11] GAO의 전자정부사업 점검평가 보고서 양식=62,80,1

[표 4-12] 25개 전자정부에 대한 GAO의 중간평가 결과=63,81,1

[표 4-13] PRM의 평가지표(예시)=69,87,1

[표 4-14] 전자정부 성과관리측정모형(IAB/FGIPC)=70,88,1

[표 4-15] 성과참조모형(PRM)과 관련된 법령 및 평가시스템=72,90,1

[표 4-16] 예산, GPRA, PART, FEA 등 성과평가체계의 상호 연계성=74,92,1

[표 4-17] 정책목표의 계량화 조건(SMART)=80,98,1

[표 4-18] 영국의 전자정부사업 편익비용분석 틀=83,101,1

[표 4-19] 호주의 전자정부 성과평가의 강조점=85,103,1

[표 4-20] 호주 전자정부의 재무·경제·사회적 편익의 구성요소 모형=86,104,1

[표 4-21] GPRA, 평가기본법, 인적자원개발기본법의 비교 분석=89,107,1

[표 4-22] 주요정책평가의 기준과 평가착안사항=90,108,1

[표 4-23] 2004년도 국가정보화사업 평가지표 체계=91,109,1

[표 5-1] 전자정부 평가의 장애요인=93,111,1

[표 5-2] 전통적 예산과 전자정부 투자예산의 편성방법=94,112,1

[표 5-3] 전자정부의 장애요인과 극복방안=96,114,1

[표 5-4] 미국의 전자정부사업에 대한 도전요소=98,116,1

[표 5-5] 미국 관리예산처(OMB)의 전자정부 위험요소=100,118,1

[표 5-6] OECD의 전자정부 점검항목=102,120,1

[표 5-7] 전자정부의 성공/실패요인=111,129,1

[표 5-8] 주요 연구에서 도출된 핵심성공요인(CSF)=112,130,1

[표 6-1] 전자정부특별위원회의 11대 전자정부사업=115,133,1

[표 6-2] 참여정부 전자정부 로드맵의 비전과 성과목표=118,136,1

[표 6-3] 참여정부 전자정부과제=120,138,2

[표 6-4] 전자정부 로드맵 세부추진계획의 주요내용=122,140,1

[표 6-5] 31대 과제의 추진현황(2004년 11월 현재)=124,142,1

[표 7-1] 성과 점검 및 평가 주기=127,145,1

[표 7-2] 31대 로드맵의 점검관리 I:외부 환경 관리=131,149,1

[표 7-3] 31대 로드맵의 공통 점검관리 II:내부 환경 관리=132,150,1

[표 7-4] 로드맵 과제의 점검 주기별 내용 및 주체=135,153,1

[표 7-5] 성과평가 지표체계=138,156,1

[표 7-6] 31대 과제의 공통 성과평가 지표=141,159,1

[표 7-7] 로드맵 과제의 평가 주기별 내용 및 주체=161,179,1

[표 8-1] 전자정부특별위원회와 전자정부전문위원회의 비교=167,185,1

[표 8-2] 전자정부위원회의 성과관리 업무분담=173,191,1

그림목차

[그림 2-1] 성과관리주기와 지표체계=10,28,1

[그림 2-2] 전자정부 성과관리모형의 도출과정=12,30,1

[그림 3-1] CSF의 일반적 절차=16,34,1

[그림 3-2] 공공부문의 BSC모형=20,38,1

[그림 3-3] 미국의 품질평가모형=26,44,1

[그림 3-4] 영국의 업무수월성모형=26,44,1

[그림 4-1] 미국 연방정부의 전자정부 성과관리제도=38,56,1

[그림 4-2] 전자정부사업에 대한 기관관리평가(EBMS)=55,73,1

[그림 4-3] PRM 평가영역 간 가시경로에 따른 인과관계=68,86,1

[그림 7-1] 전자정부 로드맵의 성과관리 기본 절차=126,144,1

[그림 8-1] 성과관리 기본체계=172,190,1

[그림 8-2] 전자정부위원회의 성과관리체계=174,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