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2
요약문=3,4,10
Summary=13,14,6
CONTENT=19,20,2
목차=21,22,8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29,30,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29,30,1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29,30,1
1. 기술적 측면=29,30,2
2. 경제ㆍ산업적 측면=30,31,1
3. 사회ㆍ문화적 측면=30,31,1
4. 병리학적 측면=30,31,2
제3절 연구개발범위=31,32,1
1. 간암억제효과와 철흡수효과를 갖는 채소추출물의 선발과 식이섬유의 종류별 함량조사=31,32,2
2. 간암억제효과와 철흡수기능을 갖는 채소분획물제조 및 식이섬유의 추출정제 조건=32,33,2
3. 간암억제효과 및 철흡수기능을 갖는 농축물의 식품에 대한 응용성 및 식이섬유의 특성과 그 응용기술=33,34,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34,35,1
제1절 배추, 무의 재배현황=34,35,1
제2절 배추와 무에 대한 국내 연구 현황=34,35,2
제3절 국외 연구현황=35,36,3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38,39,1
제1절 실험재료 및 방법=38,39,1
1. 재료=38,39,1
2. 시약=38,39,1
3. 양품과 부산물의 분리=38,39,1
4. 일반성분의 분석=38,39,1
5. Glucose, fructose, sucrose의 분석=38,39,2
6. 미량금속의 분석=39,40,1
7. 보수력 측정=39,40,1
8. 항산화력 측정=39,40,1
9. 비중과 점도의 측정=39,40,2
10. 빈혈의 발생과 헤모글로빈 함량=40,41,1
11. 식이섬유의 분석=40,41,1
12. 알콜불용성 물질의 분리=40,41,2
13. Galactouronic acid 과 환원당 분석=41,42,1
14. 채소추출물의 제조와 분획=41,42,1
15. 채소농축물중의 phenolic acid의 분석=41,42,2
16. 채소농축물중의 indol-3-carbinol, S-methylmethanesulfonate, sulforaphene의 분석=42,43,2
17. 간암유도 모델설정=43,44,1
18. 실험동물 희생 및 시료 수집=43,44,2
19. 조직병리학적 측정 : H&I 염=44,45,1
20. 조직병리학적 측정 : GST-P+ foci=44,45,1
21. 조직병리학적 측정 : 혈백 생화학적 분석=44,45,1
22. 채소추출물(배추)에서 분리된 분획물의 간암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분석을 위한 간암의 발생=44,45,2
23. 채소분획물의 간암억제의 조사=45,46,1
24. 실험동물에 대한 유효농도 결정시험을 위한 간암유도=45,46,1
25. 채소농축물이 실험동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혈청학적, 병리조직학적 분석=45,46,2
26. 음료에 대한 채소농축물의 응용시험과 관능검사=46,47,1
27. 과일음료, 우유,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혼합시험과 관능검사=46,47,2
28. 식빵의 제조와 부피측정, 관능검사=47,48,2
29. 백설기떡의 제조와 관능검사=48,49,1
제2절 결과 및 고찰=48,49,1
1. 국내채소의 수집과 양품 및 부산물의 특성비교=48,49,1
가. 국산 십자화과 채소의 양품 및 부산물의 수집=48,49,2
나. 양품 및 부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49,50,1
(1) 양품과 부산물의 분리=49,50,1
(2) 양품과 부산물의 일반성분=49,50,2
(3) 채소중의 유리당(glucose, fructose, sucrose) 함량=50,51,2
(4) 채소중 미량금속 - 철(Fe), 칼슘(Ca), 아연(Zn) 함량=51,52,3
(5) 보수력=53,54,1
(6) 항산화능력=54,55,1
(7) 에탄올에 의한 추출물 제조=54,55,2
2. 채소추출물의 실험동물에 대한 간암억제효과조사=55,56,1
가. 십자화과 채소추출물(양품)의 간암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억제효과=55,56,1
(1) 발암물질 투여 및 채소추출물의 투여가 실험동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55,56,2
(2) 발암물질투여 및 채소 추출물의 투여가 실험동물의 간 중량에 미치는 영향=56,57,1
(3) 채소 추출물의 투여가 전암성 병변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56,57,2
나. 십자화과 채소추출물(부산물)의 간암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억제효과=57,58,2
(1) 채소 추출물(부산물)의 투여가 전암성 병변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58,59,2
(2) 채소 추출물의 혈액 생화학적 억제효능=59,60,2
3. 선발된 채소추출물에서 유효성분의 분획법=60,61,1
가. 선발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의 분획물 제조=60,61,1
(1) 선발 추출물로부터 농축물 제조=60,61,1
(2) 배추농축물에서 hexane, chloroform, 증류수에 의한 분획=61,62,1
(3) 배추농축물의 ethanol 농도에 따른 분획=61,62,2
(4) 배추농축물의 hexane, butanol, 증류수에 의한 분획=62,63,1
나. 선발 추출물의 분획에 따른 화학적 성분 조사=62,63,2
다. 배추, 양배추, 무, 무청의 농축물에서 유효성분의 분석=63,64,1
(1) 배추농축물 중 당성분(glucose, fructose, sucrose)의 함량=63,64,2
(2) 배추, 양배추, 무, 무청의 농축물중에서 Phenolic acid 함량=64,65,4
(3) 배추, 양배추, 무, 무청의 농축물에서 indol-3-carbinol, S-methylmethane-thiosulfonate, sulforaphene의 추적=68,69,3
4. 채소추출물에서 분리한 분획물의 간암억제효과=71,72,1
가 .채소추출물에서 분리된 1차분획물의 간암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억제효과=71,72,2
나. 채소추출물에서 분리된 2차분획물의 간암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억제효과=72,73,1
(1) 2차 분획물의 간암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억제효과=72,73,1
(2) 분획방법에 따른 분획물 투여가 전암성 병변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72,73,3
5. 채소농축물의 실험동물에 대한 간암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유효농도 조사=75,76,1
가. 실험동물에 대한 유효농도 결정시험=75,76,1
나. 채소농측물이 실험동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75,76,1
(1) 배추농축물의 농도별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성장변화=75,76,3
(2) 발암과정에서의 배추농축물의 효능(병리조직학적 변화)=77,78,1
(3) 발암과정에서의 배추농축물의 효능(혈청학적 생화학 분석)=77,78,3
(4) 발암과정에서의 배추농축물의 효능(간 전암성 병변에 대한 억제효과)=79,80,2
6. 채소농축물로부터 간암억제효과를 갖는 농축물의 응용성 조사=80,81,1
가. 간암억제농축물의 식품에 대한 응용성 조사=80,81,1
(1) 배추농축물을 음료에 응용하기 위한 적정 pH=80,81,2
(2) 배추농축물을 음료에 응용하기 위한 적정당도=81,82,2
(3) 배추농측물을 음료에 응용하기 위한 배추농측물의 적정농도=82,83,1
(4) 과일음료에 대한 배추농축물의 응용=82,83,2
(5) 포도음료에 대한 배추농축물의 응용=83,84,1
(6) 홍삼음료에 대한 배추농축물의 응용=83,84,2
(7) 우유에 대한 배추농축물의 응용=84,85,2
(8)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배추농축물의 응용=86,87,1
(9) 딸기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배추농축물의 응용=86,87,2
(9) 복숭아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배추농축물의 응용=87,88,1
(10) 블루베리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배추농축물의 응용=87,88,2
(11) 과일/배추혼합 호상요구르트와 시판 플레인 호상요구르트와 관능적 특성의 비교=89,90,1
(12) 무농축물을 음료에 응용하기 위한 무농축물의 적정PH=89,90,2
(13) 무농축물을 음료에 응용하기 위한 무농측물의 적정 당도=90,91,2
(14) 무농축물을 음료에 응용하기 위한 무농축물의 적정농도=91,92,1
(15) 과일음료에 대한 무농축물의 응용=91,92,3
(16) 홍삼음료에 대한 무농축물의 응용=93,94,1
(17) 우유에 대한 무농축물의 응용=93,94,2
(18) 과일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무농축물의 응용=94,95,1
(19) 딸기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무농축물의 응용=94,95,2
(20) 블루베리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응용성=96,97,1
(21) 과일/무혼합 호상요구르트와 시판 플레인 호상요구르트와 관능적 특성의 비교=96,97,2
(22) 양배추농측물을 음료에 응용하기 위한 적정 pH=97,98,2
(23) 양배추농축물을 음료에 응용하기 위한 적정 당도=98,99,2
(24) 양대추농축물을 음료에 응용하기 위한 양배추농축물의 적정 농도=99,100,2
(25) 과일음료에 대한 양배추농축물의 응용=100,101,2
(26) 매실음료에 대한 양배추농축물의 응용=101,102,1
(27) 사과음료에 대한 양배추농축물의 응용=101,102,2
7. 채소추출물별 실험동물에 대한 철흡수효과=102,103,1
가. 실험동물에 대한 철분흡수효과=102,103,1
(1) 실험쥐에서 철분결핍사료에 의한 빈혈발생=102,103,1
(2) 철공급에 의한 헤모글로빈의 증가=102,103,1
(3) 빈혈쥐와 회복쥐에서 간, 비장, 신장, 심장의 중량비을=103,104,1
(4) 철보충이 헤 모글로빈 함량에 미 치 는 영 향=103,104,2
(5) 배추분말이 빈혈쥐에서 헤모글로빈 함량에 미치는 영향=104,105,1
(6) 배추분말과 철-음료수공급이 헤모글로빈 함량에 미치는 영향=104,105,2
(7) 시험채소가 빈혈쥐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105,106,2
(8) 철분말과 채소분말의 혼합사료가 빈혈쥐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106,107,1
(9) 시험채소가 빈혈쥐의 헤모글로빈에 미치는 영향=106,107,3
(10) 시험채소가 빈혈쥐의 장기중량에 미치는 영향=108,109,3
8. 채소추출분획물의 철흡수효과=110,111,1
가. 채소추출분획물의 철흡수효과=110,111,1
(1) Hexane, chlorofrom, water에 의한 무청농축물의 분획=110,111,1
(2) Hexane, butanol, water에 의한 무청농축물의 분획=110,111,2
나. 선발 추출물의 분획에 따른 화학적 성분 조사=111,112,1
(1) 무청농축물 중 당성분(glucose, fructose, sucrose)의 함량=111,112,1
(2) 무청농축물의 분획물 중의 철, 칼슘함량=111,112,2
(3) 무청분획물에 의한 빈혈개선효과=112,113,1
(4) 빈혈쥐에 유리철의 공급=113,114,2
다. 철흡수개선을 위한 무청의 가열처리와 유리철의 추출=114,115,1
(1) 무청의 가열처리에 의한 유리철함량의 변화=114,115,2
(2) 무청에서 유기산에 의한 유리철의 추출=115,116,1
(3) Ascorbic acid와 citric acid의 농도별 유리철 추출효과=116,117,1
(4)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이 유리철 추출에 미치는 영향=116,117,2
(5) 가열처리가 무청녹즙의 유리철 함량에 미치는 영향=117,118,1
(6) 무청녹즙에 대한 ascorbic acid 처리농도가 유리철함량에 미치는 영향=117,118,2
(7) 에탄올추출잔사에 대한 유리철의 2차추출=118,119,2
라. 실험동물에서 가공무청과 무청분해농축물의 빈혈개선효과=119,120,3
9. 철흡수농측물의 식품에 대한 응용성=121,122,1
가. 음료에 대한 무청분해농축물의 응용=121,122,1
(1) 무청분해농축물을 음료에 응용하기 위한 적정pH와 적정농도=121,122,2
(2) 무청분해농축물을 음료에 적용하기위한 적정 당도=122,123,2
나. 과일음료에 대한 무청분해농축물의 응용=123,124,1
(1) 홍삼음료에 대한 무청분해농축물의 응용=123,124,2
(2) 포도음료에 대한 무청분해농축물의 응용=125,126,1
다. 우유에 대한 무청 분해 농측물의 응용=125,126,2
라. 과일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응용=126,127,2
(1) 복숭아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무청분해농축물의 응용=127,128,1
(2) 딸기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무청분해농축물의 응용=127,128,2
(3) 블루베리 호상요구르트에 대한 무청분해농축물의 응용=129,130,1
(4) 과일/무청혼합 호상요구르트와 시판 플레인 호상요구르트와 관능적 특성의 비교=129,130,2
10. 선발채소의 식이섬유의 종류별 함량조사=130,131,1
가. 선발채소의 식이섬유의 계통적 분리 및 함량=130,131,1
(1) 채소분말의 총식이섬유함량 (total dietary fiber)=130,131,2
(2) 수용성 성분과 불용성 성분의 분리=131,132,1
(3) 수용성 물질에서 1차알콜불용성물질(1-alcohol insoluble residue; 1-AIR)의 분리=132,133,1
(4) 불용성잔사의 산에 의한 가수분해=132,133,2
11. 채소식이섬유의 추출정제조건=133,134,1
가. 채소식이섬유의 추출정제조건 조사=133,134,1
(1) 불용성 잔사의 산분해온도가 2차알콜불용성물질에 미치는 영향=133,134,2
(2) 염산농도가 2차알콜불용성물질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134,135,1
(3) 분해액의 pH가 2차알콜불용성물질의 침전에 미치는 영향=134,135,2
(4) 에탄을 농도가 2차알콜불용성물질의 침전에 미치는 영향=136,137,1
(5) Propanol 농도가 2차알콜불용성물질의 침전에 미치는 영향=136,137,2
(6) 2차알콜불용성 물질의 재현탁효과=137,138,2
(7) 2차알콜불용성 물질의 생성량=138,139,1
(8) 가열과 유기산에 의한 무청의 수용성 섬유의 추출=139,140,2
12. 정제된 식이섬유의 특성과 식품에 대한 응용성 조사=140,141,1
가. 정제된 식이섬유의 물리화학적 특성=140,141,1
(1) 1차알콜불용성 물질의 일반성분 분석=140,141,1
(2) 1차알콜불용성 물질의 탄수화물의 구성=140,141,2
(3) 1차알콜불용성 물질의 비중과 점도=141,142,2
(4) 1차알콜불용성 물질의 보수력=142,143,1
(5) 2차알콜불용성 물질의 일반성분 분석=142,143,2
(6) 2차알콜불용성 물질의 탄수화물의 구성=143,144,2
(7) 2차알콜불용성 물질의 비중과 점도=144,145,2
(8) 2차알콜불용성 물질의 보수력=145,146,1
(9) 불용성잔사의 보수력=145,146,2
나. 정제된 식이섬유의 식품에 대한 응용성=146,147,1
(1) 식빵에 대한 배추분말, 무분말, 무청분말의 응용=146,147,5
(2) 식빵에 대한 알타리무 분말, 알타리무청 분말의 응용=150,151,2
(3) 1차알콜불용성물질의 혼합량이 식빵의 부피에 미치는 영향=151,152,3
(4) 배추, 무, 무청에서 얻은 1차알콜불용성물질이 혼합된 빵의 부피와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154,155,4
(5) 알타리무와 알타리무청에서 얻은 1차알콜불용성물질이 혼합된 빵의 부피와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158,159,2
(6) 배추분말, 무분말, 무청분말이 혼합된 백설기떡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159,160,3
(7) 배추, 무, 무청에서 얻은 1차알콜불용성물질이 혼합된 백설기떡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161,162,4
(8) 2차알콜불용성물질 용액의 관능적 특성=164,165,3
(9) 2차알콜불용성물질이 포도음료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166,167,3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69,170,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170,171,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171,172,1
제7장 참고문헌=172,173,6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9
CONTENT=19,20,10
Chapter 1. Introduction=29,30,1
1. Objective of the research=29,30,1
2. Necessity of the researc=29,30,3
3. Scope of the research=31,32,3
Chapter 2. The state of art in the country and abroad=34,35,1
1. The state of cabbage and radish=34,35,1
2. Domestic research on cabbage and radish=34,35,2
3. Foreign research on anticancer effect of cabbage, iron, dietary fiber=35,36,3
Chapter 3.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38,39,1
1. Materials and Methods=38,39,11
2. Results and discussion=48,49,121
Chapter 4. Objective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to relative field=169,170,1
Chapter 5. Application plan of results=170,171,1
Chapter 6. Science informations collected during research program=171,172,1
Chapter 7. References=172,173,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